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생의 성경험 영향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Sexual Debut among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0 no.3, 2014년, pp.159 - 167  

유정옥 (다운초등학교) ,  김현희 (부산대학교병원) ,  김정순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중학생의 인구사회학적, 건강행태 특성별 성경험률과 그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제8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중학생 37,297명을 분석에 이용하였으며, 다단계층화집락추출에 의한 자료이므로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에서 제시한 복합표본설계정보(층화, 집락, 가중치)를 반영하여 SPSS WIN 18.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남학생의 성경험은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경제상태가 중간인 경우보다 높을 때 1.54배(95% CI [1.20, 1.96]), 낮을 때 1.43배(95% CI [1.08, 1.89]) 증가하였고, 양쪽 부모님이 모두 안 계실 때 2.68배(95% CI [1.82, 3.96]),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는 경우 1.98배(95% CI [1.43, 2.74]) 성경험률이 증가하였다. 음주, 흡연, 약물을 할 경우 각각 2.35배(95% CI [1.79, 3.08]), 2.35배(95% CI [1.76, 3.14]), 4.17배(95% CI [2.81, 6.19]) 성경험이 증가하고 우울할 때 1.32배(95% CI [1.01, 1.71]), 자살생각이 있을 때 1.43배(95% CI [1.09, 1.89]), 성교육을 받지 않았을 때 1.67배(95% CI [1.35, 2.08]) 성경험률이 증가하였다. 여학생인 경우는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경제상태가 중간인 경우보다 높을 때 1.87배(95% CI [1.30, 2.70]),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는 경우 1.79배(95% CI [1.21, 2.67]) 성경험률이 증가하였다. 흡연을 할 경우 3.95배(95% CI [2.56, 6.10]), 약물을 사용할 경우 5.48배(95% CI [2.80, 10.74]) 성경험률이 증가하고 우울할 때 1.65배(95% CI [1.17, 2.31]), 스트레스가 조금인 경우보다 없을 때 2.30배(95% CI [1.18, 4.48]), 성교육을 받지 않았을 때 1.50배(95% CI [1.09, 2.07]) 성경험률이 증가하였다. 반면 부모학력이 중졸이하보다 고졸일 경우와 1학년보다 2학년의 경우 성경험률이 낮았다. 결론 남녀 중학생의 공통된 성경험 영향요인은 가정 경제수준, 아르바이트 경험, 현재 흡연, 약물사용, 우울, 성교육이었고, 남학생의 경우 양쪽 부모 동거 상태, 음주, 자살생각이 여학생과는 다른 관련 요인이었으며 여학생의 경우 부모학력, 스트레스, 학년이 남학생과는 다른 영향요인이었다. 성경험과 관련하여 남녀 학생별로 영향요인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남녀별로 차별화된 성건강 중재개발이 요구되며 성경험이 음주, 흡연, 약물 등의 문제행동과 함께 나타나므로 중학생의 성건강을 위해서는 단편적인 성교육 프로그램보다 정신건강 및 건강습관의 틀과 함께 접근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ssociated with sexual debut among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From the database of the Eigh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KYRBS), the researchers selected 37,297 middle school students aged 12-15 years. Data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제8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원시자료를(KCDC, 2012) 이용하여 우리나라 중학생의 성경험률을 파악하고 그 영향요인을 조사하기 위해 시도된 단면조사연구이다.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는 국민건강증진법을 근거로 실시하는 정부 승인통계(승인번호 11758호) 조사로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및 질병관리본부가 주관하여 우리나라 전국 중학생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횡단적 조사 자료이다.
  • 이에 본 연구는 모집단 층화추출을 통해 우리나라 전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중학생의 성경험률과 그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청소년 시기 이른 성경험으로 인한 부정적인 성건강 문제를 예방하는 간호중재 방안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평균 첫 성경험 시기는 언제인가요? 이런 가운데 최근 전국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첫 성경험 시기가 평균 13.6세로 중학생 시기에 주로 시작되는 것으로 나타났고(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2012), 여성가족부의 ‘2012년 청소년유해환경 접촉 종합실태조사’에서 성관계 경험자 중 중학교 때 처음 성관계를 가졌다는 응답이 전체 응답자중 49.3%로 절반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나(Lee, Lee, & Kim, 2012)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이른 시기의 성경험에 관한 조사가 필요하나 국내 기존 연구들은 고등학생에 한정(Kim et al.
청소년기의 이른 성경험으로 인한 문제들을 줄이고 예방하기 위한 적절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2006; Lee, 2007)하여 연구가 수행되어 이른 시기에 성경험을 하는 청소년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였다. 또한 16세 이전의 이른 성경험은 청소년이 성인이 된 후 더 많은 성 상대자를 만나게 하고 알코올 및 약물의 영향 아래에서 성경험을 하게하며, 성병으로의 이환을 더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이른 성경험은 장기적으로 성 건강에 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Sandfort, Orr, Hirsch, & Santelli, 2008). 그러므로 청소년기의 이른 성경험으로 인한 문제들을 줄이고 예방하기 위한 적절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서는 청소년의 이른 성경험에 대한 영향요인들을 우선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청소년 성경험과 관련하여 중요한 영향 요인은 무엇인가요? 이러한 이유로 국내외에서 청소년 성경험 관련 요인에 관한 여러 연구들이 수행되었는데, 국외 선행연구들에서 개인과 관련된 요인으로는 흡연, 음주, 약물복용, 폭력성, 낮은 학업 성취, 반사회적 행동 등이 성경험과 관련이 있었고(Boislard & Poulin, 2011; Kuzman, Simetin, & Franelić, 2007; Peltzer, 2010), 환경적인 측면에서는 부모와 친구와의 유대관계, 이성친구의 비율 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Boislard & Poulin, 2011; Peltzer, 2010). 또한 부모 요인은 청소년 성경험과 관련하여 중요한 영향 요인이었는데 부모 동거 여부, 부모의 자녀 관리(monitoring) 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Biddlecom, Awusa bo-Asare, & Bankole, 2009; Lenciauskiene & Zaborskis, 2008; Wight, Williamson, & Henderson, 2006). 국내 연구를 살펴보면 남자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학교 성적, 성 허용성, 위험한 활동추구와 사회적 일탈 추구의 개인적 특성이 성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으로 확인되었고, 환경과 관련된 요인으로는 부모와 동거 여부, 학교 계열, 이성친구가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Kim, Kwon, & Jung,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rmour, S., & Haynie, D. L. (2007). Adolescent sexual debut and later delinquency.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6(2), 141-152. http:// dx.doi.org/10.1007/s10964-006-9128-4 

