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류지의 규모 및 방류암거의 설계를 위한 간편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Simplified Computer Program for the Design of Size and Culvert Outlet in Detention Pond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7 no.7, 2014년, pp.587 - 598  

이재준 (금오공과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  안재찬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연구기획과) ,  김병일 ((주)천마기술단 수자원부)

초록

현재 저류시설과 같은 유출저감시설은 국내에 적용된 사례가 거의 없고, 구체적인 설치 기준 및 설계 방법에 대한 기준이 미비하며, 저감량을 정량화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따라 유출저감시설의 정량화 지표가 개발될 때까지 국내에서 보편화되어 있는 유역출구 저류시설인 저류지를 기본 저감시설의 형식으로 채택하고 추가적으로 침투형 저감시설을 최대한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저류지의 설계는 저류용량 및 방류시설에 이르기까지 까다로운 절차를 거쳐 제원을 결정하고 있어 계획단계에서는 불필요한 인력 및 시간이 소모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FFC11-SimPOND 모형의 저류지 규모결정 과정과 방류암거의 간편설계절차를 일원화하여 계획단계에서 저류지 용량과 방류암거의 설계제원을 손쉽게 산출할 수 있도록 SimPOND-CO 모형을 구축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runoff reduction facilities such as detention ponds were rarely used and limited primarily to cases. A specific installation criteria and method of design for runoff reduction facilities is insignificant in our country. Also it has difficult problems with quantification. A detention pond b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를 이용하여 홍수조절부의 저류지의 규모를 결정하고 방류부의 암거의 설계는 암거유형을 원형 콘크리트관, 입구부 형상은 경사를 준 형태로 가정하였으므로 암거경사와 암거길이는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하였다. 따라서 암거 상류부 수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설계유량, 암거직경과 개수 그리고 하류부 수위의 종합적인 관계를 분석한 방류구 암거의 단면적 Acv와 상류부 수위 HW, 방류암거의 중앙부 수심 dmid를 이용하여 Table 2와 같이 관련 변수들의 관계식에 의해 저류지의 규모 및 방류암거의 설계에 대한 간편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HW와 HW′의 차이가 60 cm 이상 : (NG) → Step 15에서 D, n을 다시 가정한다.
  • Step 5: 개발전 유입첨두유량(첨두방류량) Qop에 대한 방류구 직경 D를 관계식을 이용하여 가정한다.
  • Step 8: Step 7에서 구해진 첨두방류량 Qop가 Step 1의 개발전 유입첨두유량 Qop보다 작으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고, 그렇지 않으면 Step 5로 돌아가서 방류구 직경 D를 이전단계보다 작게 재가정하여 진행한다.
  • 국내 저류지의 설계강우 임계지속기간은 대체로 40~230분정도로 나타나고 있으며, 도시유역에서 첨두유량 발생시각은 대략 2시간이내에 있으므로 저류지의 유입수문 곡선은 첨두유량발생 시간(tp)은 2시간, 기저시간(Tb)은 3tp로 설정하여 6시간으로 그려지는 Fig. 5와 같은 삼각형 수문곡선형태로 가정하고 유입첨두유량은 2000년 이래로 수행된 재해영향평가서와 사전재해영향성검토협의의 유입첨두유량의 범위 3.62~114.8 ㎥/s 중 3~60 ㎥/s의 범위의 값을 사용하였다. 나머지 모의 매개변수는 도로배수계획(The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1991)과 하천설계 기준(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09) 등에 따라 설정하였다.
  • 9 m로 결정하였다. 암거흐름 분류 8가지 중 평상시 저류지가 일정수위 이상의 저류량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고 즉, 암거 상류부가 잠수된 조건하에서 암거의 통제단면은 따로 구분하지 않고 저류지방류암거의 흐름을 가정하였다. Table 1은 본 연구에서 저류지의 규모 및 암류암거의 설계를 위한 간편기법의 기본조건과 가정사항으로 각 변수들의 활용범위를 나타낸 것이다.
  • 저류지 제원의 경우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05)의 “재해영향평가 실무지침서” 상의 영구저류지 설계기준을 따라 Fig. 6과 같이 사면경사가 1 : 2인 사다리꼴로 가정하였으며, 방류구의 위치는 Sewerage Design Standard (2011)에서 명시하고 있는 퇴사위 0.3 m 이상을 기준으로 택하여 저류지 바닥면에서 0.3 m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도내 저류(on-line) 방식의 영구저류지 제원 결정에서 어떤 잠류 영향을 고려해야 하는가? 하도내 저류(on-line) 방식의 영구저류지 제원 결정은 방류구의 하류단을 토사조절부의 상단으로 하는 침사지의 홍수조절부 제원 결정 과정과 동일하다. 영구저류지의 방류구 위치, 형식 및 규모는 하류수위(tailwater)에 의한 잠류영향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하며, 수위별 방류능력 산정시에 잠류영향을 고려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잠류영향은 시행착오법을 적용하여야 하므로 잠류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채택된 임계지속기간에 대하여만 고려하도록 한다. 하류부 영향 검토에서 저감효과가 완벽한 것으로 확인하여야 하며, 추가적으로 저감효과가 계획 빈도는 물론 그 이하의 빈도에 대하여도 모두 만족되도록 하는 조건을 최대한 고려하여야 한다. 한편, 방류시설의 높이가 D인 사각형 형태의 유입구를 가진 orifice인 경우 저류지 수위에서 orifice 바닥까지의 수두가 1.
유출저감시설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현재 저류시설과 같은 유출저감시설은 국내에 적용된 사례가 거의 없고, 구체적인 설치 기준 및 설계 방법에 대한 기준이 미비하며, 저감량을 정량화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따라 유출저감시설의 정량화 지표가 개발될 때까지 국내에서 보편화되어 있는 유역출구 저류시설인 저류지를 기본 저감시설의 형식으로 채택하고 추가적으로 침투형 저감시설을 최대한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수유출 저감시설의 국내 도입 목적은 무엇인가? 1990년대에 각종 우수유출 저감시설은 도시화에 따른 첨두유출량의 증대와 도달시간의 단축을 완화하기 위해 국외로부터 도입되었다. 현재는 개발로 인해 발생되는 유출량의 증대량을 개발전의 상태로 저감시키기 위해 임시 또는 상시 저류하거나 침투시켜 유역전반의 치수대책으로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T.J. (2013). "An approximate study on flood reduction effect depending upon weir or gate type of lateral overflow structure of washland."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Vol. 15, No. 4, pp. 573-583. 

