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TRP를 이용한 Lysine 말단기를 가진 펩타이드-고분자 하이브리드 합성
Solid Phase Synthesis of Lysine-exposed Peptide-Polymer Hybrids by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8 no.4, 2014년, pp.550 - 556  

하은주 (부산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김미진 (부산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김진구 (홍익대학교 바이오화학공학과) ,  안성수 (가천대학교 바이오나노학과) ,  백현종 (부산대학교 고분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펩타이드-고분자 하이브리드 소재(PPs)들은 선택적 용매에서 나노구조 형성을 위한 잠재적 구성 요소로서 많은 연구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PPs는 잘 정의된 펩타이드-고분자로 이루어진 바이오콘주게이트의 손쉬운 제조방법과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이들의 고유활성도에 대한 연구는 중요한 이슈이다. 본 연구에서는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ATRP)와 고체상 펩타이드 합성법을 이용하여 펩타이드-고분자 하이브리드 소재를 제조하였다. PYGK(proline-tyrosine-glycine-lysine) 펩타이드를 제조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고체상 펩타이드 합성법을 이용하였다. PYGK 펩타이드는 섬유소용해(fibrinolysis) 과정에서 플라스미노젠과 반응하는 PFGK(proline-phenylalanine-glycine-lysine)와 유사한 펩타이드이다. 펩타이드와 펩타이드 개시제는 MALDI-TOF와 $^1H$ NM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펩타이드-고분자인 pSt-PYGK는 GPC, IR, $^1H$ NMR 분석법, 그리고 T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형 마이셀 집합체는 TEM과 SEM으로 측정하였다. 본 합성방법은 고유결합 활성도를 가진 잘 정의된 펩타이드-고분자 하이브리드 소재를 합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peptide(or protein)-polymer hybrid materials (PPs) were sought in many research areas as potential building blocks for assembling nanostructures in selective solvents. In PPs, the facile routes of preparing well-defined peptide-polymer bio-conjugates and their specific activities in va...

주제어

참고문헌 (25)

  1. I. W. Hamley, A. Ansari, V. Castelletto, H. Nuhn, A. Rosler, and H. A. Klok, Biomacromolecules, 6, 1310 (2005). 

  2. J. Rodriguez-Hernandez, F. Checot, Y. Gnanou, and S. Lecommandoux, Prog. Polym. Sci., 30, 691 (2005). 

  3. D. J. Siegwart, J. K. Oh, and K. Matyjaszewski, Prog. Polym. Sci., 37, 18 (2012). 

  4. Y. Mei, K. L. Beers, H. C. M. Byrd, D. L. Vanderhart, and N. R. Washburn, J. Am. Chem. Soc., 126, 3472 (2004). 

  5. F. Checot, S. Lecommandoux, Y. Gnanou, and H. A. Klok, Angew. Chem. Int. Ed., 41, 1339 (2002). 

  6. H. Schlaad, B. Smarsly, and M. Losik, Macromolecules, 37, 2210 (2004). 

  7. M. L. Becker, J. Liu, and K. L, Wooley, Biomacromolecules, 6, 220 (2005). 

  8. A. S. Mikhail and C. Allen, J. Control. Release, 138, 214 (2009). 

  9. H. J. Yoon and W. D. Jang, J. Mater. Chem., 20, 211 (2010). 

  10. G. W. M. Vandermeulen, C. Tziatzios, R. Duncan, and H. A. Klok, Macromolecules, 38, 761 (2005). 

  11. A. Rosler, H. A. Klok, I. W. Hamley, V. Castelletto, and O. O. Mykhaylyk, Biomacromolecules, 4, 859 (2003). 

  12. M. L. Becker, J. Liu, and K. L. Wooley, Chem. Commun., 180 (2003). 

  13. I. Hamley, I. Ansari, V. Castelletto, H. Nuhn, A. Rosler, and H. A. Klok, Biomacromolecules, 6, 1310 (2005). 

  14. J. Rodriguez-Hernandez, F. Checot, Y. Gnanou, and S. Lecommandoux, Prog. Polym. Sci., 30, 691 (2005). 

  15. A. Taubert, A. Napoli, and W. Meier, Curr. Opin. Chem. Biol., 8, 598 (2004). 

  16. M. G. J. Ten Cate, N. Severin, and H. G. Borner, Macromolecules, 39, 7831 (2006). 

  17. M. G. J. Ten Cate, H. Rettig, K. Bernhardt, and H. G. Borner, Macromolecules, 38, 10643 (2005). 

  18. B. Le Droumaguet and J. Nicolas, Polym. Chem., 1, 563 (2010). 

  19. K. Matyjaszewski and N. V. Tsarevsky, Nat. Chem., 1, 276 (2009). 

  20. J. Nicolas, G. Mantovani, and D. M. Haddleton, Macromol. Rapid Commun., 28, 1083 (2007). 

  21. S. Dehn, R. Chapman, K. A. Jolliffe, and S. Perrier, Polym. Rev., 51, 214 (2011). 

  22. M. N. Triba, M. Traikia, D. E. Warschawski, L. Nicolas- Morgantini, A. Lety, P. Gilard, and P. F. Devaux, J. Colloid Interface Sci., 274, 341 (2004). 

  23. L. Brecker, Chem. Phys. Lipids, 125, 27 (2003). 

  24. D. R. Iyengar and T. J. McCarthy, Macromolecules, 23, 4344 (1990). 

  25. S. M. Lee, Z. C. Xing, Y. S. Shin, T. H. Gu, B. H. Lee, M. W. Huh, and I. K. Kang, Polymer(Korea), 36, 586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