  2. Biddlecom, A., Awusabo-Asare, K., & Bankole, A. (2009). Role of parents in adolescent sexual activity and contraceptive use in four African countries.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35(2), 72-81. http://dx.doi.org/10.1363/ipsrh.35.072.09 

  3. Boislard, P. M. A., & Poulin, F. (2011). Individual, familial, friends-related and contextual predictors of early sexual intercourse. Journal of Adolescence, 34(2), 289-300. http://dx.doi.org/10.1016/j.adolescence.2010.05.002 

  4. Cavazos-Rehg, P. A., Krauss, M. J., Spitznagel, E. L., Schootman, M., Bucholz, K. K., Peipert, J. F., et al. (2009). Age of sexual debut among US adolescents. Contraception, 80(2), 158-162. http://dx.doi.org/10.1016/j. contraception.2009.02.014 

  5. Hallfors, D. D., Waller, M. W., Ford, C. A., Halpern, C. T., Brodish, P. H., & Iritani, B. (2004). Adolescent depression and suicide risk: Association with sex and drug behavior.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7(3), 224-231. http://dx.doi.org/10.1016/j.amepre.2004.06.001 

  6. Im, M. Y., & Mun, Y. H. (2003). A study on knowledge, attitude and experience of middle school boys toward sexual behavi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4(2), 223-231. 

  7. Kang, S. J., & Cho, B. E. (2013). The effects of storytelling techniques in the sex education on sound sexual value of middle school students - Focused on the contents of the unit of 'understanding of adolescents' in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in middle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5(1), 15-36. 

  8. Kim, K. H., Kwon, H. J., & Jung, H. K. (2004). A study on the variables forecasting male adolescents' sexual intercour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6), 954-963. 

  9. Kim, S. E. (2012). Reconsidering a problematic relationship between youth employment and delinquency. Journal of Police Science, 7(2), 431-458. 