  2. Bohler, B., Hahn, E., Hsu, E., and Rao, A. (2005). Sensitivity of Detention Basin Volume to Rainfall Input. Proceedings of the 2005 World Water and Environmental Resources Congress, pp. 1-11. 

  3. Cho, K.J., Lee, D.S., and Kim H.J. (2014). "Numerical Model Application for Analysis of Flood Level Mitigation due to Retention-Basi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1, pp. 495-505. 

  4. Choi, S.R., and Ahn, T.J. (2011). "Development of River-Reservoir Integrated Model for Flood Reduction Capacity Analysis of Off-Stream Reservoi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1, No. 3, pp. 165-174. 

  5. Dasika, B. (1995). "New approach to design of culverts." Journal of Irrigation and Drainage Engineering, Vol. 121, No. 3, pp. 261-264. 

  6. David, P.S., and Bedient, P.B. (1980). "Detention Storage for Urban Flood Control." Journal of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Division, ASCE. Vol. 106, No. WR2, pp. 413-425. 

  7. Guo, Y., and Urbonas, B. (1996). "Maximized Detention Volume Determined by Runoff Capture Ratio."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22, No. 1, pp.33-39. 

  8. Hager, W., and Giudice, G. (1998). "Generalized culvert design diagram." Journal of Irrigation and Drainage Engineering, Vol. 124, No. 5, pp. 271-274. 

