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혐기성 소화액의 막분리를 위한 전기응집 전처리 연구
Application of electro-coagulation for the pretreatment of membrane separation of anaerobic digestion efflu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7, 2014년, pp.4665 - 4674  

김신영 (호서대학교 환경공학과) ,  장인성 (호서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장규 ((주)부강테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분리막을 이용하여 혐기성소화액을 분리막으로 고/액 분리할 때 발생하는 막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기응집전처리 공정으로 적용 가능한지 여부를 평가하였다. 전기응집 공정의 전극면적, 전류밀도 및 접촉시간에 따른 막오염 저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전극 침지 면적이 작은 경우 전계의 세기가 높아져 미생물 플록 및 셀의 파괴 현상으로 인한 용존 COD의 증가 현상이 관찰되었으나, 전극 침지 면적이 큰 경우에 용존 COD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T-P는 전극에서 용출된 알루미늄 이온과 침전하여 전기응집 후 크게 감소하였다. 전류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막 투과 플럭스가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막오염 저항값 (Rc+Rf)은 감소하였다. 혐기성 소화액의 입자 크기는 전기응집 후에 약간 증가하였으나 입자크기 증가가 막오염 저감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응집으로 발생한 $AlPO_4$와 같은 무기성 부유 물질이 분리막 표면에서 dynamic membrane으로 작용하여 막오염을 저감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feasibility of the electro-coagulation process as a pre-treatment for the membrane separation of anaerobic digestion effluents to minimize membrane fouling. The reduction of membrane fouling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electrodes (immersed surf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전기응집 공정은 시스템 구성이 간단하고 콤팩트하여 부지면적 소요가 적으며 화학약품의 사용에 수반되는 약품의 운송, 이송, 보관 및 사용에 따른 불편함과 화학약품의 사용에 수반되는 안전조치 등을 회피할 수 있는 공정으로 판단되어 막분리 공정의 전처리 방안으로 선택되었다. 따라서 전기응집 공정을 통한 혐기성 소화액의 전처리가 막오염 저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평가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분리막을 이용한 혐기성 소화액의 고액 분리에서 막오염 저감을 위한 전처리로서 전기응집 공정의 적용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전기응집과 막여과를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에서는 와류발생형 막모듈을 이용한 혐기성 소화액의 고액 분리를 적용하기에 앞서, 높은 농도의 부유물질을 저감하기 위한 방안으로 전기응집 (electrocoagulation) 공정을 도입하고자 하였다. 전기응집 공정은 시스템 구성이 간단하고 콤팩트하여 부지면적 소요가 적으며 화학약품의 사용에 수반되는 약품의 운송, 이송, 보관 및 사용에 따른 불편함과 화학약품의 사용에 수반되는 안전조치 등을 회피할 수 있는 공정으로 판단되어 막분리 공정의 전처리 방안으로 선택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혐기성 소화액의 탈수방법들의 각각 장, 단점은 어떠한가? 혐기성 소화액의 탈수방법은 크게 중력을 이용한 탈수법과 기계적인 탈수법으로 나눌 수 있다. 건조상 (drying beds)이나 건조용라군(drying lagoons)과 같은 탈수법의 경우, 유지 및 운전비용이 적게 소요된다는 장점을 지닌 반면 넓은 부지가 소요되며 악취발생 등과 같은 단점이 있다. 원심분리 (centrifugation), 진공여과 (vacuum filtration) 및 가압여과 (pressured filtration) 등과 같은 기계적인 탈수법의 경우, 비교적 처리시간과 부지가 적게 소요되나 다량의 에너지를 소비하여 유지 및 운전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3,4]. 또한 이러한 방법들은 효과적인 탈수를 위하여 화학약품을 첨가하는 추가 공정이 필요하기도 하다.
혐기성 소화 공정은 무엇이며 어떤 역할을 하는가? 이에 따라 혐기성 소화 (anaerobic digestion) 공정 설비, 즉 BGP (biogas plant)의 확산이 증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혐기성 소화 공정은 대표적인 폐수처리 및 슬러지 처분 방법 중 하나로, 환경 문제를 유발하는 축산분뇨, 음식물쓰레기, 농축산 폐기물 등과 같은 고농도 폐수 내에 있는 유기물을 소화하여 메탄가스, 즉 바이오가스와 소화액을 생성한다[1]. 여기서 발생하는 소화액은 여전히 높은 부유물질 (SS, suspended solids)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고/액 분리 과정을 거쳐 탈수케익과 탈수탈리액으로 분리된다.
혐기성 소화액의 탈수방법은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혐기성 소화액의 탈수방법은 크게 중력을 이용한 탈수법과 기계적인 탈수법으로 나눌 수 있다. 건조상 (drying beds)이나 건조용라군(drying lagoons)과 같은 탈수법의 경우, 유지 및 운전비용이 적게 소요된다는 장점을 지닌 반면 넓은 부지가 소요되며 악취발생 등과 같은 단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Jeong-Min Baek,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of sludge from anaerobic digested of livestock wastewater and food waste", M. s. Dissertation, Kyung-Sung University, Korea, 2008 

