$\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간사용자의 본능적 시선탐색활동에 나타난 주사경로 알고리즘 특성
The feature of scanning path algorithm shown at natural visual search activities of space user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17 no.2, 2014년, pp.111 - 122  

김종하 (동양대학교 건축소방행정학과) ,  김주연 (숭실대학교 건축학부 실내건축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하철 로비공간을 대상으로 한 주시실험을 통해 공간정보의 본능적 시선탐색과정에서 나타나는 주시특성에 나타난 주사경로 알고리즘을 분석하였다. 주시기간 구간별 분석에서 주시시간이 오래 경과할수록 주사유형 횟수가 증가하고 있었는데, 오래 주시할수록 주시단절이 많이 일어난 것으로 해석이 가능하며, 주시에 따른 피로나 활발한 탐색이 자연스러운 공간탐색과정에서 일어나는 과정에서 화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가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시간구간의 변화에 따른 주사유형의 변화를 추세선으로 살펴본 결과, "집중"은 시간구간의 증가와 함께 가파른 증가, "대각 수직"은 완만한 증가를 보이는 반면, "순환 혼합 수평"은 감소 경향을 보이고 있다. 공간을 주시한 피험자의 주시데이터에는 다양한 시각정보가 포함되어 있는데, "주의집중"에 나타난 주사유형을 분석한 결과, 이상과 같은 의미 있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주사유형의 증감특성은 시간의 경과에 따른 주사경향을 파악함에 있어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s analyzed the scanning path algorithm shown at the process of exploring spatial information through an observation experiment with the object of lobby in subway station. In the estimation of observation time by section, the frequency of scanning type was found to increase as the obser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실제상황을 대상으로 실험을 하면, 실험마다 주시상황이 달라지고, 동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하게 되면, 각 상황에 따른 3차원적인 시선이동을 모두 주사경로에 포함시켜 분석해야 하는데 데이터량이 방대해질뿐만 아니라 상황을 한정할 수 없게 됨으로써 실험 데이터의 객관성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정지상으로 제한한 실험환경에 국한하여 공간탐색알고리즘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주사경로를 분석하고 있다.
  • 본 연구는 지하철 로비공간을 대상으로 한 주시실험을 통해 공간정보의 탐색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연시 활동에 나타난 주사경로 알고리즘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눈 깜빡임과 공간에서 이탈한 시간을 해당 공간에 대한 탐색활동이 단절된 시간으로 보았다. 즉 해당 공간에 시선이 머문 시간과 단절된 시간으로 구분하고, 머문 시간대의 주시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연결한 주사경로가 가지는 특징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 시간구간에 따라 주사유형의 비율에 변화가 있었는데, 전체적인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선형 추세선을 통한 변화특성을 살펴본 것이 이다.
  • 공간탐색과정에서 사인과 공간정보와의 관계 속에서 시각탐색활동의 특성을 찾아낼 수 있다면 공간계획과정에서 효과적인 사인계획이 가능하며, 인간과 공간(사인을 포함)과의 상호작용 메커니즘 규명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공간사용자의 자연스러운 시각탐색활동에 나타난 주시데이터로부터 주사경로를 유형화시키고, 시각 활동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공간탐색알고리즘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뉴로 디자인은 무엇인가? 인간의 뇌 속에서 의사결정이 내려지는 과정을 디자인과 접목시킨 것이 “뉴로 디자인(Neuro Design)”이다. 뉴로 디자인은 다양한 공간 중에서 어떤 특정 공간을 대상으로 사용자의 잠재의식을 과학적으로 탐구함으로써 사용환경에 적합한 디자인을 찾아내려는 시도이다. 인간의 잠재의식의 중요성을 공공공간디자인에접목시키기 위해서는 시각정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주사 경로 분석 실험에서 기록된 시각 데이터를 모두 유효한 정보로 볼 수 없는 이유는? 본 실험에서 사용한 기기는 1초에 60개의 데이터로 기록되는데, 기록횟수가 높을수록 주시점이 연속적으로 기록되어 연속된 주사경로를 가지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기록된 시각 데이터 모두를 유효한 정보로 볼 수는 없다. 왜냐하면 인간의 눈은 잔상효과를 가지고 있는데, 30회/1초 이상 반복해서 보여주어야 연속된 것으로 인식되고, 인간이 감지할 수 있는 가장 짧은 시간은 100분의 3초(=30㎳)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존 시각과 지각에 대한 이론을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분석을 위한 주시데이터의 최소 시간을 0.
단속적 운동과 고정은 무엇인가? 피험자들을 균일한 시계에 장시간 노출시킨 실험을 보면, 사람들은 시계에 기준점을 삼을 만한 무언가를 위치시키려 하고, 이것이 여의치 않을 때 방향감각을 상실하거나, 일시적인 시력 상실을 경험하기도 한다. 공간을 주시하면서, 눈은 계속적으로 정보탐색을 위해 움직이는데, 눈이 빠르게 움직이는 것을 단속적 운동(saccades), 시각 정보를 받아들이기 위해 잠시 시선이 머무는 것을 고정(fixation)이라 한다. 눈을 통해 획득한 정보는 곧바로 뇌로 전달되지만, 우리의 뇌는 입수한 모든 시각적 정보를 인지할 수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Ban, Y. Sun. & Kim, J. H. (2012).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Observation amount and the Analysis of observation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change of observation degree In Housing Spac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1(1) 

  2. Berger, A. A. (2011) Seeing is believing: An Introduction to Visual Communication. 4th ed. Columbus: McGraw-Hill Education. 

  3. Gratzer, M. A. & McDowell, R. D. (1971). Adaptation of an eye movement recorder to esthetic environmental mensuration. Connecticut: Research report No.36 of the Storrs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University of Connecticut. 

  4. Kim, J. H. et al. (2007), The Effect of Size, Position, and Partially Occlusion of Advertising on Consumer's Visual Behavior, Korean Edu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8(3) 

  5. Kim, J. H. (2014), Gaeyoung Choi and Eunkil Cho, Characteristics of Space Search Determined by Tracking Scanning Paths,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13(1) 

  6. Kim, J. H. & Ban, Y. S.(2012). AStudy on Observation Characteristics of Space seen at Eye Fixations and Saccad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and Art, 12(5) 

  7. Park, C. W. (2009). Seeing is believing? Physiology of vision. Seoul: Euihakseowon. 

  8. Solso, R. L. (1996) Cognition and the visual arts. Cambridge: The MIT Press. 

  9. Yoo, J. Y. et al. (2011). A Study on the basic research of eye fixation in the space of exhibition at a museum.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0 (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