  9. Hong, Y.M., Yeh, N., and Chen, J.Y. (2006). "The Simplified Methods of Evaluation Detention Storage Volume for Small Catchment." Ecological Engineering, Vol. 26, No. 4, pp. 355-364. 

  10. Hong, Y.M. (2008). "Graphical Estimation of Detention Pond Volume for Rainfall of Short Duration." Journal of Hydro-Environment Research, Vol. 2, No. 2, pp. 109-117. 

  11. Jang, I.S., Park, K.B., Lee, M.J., and Lee, J.H. (2010). "Study on Determine of Detention Pond in Small Developed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Urban Environment, Vol. 10, No. 3, pp. 253-258. 

  12. Jang, J.Y., and Lee, J.J. (2011). "A Simplified Design Method of Culvert Outlet for Detention Pon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4, No. 4, pp. 263-273. 

  13. Ku, H.J., and Jun, K.S. (2008). Development of a Culvert Design Model. 2008 Conference of Korean Water Resource Association, pp. 645-649. 

  14. Kim, D.G., Lee, L.Y., Lee, C.W., Kang, N.R., Lee, J.S., and Kim, H.S. (2011). "Analysis of Flood Reduction Effect of Washland using Hydraulic Experiment."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Vol. 13, No. 2, pp.307-317. 

  15. Kim, D.G., and Ko, Y.C. (2005). "A Study on the Calculation of Storage Volume of Storm-Water Detention Basins for Small Urban Catchm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Water and Wastewater, Vol. 19, No. 5, pp. 619-624. 

  16. Kim, H.J., Bae, D.W., and Yoon, K.S. (2011). "Experimental Study for Analysis of Flood Mitigation Effect by Detention Bas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1, No. 6, pp. 281-291. 

  17. Lee, J.J., Lee, J.S., Jun, B.H., and Lee, J.T. (1993). "Critical Duration of Design Rainfall for the Design of Storm Sewer in Seoul."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Hydrological Sciences, Vol. 26, No. 2, pp. 49-57. 

  18. Lee, J.J., and Kim, H.N. (2008). "Analysis of Rainfall Runoff Reduction Effect Depending upon the Location of Detention Pond in Urb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B, Vol. 28, No. 5B, pp. 535-546. 

  19. Lee, J.J., and Kwak, C.J. (2008). "A Development of Simplified Design Method of the Detention Pond for the Reduction of Runoff."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1, No. 7, pp. 693-700. 

  20. Lee, J.S., Lee, J.J., Kim, K.H., and Oh, S.H. (1995). "A Study on the Hydrologic Design of Detention Storage Ponds in Urbanized Area." Magazine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28, No. 3, pp. 159-173. 

  21. Lee, J.T., Yoon, S.E., Lee, J.J., and Yoon, Y.N. (1991). "Planning Models for Detention Ponds with Consideration of the Urbanization Effect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Hydrological Sciences, Vol. 24, No. 4, pp. 73-84. 

  22. Lee, K.S., and Jin, L.S. (2003). Development of Program for Box Culverts Design. 2003 Annual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pp. 2686-2689. 

  23.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09). River Design Standard and Explanation. 

  24.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05). Practice Guideline of Disaster Impact Assessment. 

  25. Russell, M.G. (1980). "Analysis of Detention Basin Systems." Water Resources Bulletin, Vol. 16, No. 5, pp. 824-829. 

  26. The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1991). Highway Drainage Guidelines. 

  27. U.S.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1985). Hydraulic Design of Highway Culverts. 

  28. Yoon, Y.J., and Lee, J.C. (2001). "Estimation of the Stormwater Impoundments Volume Dependent on the Durations of Design Rainfal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4, No. 5, pp. 415-426. 

  29. Yu, D.H., and Um, H.S. (2001). Simplified Design of Circular Culvert Outlet. 2001 Conference of Korean Water Resource Association, pp. 685-690. 

  30. Yun, Y.B., and Cho, H.J. (2011). "An Estimation of Discharge Coefficient of Broad Crested Side Wei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B, Vol. 31, No. 1B, pp. 63-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