  2. Sou-Ik Kim, "(A) study on the sewage sludge pretreatment by ultrasound", M. s.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Korea, 2010 

  3. Ronald L. Droste, "Theory and practice of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4. Chul-Hwi Park, Jung-Won Seo, Jong-Woon Park, Jong-Hwan Park, "sewage treatment planning process and operation management" 

  5. Reza Katal, Hassan Pahlavanzadeh, "Influence of different combinations of aluminum and iron electrode on electrocoagulation efficiency: Application to the treatment of paper mill wastewater", Desalination, 265, pp.199-205, 2011 DOI: http://dx.doi.org/10.1016/j.desal.2010.07.052 

  6. Patrick Drogui, Melanie Asselin, Satinder K. Brar, Hamel Benmoussa, Jean-Francois Blais, "Electrochemical removal of pollutants from agro-industry wastewaters", Separation and Purification Technology, 61, pp.301-310, 2008 DOI: http://dx.doi.org/10.1016/j.seppur.2007.10.013 

  7. Amel Benhadji, Mourad Taleb Ahmed, Rachida Maachi, "Electrocoagulation and effect of cathode materials on the removal of pollutants from taneery wastewater of Rouiba", Desalination, 277, pp.128-134, 2011 DOI: http://dx.doi.org/10.1016/j.desal.2011.04.014 

  8. Idil Arslan-Alaton, Isik Kabdasli, Deniz Hanbaba, Elif Kuybu, "Electrocoagulation of a real reactive dyebath effluent using aluminum and stainless steel electroed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150, pp. 166-173, 2008 DOI: http://dx.doi.org/10.1016/j.jhazmat.2007.09.032 

  9. Ivonne Linares-Hernandez, Carlos Barrera-Diaz, Gabriela Roa-Morales, Bryan Bilyeu, Fernando Urena-Nunez, "Influence of the anodic material on electrocoagulation performance",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148, pp. 97-105, 2009 DOI: http://dx.doi.org/10.1016/j.cej.2008.08.007 

  10. J-Y. Kim, J-H Lee, I-S Chang, J-H. Lee, C-W. Yi, High voltage impulse electric fields: Disinfection kinetics and its effect on membrane bio-fouling, Desalination (2011) 283, 111-116. DOI: http://dx.doi.org/10.1016/j.desal.2011.03.039 

  11. K. Aronsson, U. Ronner, E. Borch,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Listeriainnocua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in relation to membrane permeabilization and subsequent leakage of intracellular compounds due to pulsed electric field processing, Int. J. Food Microb. 99(2005) 19-32. DOI: http://dx.doi.org/10.1016/j.ijfoodmicro.2004.07.012 

  12. In-Soung Chang, Robert Field, Zhanfeng Cui, "Limitations of resistance in series model for fouling analysis in membrane bioreactors: A cahtionary note", Desalination and Water Treatment, 8, pp.31-36, 2009 DOI: http://dx.doi.org/10.5004/dwt.2009.687 

  13. Jong-Oh Kim, Jong-Tae Jung, Ick-Tae Yeom, Gyung-Hae Aoh, "Electric fields treatment for the reduction of membrane fouling, the inactivation of bacteria and the enhancement of particle coagulation", Desalination, 202, pp.31-37, 2007 DOI: http://dx.doi.org/10.1016/j.desal.2005.12.035 

  14. Marc Altman, Raphael Semiat, David Hasson, "Removal of organic foulants from feed waters by dynamic membranes", Desalination, 125, pp.65-75, 1999 DOI: http://dx.doi.org/10.1016/S0011-9164(99)0012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