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계절 Mann-Kendall 검정을 이용한 낙동강 유역의 월별 수질 장기 경향성 분석
Trend Analysis of Monthly Water Quality Data in Nakdong River Based on Seasonal Mann-Kendall Test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57 no.6, 2015년, pp.153 - 162  

윤정혜 (Dept. of Agriculture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 ,  황세운 (Dept. of Agricultural Engineering (Insti. of Agric, and Life Sci) Gyeongsang National Univ.) ,  김동현 (Dept. of Agriculture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 ,  김상민 (Dept. of Agricultural Engineering (Insti. of Agric, and Life Sci) Gyeongsang National Univ.)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trends of water quality along the main stream in Nakdong river basin using the recent data and seasonal Mann-Kendall test. Monthly averaged values of DO, BOD, SS, COD, TN, and TP from 1989 to 2014 for 14 stations (including 2 TMDLs stations) were used in the study.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여기서 a는 검정에 대한 유의수준이며, 귀무가설 (H0)은 ‘경향성이 없다’이며 대립 가설 (H1)은 ‘경향성이 있다’로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낙동강과 한강을 중심으로 전국 주요 하천의 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최근 낙동강과 한강을 중심으로 전국 주요 하천에 녹조가 발생하여 수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환경부에서는 수질 관리를 위해 전국 지류·지천 18곳을 지정하였다. 그 중 낙동강 수계가 10곳으로 한강, 금강, 영산강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지점들이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낙동강유역의 효율적인 수질관리를 위해 수질변화 특성을 파악하고 장기적인 변화추세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근거는? 최근 낙동강과 한강을 중심으로 전국 주요 하천에 녹조가 발생하여 수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환경부에서는 수질 관리를 위해 전국 지류·지천 18곳을 지정하였다. 그 중 낙동강 수계가 10곳으로 한강, 금강, 영산강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지점들이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낙동강유역의 효율적인 수질관리를 위해 수질변화 특성을 파악하고 장기적인 변화추세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계절 Mann-Kendall 검정법은 어떤 방법인가? (1982, 1984)의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개선되었다. 계절 Mann-Kendall 검정법은 월별 수질자료의 각 계절에 대한 Kendall 검정 (Kendall`tau)을 시행한 후 수질자료들 사이의 상관계수를 통해 유의성을 검증하고, 각 결과들의 가중합을 산정하여 양 (Positive), 영 (Zero), 음 (Negative)의 경향성을 분석하는 비모수 통계방법이다 (Nam, 2012; Kim and Park,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oi, K. Y., T. H. Im, J. W. Lee, and S. U. Cheon, 2012. Evaluation of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in the Nakdong River using Statistical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5(11): 1157-1168. (in Korean) 

  2. Hirsch, R. M., and J. R. Slack, 1984. A Nonparametric Trend Test for Seasonal Data with Serial Dependence. Water Resources Research 20(6): 727-732. 

  3. Hirsch, R. M., J. R. Slack, and R. A. Smith, 1982. Techniques of Trend Analysis for Monthly Water Quality Data. Water Resources Research 18(1): 107-121. 

  4. Hwang, S. J., 2012. Forecasting System for Water Quality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The Kangjung-Koryung Weir on the Nakdong River. Ph. D. Thesis. Keimyung Univ. (in Korean) 

  5. Jeon, J. H., D. K. Cha, D. H. Choi, and T. D. Kim, 2013. Spatial Analysi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ing from the Imha dam Watershed using L-THI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5(1): 17-29. (in Korean) 

  6. Kendall, M. G., 1975. Rank Correlation Methods. Charles Griffin. London. 

  7. Kim. G. S., and D. J. Kang, 2007. Analysis of the Variability of Water Quality Data in Nakdong River Basin.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1094-1097. (in Korean) 

  8. Kim. J. H., and S. S. Park, 2004. Long-Term Trend Analyses of Water Qualities in Nakdong River Based on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n Water Quality 20(1): 63-71. (in Korean) 

  9. Kim. J. T., 2014. Lowess and Outlier Analysis of Biological Oxygen Demand on Nakdong Main Stream River. Journal of the Korea Date 25(1): 119-130. (in Korean) 

  10. Kim. M. A., S. W. Lee, J. K. Lee, and J. S. Lee, 2005. A Non-parametric Analysis of the Tam-Jin River: Data Homogeneity between Monitoring Stat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1(6): 651-658. (in Korean) 

  11. Kim. W. J., G. H. Jo, M. C. Eom, and K. Y. Lee, 2002. Property Analysis of the Water Quality in Mankyeong River.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Conference 437-440. 

  12. Kwak. S. J., B. D. Bhattrai, C. K. LEE, and W. M. Heo, 2013. Long-term Trends of Summer Season of Water Quality in Lake Doam. Korean Journal of Limnology 46(1): 128-134. (in Korean) 

  13. Lee. J. W., H. G. Kwon, and H. Y. Choi, 2014a. Evaluation of Pollution Level Attributed to Nonpoint Sources in Nakdonggang Basin,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3(5): 393-405. (in Korean) 

  14. Lee. S. H., B. R. Kim, and H. W. Lee. 2014b. A Study on Water Qualty after Construction of the Weirs in the Middle Area in Nakdong Riv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Environmental Engineering 36(4): 258-264. (in Korean) 

  15. Mann, H., 1945. Nonparametric tests against trend. Econometrica 13(3): 245-259. 

  16. Nam, T. K., 2012. Trend Analysis of Water Qualities of the Daejeon 3 major Streams Based on Mann-Kendall Test. M. S. Thesis. Hanbat Univ. (in Korean) 

  17. Park. S. S., S. H. Lee, B. K. Park, and S. H. Lee, 1995. Nonparametric Statistical Comparison of Tributary Water Qualities between the South and North Branches of the Han River. Journal of Korean Society Limnology 28(3): 299-307. (in Korean) 

  18. Park. T. Y., S. J. Kim, S. M. Kim, and S. M. Kim, 2010. Temporal and Sptial Analysis of Water Quality Data Observed from Major Water Quality Stations in Nakdonggang Watershed. Journal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44(5): 117-127. (in Korean) 

  19. Rim, C. S., 2013. Dissolved Oxygen Trend in Sapgyo Stream Watershed.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6(6): 667-681. (in Korean) 

  20. Sen, P. K., 1968. Estimates of the regression coefficient based on Kendall's tau.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63(324): 1379-1389. 

  21. Son, J. G., J. K. Choi, J. W. Cho, J. Y. Cho, and J. D. Song, 2002. Changes of water quality in upper stream of Dong-jin river.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Conference 492-432. 

  22. Song, E. S., S. M. Jeon, E. J. Lee, D. J. Park, and Y. S. Shin, 2012. Long-term Trend Analysis of Chlorophyll a and Water Quality in the Yeongsan River. Journal of Korean Society Limnology 45(3): 302-313. (in Korean) 

  23. Water Information System, http://water.nier.go.kr/ 

  24. XLSTAT, https://www.xlstat.com/ 

  25. Yu, J. J., S. H. Shim, Y. S. Yoon, and J. K. Song, 2010. Long-Term Water Quality Trend Analysis with N-Trend 1.0 Program in Nakdong Riv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6(6): 895-902.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