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재배된 과채류 8작물 중 유기인계 농약의 잔류량을 모니터링 한 후 급성 및 만성 노출평가를 시행하고 독성등가치를 이용하여 누적 및 통합노출량을 산출하고 그 위해성을 확인하였다. 과채류 8종에서 검출된 유기인계 농약은 chlorpyrifos, EPN, methidathion, phosphamidon 4종이었다. 급성평가인 NESTI의 누적량은 가지, 토마토, 호박, 오이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만성 노출평가의 제1단계로 과채류 8종의 총 TMDI는 ADI의 76.14%에 해당하였으며, 만성 노출평가의 제2단계인 NEDI의 총 노출량은 ADI 대비 13.949%에 해당하였다. 만성 노출평가의 제3단계로 과채류 8종 섭취에 따른 노출량을 확률적으로 평가한 결과, 총 노출량이 ADI 대비 0.0001%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우리나라 일반인이 과채류 8종을 섭취함으로써 유기인계 농약에 노출되는 수준은 매우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대상작물을 농산물 전체로 확대하고 대상집단을 어린이와 같은 subgroup으로 추가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monitored the residues of organophosphate pesticides (OP) in eight fruit vegetables grown in Korea, and assessed risk levels of acute and chronic exposure of OP through the consumption of fruit vegetables. Chlorpyrifos, EPN, methidathion and phosphamidon in eight fruit vegetables w...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주산지에서 생산된 과채류 8종에 잔류하는 유기인계 농약 30종에 대해 모니터링을 시행하고 둘째, 농약 등록단계에서 평가되는 작물잔류시험 성적과 함께 활용하여 전체 유기인계 농약별 급성 및 만성 노출량을 산정하며 셋째, 전체 유기인계 농약에 대한 누적 및 통합 측면의 노출평가를 시행함으로써 과채류 8종 섭취에 따라 동시다중 노출되는 위해 수준을 확인하였다.

가설 설정

  • 만성 노출량평가의 제1단계 평가는 소비시 예상할 수 있는 최악의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농약이 등록된 모든 작물에 농약이 MRL 수준으로 잔류되었다고 가정하고 식이노출량을 산정한다. 따라서 EPN와 같이 우리나라에 MRL이 미설정된 농약은 평가에서 제외되며, 우리나라에 농약이 미등록되어 있더라도 농산물에 MRL이 있는 경우 평가에 포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약의 급성 노출평가는 어떻게 평가하는가? 또한 만성 노출평가는 제1단계로 이론적 최대섭취량(TMDI; Theoretical Maximum Daily Intake), 제2단계로 추정 최대섭취량(NEDI; National Estimated Maximum Daily Intake), 마지막인 제3단계로 실제 모니터링 자료 등을 이용하여 노출량을 산정한다. 급성평가의의 NESTI와 만성평가의 1단계, 2단계 평가는 등록 사전 단계의 스크리닝으로, 작물 MRL과 포장시험 성적이 있다면 소비자가 노출될 수 있는 최악의 조건(worst case)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반면, 3단계는 해당 농약의 등록 사후에 보다 실제적인 자료, 즉 검출량 등에 근거한 현실적인 노출평가이다(Ferrier et al. 2006; EFSA 2007; 2009; Tucker 2008).
농약의 급성 노출평가는 어떤 것을 산정하여 확인 할 수 있는가? 농약의 급성 노출평가는 급성 추정 1일섭취량(NESTI; National Estimated Short Term Intake)을 산정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만성 노출평가는 제1단계로 이론적 최대섭취량(TMDI; Theoretical Maximum Daily Intake), 제2단계로 추정 최대섭취량(NEDI; National Estimated Maximum Daily Intake), 마지막인 제3단계로 실제 모니터링 자료 등을 이용하여 노출량을 산정한다.
만성 노출평가는 어떤 자료등을 이용하여 노출량을 산정하는가? 농약의 급성 노출평가는 급성 추정 1일섭취량(NESTI; National Estimated Short Term Intake)을 산정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만성 노출평가는 제1단계로 이론적 최대섭취량(TMDI; Theoretical Maximum Daily Intake), 제2단계로 추정 최대섭취량(NEDI; National Estimated Maximum Daily Intake), 마지막인 제3단계로 실제 모니터링 자료 등을 이용하여 노출량을 산정한다. 급성평가의의 NESTI와 만성평가의 1단계, 2단계 평가는 등록 사전 단계의 스크리닝으로, 작물 MRL과 포장시험 성적이 있다면 소비자가 노출될 수 있는 최악의 조건(worst case)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oon, P. E., H. Van der Voet, M. T. M. Van Raaij and J. D. Van Kleveren (2008) Cumulative risk assessment of the exposure to organophosphorus and carbamate insecticides in the Dutch diet.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46:3090-3098. 