  10. Kim, Y. J. (2012).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havior and socioeconomic factors in Korean adolescents: Using data from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Public Health Weekly Report, 5(10), 178-184. 

  1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December). The eigh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VIII). Cheongwon. 

  12. Kuzman, M., Simetin I. P., & Franeli?, I. P. (2007). Early sexual intercourse and risk factors in Croatian adolescents. Collegium Antropologicum, 31(Suppl 2), 121-130. 

  13. Kwon, H. J., Kim, K. H., Choi, M. H., & Kim, H. Y. (2006). A study on the variables forecasting female adolescents' sexual intercour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5(2), 170-178. 

  14. Lee, J. H. (2007). A study on the variables forecasting female high school students' sexual intercourse. Studies on Korean Youth, 18(2), 111-131. 

  15. Lee, J. W., Lee, Y. J., & Kim, J. H. (2012, December). A survey on harmful environment of Korean adolescents in 2012.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16. Lee, M. H. (2013). 2013 Seoul youth sex culture research. Seoul: Aha Sexuality Education & Counseling Center for Youth. 

  17. Lee, S. D., Yeum, D. M., & Kim, S. J. (2013). The impact of adolescent stress on juvenile delinquency: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trol.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5(1), 55-75. 

  18. Lenciauskiene, I., & Zaborskis, A. (2008). The effects of family structur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parental monitoring on early sexual behaviour among adolescents in nine European countries.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36, 607-618. http://dx.doi.org/10.1177/1403494807088460 

  19. Madkour, A. S., Farhat, T., Halpern, C. T., Godeau, E., & Gabhainn, S. N. (2010). Early adolescent sexual initiation as a problem behavior: A comparative study of five nation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Care, 47(4), 389-398. http://dx.doi.org/10.1016/j.jadohealth.2010.02.008 

  20. Mardh, P. A., Creatsas, G., Guaschino, S., Hellberg, D., & Henry-Suchet, J. (2000). Correlation between an early sexual debut, and reproductive health and behavioral factors: A multinational European study. European Journal of Contraception and Reproductive Health Care, 5(3), 177-182. 

  21. Markham, C. M., Tortolero, S. R., Peskin, M .F., Shegog, R., Thiel, M., Baumler, E. R., et al. (2012). Sexual risk avoidance and sexual risk reduction interventions for middle school youth: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Care, 50(3), 279-288. http:// dx.doi.org/10.1016/j.jadohealth.2011.07.010 

  22. Peltzer, K. (2010). Early sexual debut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inschool adolescents in eight African countries. Acta Paediatrica, 99(8), 1242-1247. http://dx.doi.org/10.1111/j.1651-2227.2010.01874.x 

  23. Ryu, E. J., Choi, S. Y., & Kim, Y. H. (2004). Factors associated with female adolescents' sexual experienc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8(2), 239-250. 

  24. Sandfort, T. G., Orr, M., Hirsch, J. S., & Santelli, J. (2008). Long-term health correlates of timing of sexual debut: Results from a national US stud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8(1), 155-161. http://dx.doi. org/10.2105/AJPH.2006.097444 

  25. Spriggs, A. L., & Halpern, C. T. (2008). Sexual debut timing and depressive symptoms in emerging adulthood.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7(9), 1085-1096. http://dx.doi.org/10.1007/s10964-008-9303-x 

  26. Valle, A. K., Torgersen, L., Roysamb, E., Klepp, K. I., & Thelle, D. S. (2005). Social class, gender and psychosocial predictors for early sexual debut among 16 year olds in Oslo.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15(2), 185-194. http://dx.doi.org/10.1093/eurpub/cki121 

  27. Wellings, K., Nanchahal, K., Macdowall, W., McManus, S., Erens, B., Mercer, C. H. et al. (2001). Sexual behaviour in Britain: Early heterosexual experience. Lancet, 358(9296), 1843-1850. http://dx.doi.org/10.1016/ S0140-6736(01)06885-4 

  28. Wight, D., Williamson, L., & Henderson, M. (2006). Parental influences on young people's sexual behaviour: A longitudinal analysis. Journal of Adolescence, 29(4), 473-494. http://dx.doi.org/10.1016/j.adolescence. 2005.08.007 

  29.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8). Inequalities in young people's health: Health behavior in school-aged children international report from the 2005/2006 survey. Scotland: Child and Adolescent Health Research Uni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