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곡면 최적화 알고리즘을 활용한 비정형 건축물 외장공사비 개산견적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the Preliminary Cost Estimate Method for the Free-Form Building Facade Trade in Conjunction with the Panel Optimization Algorithm Process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5 no.4, 2014년, pp.95 - 106  

임장식 (동일건축) ,  옥종호 (동일건축)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비정형 건축물의 건설에서 가장 어려운 공정은 복잡한 디자인으로 이루어진 외장패널을 제작 및 시공하는 것이다. 설계자는 비정형 건물의 부드러운 곡면형태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복잡한 곡면을 갖는 패널의 양을 축소하여 패널제작 및 시공비용을 최적화함이 필요하다. 특히 설계초기단계에서 다양한 건축외관을 디자인하고 각 설계대안의 예상공사비를 추정하면서 설계의도를 충족하는 적절한 대안을 찾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설계사무소들은 비정형 건축물의 패널최적화에 대한 이해, 기술 및 데이터가 부족하여 초기설계 단계에서 예상공사비 산정, 설계 대안 비교를 통한 예상공사비 조정등의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비정형 건축물 설계자가 쉽게 접할 수 있는 범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비정형 건축물의 외장패널을 최적화하는 방법을 제시하며 최적화 결과와 국내 비정형 건설프로젝트의 외장공사에 대한 실적공사비를 접목하여 최적화 진행에 따른 공사비 변화정도를 산출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연구결과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국내에서 최근 완공된 비정형 건축프로젝트의 사례연구를 수행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uter surfaces of free form buildings contain panels with two-directional curvatures. To construct these panels, complex geometric surfaces should be divided into forms and sizes that can be manufactured and constructed efficiently. Because the bigger the curvatures of these panel, the more ex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비정형 건축물 설계자가 쉽게 접할 수 있는 범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비정형 건축물의 외장패널을 최적화하는 방법을 제시하며 최적화 결과와 국내 비정형 건설프로젝트의 외장공사에 대한 실적공사비를 접목하여 최적화 진행에 따른 공사비 변화정도를 산출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연구결과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국내에서 최근 완공된 비정형 건축프로젝트의 사례연구를 수행한다.
  • 설계 초기단계에서 설계의도에 적합한 곡면형태를 확보하면서 곡률을 완화할 수 있는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면 공사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비정형 건축물 설계자가 쉽게 접할 수 있는 범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비정형 외장패널을 최적화하는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외피의 곡면형상에 따른 최적화 관련 기술자료를 제공코자 하였다.
  • 비정형 건물은 설계자의 설계의도에 따라 건물 별로 각기 다른 곡면형태와 곡률로 표현되기 때문에 일반화할 수 있는 설계데이터가 거의 없을 뿐 만 아니라 건축물 별 세부설계 자료에 대하여 대부분 설계자가 공개를 꺼리는 관계로 본 연구를 위한 구체적 데이터 확보가 어려웠다. 본 연구는 최적화하기 위한 비정형 형상 구축을 위해 선행연구자의 연구내용10)을 중심으로 국내외에서 최근 완공된 비정형 건축물의 외피형태와 마감 사례를 조사하고 각 사례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된 패널형태를 추출하여 모델링하는 방향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Table 3는 비정형 형상 도출을 위해 참고한 사례와 본 연구를 위해 모델링한 외피 형태를 보여준다(Table 3 둘째 줄 “분석대상 외피모델링 형태” 참조).