  2. Douglass, J. S. and D. R. Tennant (1996) Estimation of dietary intake of food chemicals. In Food Chemical Risk Analysis, Chapman & Hall. 

  3. Do, Y. S., J. B. Kin, S. H. Kang, N. Y. Kim, M. N. Eon and M. H. Yoon (2013) Probabilistic Exposure Assessment of Pesticide Residues in Agricultural Products in Gyeonggido.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7(2):117-125. 

  4. EFSA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2007) Reasoned opinion on the potential chronic and acute risk to consumers' health rising from proposed temporary EU MRLs. According to regulation (EC) No 396/2005 on maximum residue levels of pesticides in food and feed of plant and animal origin. 

  5. EFSA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2009) Scientific opinion on risk assessment for a selected group of pesticides from the tiazole group to test possible methodologies to assess cumulative effects from exposure through food these pesticides on human health. 

  6. EPA (Environment Protection Agency) (2002) Guidance on cumulative risk assessment of pesticide chemicals that have a common mechanism of toxicity. Office of Pesticide Programs,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7. EPA (Environment Protection Agency) (2006) Organophosphorus cumulative risk assessment-2006 update 

  8. Janssen, M. M. T (1997) Contaminants. In Food Safety and Toxicity, CRC Press, 58-60. 

  9. Jensen, A. F., A. Petersen and K. Granby (2003) Cumulative risk assessment of the intake of organophosphorus and carbamate pesticides in the Danish diet. Food Addit Contam 20(8):776-785. 

  10. MFDS (Ministry of Food and Drugs Safety) (2005) Food ingestion factors for dietary exposure: 2001 NHNS. 

  11. KHIDI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4) Dietary intake and risk assessment of contaminants in Korean foods. 

  12. KNHANE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6) The third Korean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2005 -Nutrition survey (I). 

  13. KNHANE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 Development of food and nutrient database -Food portion/weight database. 

  14. Ferrier, H., G. Shaw, M. Nieuwenhuijsen, A. Boobis and P. Elliott (2006) Assessment of uncertainty in a probabilistic model of consumer exposure to pesticide residues in food.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23(6):601-615. 

  15. FAO/WHO (1997) Food consumption and exposure assessment of chemicals. In Report of a FAO/WHO consultation. 

  16. FQPA (Food Quality Protection Act) (1996) US Public Law 104-170. 

  17. FSA (Food Standard Agency) (2002) Risk assessment of mixtures of pesticides and similar substances, UK. 

  18. Lee, H. M., J. Y. Han, E. K. Yoon, H. M. Kim, I. G. Hwang, D. M. Choi, K. B. Lee, K. P. Won, I. S. Song, S. E. Park and D. C. Shin (2001) Cumulative risk assessment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s in the diet. J. Fd Hyg. Safety 16(1):21-26. 

  19. Lee, M. G. (2003) Estimation of cumulative dietary risk of pesticides sharing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effects. Food Sci. Biotechnol. 12(1):43-50. 

  20. Lozowicka, B., M. Jankowska. and P. Kaczy iski (2012) Pesticide residues in brassica vegetables and exposure assessment of consumers. Food Control, 25:561-575. 

  21. Luo, Y and M. Zhang (2009) Multimedia transport and risk assessment of organophosphate pesticides and a case study in the northern San Joaquin Valley of California. Chemosphere 75:969-978. 

  22. MacBean, C. (2012) The Pesticide Manual. Sixteenth Edition. British Crop Production Council, Hampshire, UK. 

  23. Park, B. J., K. A. Son, M. K. Paik, J. B. Kim, S. M. Hong, G. J. Im and M. K. Hong (2010) Monitoring of neonicotinoid pesticide residues in fruit vegetable and human exposure assessment.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4(2):104-109. 

  24. Tucker, A. J. (2008) Pesticide residues in food - Quantifying risk and protecting the consumer. Trends in Food Science & Technology 19:S49-S5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