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ann-Kendall 추세분석을 이용한 건조지수 추세의 동질성
Homogeneity of Climate Aridity Index Trends Using Mann-Kendall Trend Test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7 no.7, 2014년, pp.643 - 656  

임창수 (경기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전국 43개 기후관측지점을 대상으로 기후 건조지수 추세의 시간적(월별, 계절별, 연별) 동질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43개 기후관측지점을 9개 지역으로 구분하여 이들 각 지역과 전체 9개 지역을 대상으로 시간적 및 지역적인 기후 건조지수 추세의 동질성 유무와 추세정도를 파악하였다. 분석을 위해 43개 기후관측지점의 월별, 계절별 그리고 연별 건조지수를 강수량과 FAO Penman-Monteith식으로 계산된 잠재증발산량으로부터 산정하였다. 또한 산정된 지수를 이용하여 Mann-Kendall 추세분석을 실시하였고, 추세분석 결과(Z scores)를 이용하여 기후 건조지수 추세의 시간적 및 지역적 동질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9개 각 지역과 전체 9개 지역에서 기후 건조지수 추세는 시간적 및 지역적으로 동질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추세의 동질성 정도 및 추세정도는 시간적 및 지역적으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homogeneity analysis of temporal (monthly, seasonal and annual) climate aridity index trend was accomplished for 43 climate measurement stations in South Korea. Furthermore, 43 stations were grouped into 9 different regions and the temporal and regional homogeneity of climate aridity index tre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지역 건조지수 추세를 이용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서로 비슷한 건조지수 추세특성을 가지고 있는 지역을 군집화하였다. 군집분석은 특성자료가 갖는 유사성을 거리로 환산하여 거리가 가까운 대상들을 동일한 집단으로 편입시키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난 세기동안 온실가스가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지난 세기동안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하여 온실가스는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지구온난화의 원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지구온난화는 수문순화과정의 중요한 요소인 강수량과 잠재증발산량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었다(IPCC, 2007a, 2007b).
한강유역의 건조지수는 계절별로 어떤 추세가 있는가? 1) 한강유역은 7월에 유의한 기후 건조지수 증가 추세를 보였으나 12월은 유의한 감소추세를 보였다. 계절별로 기후 건조지수 추세는 동질성이 있으나 여름철만이 유의한 증가추세를 보였고, 연별의 경우 추세에 동질성이 있으면서 유의한 증가추세를 보였다.
지구온난화가 영향을 주는 요소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지난 세기동안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하여 온실가스는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지구온난화의 원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지구온난화는 수문순화과정의 중요한 요소인 강수량과 잠재증발산량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었다(IPCC, 2007a, 2007b). 따라서 강수량과 잠재증발산량의 상대적인 비를 이용하여 기후 건조/습윤 상태의 지역적 변화를 분석하는 것은 해당 지역의 가용 수자원량을 파악하는 데 필요하다(UNESCO, 1979; UNEP, 199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hani, H., Kherad, M., Kousari, M.R., Roosmalen, L.V., Aryanfar, R., and Hosseini, S.M. (2013). "Non-parametric trend analysis of the aridity index for three large arid and semi-arid basins in Iran." Theoretical and Applied Climatology, Vol. 112, No. 3-4, pp. 553-564. 

  2. Allen, R.G., Peretira, L.S., Raes, D., and Smith, M. (1998) Crop evapotranspiration-guidelines for computing crop water requirements. FAO irrigation and drainage paper 56, FAO, ISBN 92-5-104219-5. 

  3. Gilbert, R.O. (1987). Statistical methods for environmental pollution monitoring. Van Nostrand Reinhold, NewYork. 

  4. Gong, L., Xu, C.Y., Chen, D., Halldin, S., and Chen, Y.D. (2006). "Sensitivity of the Penman-Monteith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to key climatic variables in the Changjiang (Yangtze River) basin." J. of Hydrology, Vol. 329, pp. 620-629. 

  5. Hargreaves, G.H., and Samani, Z.A. (1985). "Reference crop evapotranspiration from temperature." Appl. Engr. Agric., Vol. 1, No. 1, pp. 96-99. 

  6. IPCC (2007a).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PCC.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7. IPCC (2007b). Climate change 2007: impacts, ad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PCC.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8. Jones, P.D., and Reid, P.A. (2001). "Temperature trends in regions affected by increasing aridity/humidity."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 28, No. 20, pp. 3919-3922. 

  9. Kafle, H., and Bruins, H. (2009). "Climatic trends in Israel 1970-2002: warmer and increasing aridity inland." Climatic Change, Vol., 96, pp. 63-77. 

  10. Khalili, D., Farnoud, T., Jamshidi, H., Kamgar-Haghighi, A.A., and Zand-Parsa, S.H. (2011). "Comparability analyses of the SPI and RDI meteorological drought indices in different climatic zones." Water Resources Management, Vol. 25, pp. 1737-1757. 

  11. Lee, J., and Kim, G. (2012). "Evaluation the climate influence during El Nino and La Nina periods of aridity index, precipitation effectiveness and runoff in basi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54, No. 4, pp. 115-125. 

  12. Liu, X., Zhang, D., Luo, Y., and Liu, C. (2013). "Spatial and temporal changes in aridity in northwest China: 1960 to 2010." Theor. Appl. Climatol., Vol. 112, pp. 307-316. 

  13. Park, Y., Choi, D., Kim, J., and Kim, S. (2013). "The effect analysis of climate and watershed characteristics on precipitation partitioning in Nakdong river basin." J. Korean Soc. Hazard Mitig., Vol. 13, No. 6, pp. 423-428. 

  14. Penman, H.L. (1948). "Natural evaporation from open water, bare soil, and grass." Proc. Roy. Soc. London, Vol. A193, pp. 120-146. 

  15. Rim, C.-S., and Kim, S.-Y. (2013). "Analysis for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climatic aridity condition in May." J.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6, No. 6, pp. 613-627. 

  16. Some'e B.S., Ezani, A., and Tabari, H. (2013). "Spatiotemporal trends of aridity index in arid and semi-arid regions of Iran." Theor. Appl. Climatol, Vol. 111, pp. 149-160. 

  17. Sulieman, H.M., and Elagib, N.A. (2012). "Implications of climate,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for pastoralism in eastern Sudan." Journal of Arid Environments, Vol. 85, pp. 132-141. 

  18. Tabari, H., and Aghajanloo, M.-B. (2013). "Temporal pattern of aridity index in Iran with considering precipitation and evapotranspiration trend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33, No. 2, pp. 396-409. 

  19. Thornthwaite, C.W. (1948). "An approach towards a rational classification of climate." Geogr. Rev., Vol. 38, pp. 55-94. 

  20. Trajkovic, S. (2005). "Temperature-based approaches for estimating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J. of Irrigation and Drainage Engineering, Vol. 131, No. 4, pp. 316-323. 

  21. Tsakiris, G., and Vangelis, H. (2004). "Towards a drought watch system based on spatial SPI." Water Resources Management, Vol. 18, No. 1, pp. 1-12. 

  22. UNEP (1992). World Atlas of Desertification. 

  23. UNESCO (1979). Map of the world distribution of arid regions: explanatory note. MAP Technical Notes 7, UNESCO: Paris, 54. 

  24. Van Belle, G. and Hughes J.P. (1984). "Nonparametric tests for trend in water quality."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0, pp. 127-136. 

  25. Yunhe, Y., Shaohong, W., Du, Z., and Qingye, Y. (2005). "Regional difference of aridity/humidity conditions change over China during the last thirty years." Chinese Science Bulletin, Vol. 50, No. 19, pp. 2226-223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