가설 설정

  • 비정형 건축물에 사용되는 서브프레임은 싱글 레이어 (Single Layer), 더블 레이어 (Double Layer), 퍼린 (purlin) 시스템 등이 있으며 각 시스템 별로 특징이 다르다. 본 연구는 최근 국내에서 준공된 D 문화공원 건축물 서브프레임을 설계하고 제작한 실무자 2인과 면담조사를 실시하여 좌표관리에 용이하고 구조적으로 안전성 확보가 탁월한 더블레이어 시스템으로 외장패널을 지지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각 노드 포인트에 대한 태그 작업을 실시해 패널의 위치와 서브프레임의 동일한 위치를 확보하였다.
  • 비정형건축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재료가 알루미늄인 것을 고려하여 3개 비정형 형상의 패널도 알루미늄으로 제작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알루미늄 패널의 경우 MPSF 방법으로 최대로 제작할 수 있는 곡률 값은 300mm으로, 이 값을 초과하는 패널에 대해서는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잡한 디자인으로 이루어진 외피를 제작 및 시공하기 위해서 거쳐야 하는 과정은? 이러한 비정형 건축물의 건설에서 가장 어려운 공정은 복잡한 디자인으로 이루어진 외피를 제작 및 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복잡한 기하학적 형태의 외피를 제작과 시공이 가능한 패널형태와 크기로 나누어야 하며 나누어진 패널은 곡면의 곡률이 클수록 공사비가 증가하기 때문에 복잡한 이 방향 곡률을 갖는 곡면을 평판이나 일 방향 곡률의 패널로 변환하는 패널 최적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비정형 건축물의 건설에서 가장 어려운 공정은? 비정형 건축물은 건물의 전체 또는 일부가 사각형 형태에서 벗어나 기울거나 좁아지거나 뒤틀린 형태이거나 자유로운 곡선 형태를 가진 건물을 말한다(김선우 2009). 이러한 비정형 건축물의 건설에서 가장 어려운 공정은 복잡한 디자인으로 이루어진 외피를 제작 및 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복잡한 기하학적 형태의 외피를 제작과 시공이 가능한 패널형태와 크기로 나누어야 하며 나누어진 패널은 곡면의 곡률이 클수록 공사비가 증가하기 때문에 복잡한 이 방향 곡률을 갖는 곡면을 평판이나 일 방향 곡률의 패널로 변환하는 패널 최적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비정형 건축물이란? 비정형 건축물은 건물의 전체 또는 일부가 사각형 형태에서 벗어나 기울거나 좁아지거나 뒤틀린 형태이거나 자유로운 곡선 형태를 가진 건물을 말한다(김선우 2009). 이러한 비정형 건축물의 건설에서 가장 어려운 공정은 복잡한 디자인으로 이루어진 외피를 제작 및 시공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n, J., Y. (2011). "A Study on the Lessons Learned for Improving Efficiency of Free-Form Facade Construc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pp. 22-35. 

  2. An, J, Y., Jang H, S., and Ock, J, H. (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Cost Estimation Standar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ypical Free-Form Buildings Facade Elements", Proceedings of KICEM Annual Conference, KICEM, 13, pp. 351-353. 

  3. Ahn, Y. J., Kim, H. O., and Lee, K. Y., (1998). "G1 Arc Spline Approximation of Quadratic Bezier Curves", Computer-Aided Design, 30(8), pp. 615-620. 

  4. Han, Z. Y. (2011). "A Study on Classification and Feature of Double-curved Surface Fabrication Techniques in Freeform Architecture, Sejong University, Korea, pp. 39-46. 

  5. Kim, S. W. (2009). "Classification and Optimization of IrregularShaped Building Panels by Fabrication Methods", Yonsei University, Korea, pp. 27-33. 

  6. Kwen, S. H., Shim, H. W., and Ock, J. H. (2011). "A Study on the Problem Analysis and Quality Improvement in Fabricating Free-Form Buildings Facade Panels through Mock-up Panels Production",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2(3), pp. 11-21. 

  7. Lim, J. S. (2013). "A Study on the Cost Estimates for Optimization in the Design Phase Free-Form Building Facade",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pp. 1-2. 

  8. Les A. Piegl and Wayne Tiller (2002). "Biarc Approximation of NURBS Curves", Computer-Aided Design, 34, pp. 807-814. 

  9. Moon, S. W. (2010). "A Study on the Designs Systemization of Architecture Using Parametric Technology", Ajou University, Korea, pp. 23-27. 

  10. Oh B. S. (2012). "Dongdaemun Design Plaza & Park External Panel System", Presentation Material Of Buildingsmart Association CM Contest. 

  11. Park, G. (2009). Presentation Material Of SCEA Lectur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12. Xunnian T., and Guozhao W. (2001). "Planar Point Set Fairing and Fitting by Arc Splines", Computer-Aided Design, 33, pp. 35-43. 

  13. Rhino User's Guide, (Apr. 01, 2013) 

  14. Wikipedia , (Jan. 12, 2013) 

  15. Jeongok Prehistory Museum, (Jan. 12, 2013) 

  16. Wikipedia, (Jan. 12, 2013) 

  17. Seoul Design Foundation, (Jan. 12, 2013)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