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균형성과표를 이용한 병원 간호조직의 핵심성과지표 문헌분석
A Review of Key Performance Indicators Using a Balanced Scorecard in the Nursing Department of Hospitals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1 no.1, 2014년, pp.14 - 25  

임지영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오승은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대학원) ,  고국진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대학원) ,  이현희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대학원) ,  박연홍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대학원) ,  장진희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대학원) ,  윤수미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key performance indicators using a balanced scorecard in the nursing department of hospitals, and to find useful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Methods: Before starting the literature search clear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were determined.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00년 1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균형성과표를 이용한 병원 간호조직 핵심성과지표 관련 연구를 탐색한 문헌분석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 병원 간호조직에 도입된 균형성과표를 이용한 핵심성과지표 개발 연구를 분석하여 향후 균형성과표를 이용한 간호조직 핵심성과지표 개발을 위한 과제와 연구의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DB 분석에 따르면 2000년 이후 병원을 대상으로 균형성과표 도입 및 적용을 분석한 연구는 50여 편 이상인 반면, 간호조직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10여 편에 불과한 점이 확인되었다.
  • 결과적으로 균형성과표를 이용한 간호 조직의 핵심성과지표 개발의 필요성과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실제 연구를 통해 개발된 핵심성과지표의 활발한 활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다양한 간호 조직과 간호 현장에서 보다 적은 노력과 시간으로 응용할 수 있는 타당성을 갖춘 간호조직 핵심성과지표 prototype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간호조직 핵심성과지표 prototype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국내에서 이루어진 균형성과표를 이용한 간호조직의 핵심성과지표 개발 연구를 대상으로 문헌 분석을 통해 현재까지 이루어진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간호조직에서의 균형성과표 개발 및 적용을 위한 과제가 무엇인 지를 탐색하여 그에 따른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조직의 성과가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는 이유는? 이는 병원의 효율적 목표 달성을 위해서 간호조직의 성과가 과학적이고 합리적으로 개발, 측정, 관리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병원조직은 재무적 관점에 해당하는 진료수익을 중심으로 성과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어, 간호부서의 경우 환자치료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에도 불구하고 소비 부서로 인식되어지는 등 제대로 평가 받지 못하고 있다(Park, 2001). 의사의 처방을 수행하고 의료관련 부서와의 협력을 도모하며 환자의 건강회복에 필요한 간호를 직접 제공하는 등, 환자 치유 과정의 전반에 걸쳐 관여하는 간호의 특성으로 볼때, 간호에 대한 적정한 성과평가를 위해서는 보다 합리적인 성과관리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Yoo, 2001).
균형성과표란? 균형성과표는 1992년에 Kaplan과 Norton (1992)에 의해 개발된 조직 전략 구축 및 의사소통 도구로 전통적인 조직 성과평가가 가지는 재무 관점 중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 새로운 성과관리 개념이다. 균형성과표는 재무 외에 고객, 내부업무프로세스, 학습과 성장의 4가지 관점을 통해 조직이 전략적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조직구성원에게 성과창출 방법을 제시하는 도구이자 철학이다. 균형성과표를 조직 경영에 도입함으로써 병원은 재무적 관점 중심의 과거 지향적 성과 관리시스템에서 벗어나, 조직의 성과창출을 위한 과정을 체계 적으로 관리하고 조직구성원의 역할에 대한 명확한 지침을 제공함으로써 조직의 지속적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미래지향적 성과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Kang & Han, 2009).
병원이 균형성과표를 경영에 도입하여 얻을 수 있는 효과는? 균형성과표는 재무 외에 고객, 내부업무프로세스, 학습과 성장의 4가지 관점을 통해 조직이 전략적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조직구성원에게 성과창출 방법을 제시하는 도구이자 철학이다. 균형성과표를 조직 경영에 도입함으로써 병원은 재무적 관점 중심의 과거 지향적 성과 관리시스템에서 벗어나, 조직의 성과창출을 위한 과정을 체계 적으로 관리하고 조직구성원의 역할에 대한 명확한 지침을 제공함으로써 조직의 지속적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미래지향적 성과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Kang & Han,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oi, B. H. (2011). One book is enough to master BSC. Paju: Edambooks. 

  2. Choi, Y. J., Lim, J. Y., Lee, Y. H., & Kim, H. S. (2008). Development of nursing key performance indicators for an intensive care unit by using a balanced scorecar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5), 656-666. 

  3. Chun, J. R. (2009). Application of the balanced scorecard for the performance measurement in health-care organization. The Korea Contents Society, 9(4), 254-264. 

  4. Chun, J. R. (2010). The analysis of order priority of management performance factors in medical organiza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Contents Society, 11(10), 3733-3739. 

  5. Hong, Y., Hwang, K., Kim, M., & Park, C. (2008). Balanced scorecard for performance measurement of a nursing organization in a Korean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1), 45-54. 

  6. Kang, K. H. (2003). Development of the balanced scorecard for the hospital nursing uni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7. Kang, K. H., & Han, Y. H. (2009). A study of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ators of nursing department in a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1), 106-115. 

  8. Kaplan R. S., & Norton, D. P. (1992). The balanced scorecard-measures that drive performance. Harvard Business Review, 71-79. 

  9. Kim, H. K., & Seong, E. S. (2001). Strategic performance management BSC (balanced scorecard). Seoul: Sigmainsight Company. 

  10. Kim, I. S., Lee, H. J., Kang, K. H., & Jang, S. J. (2005). A survey for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ators of nursing organizations in hospital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1(4), 385-399. 

  11. Kim, T. K., Kim, J. W., & Song, K. S. (2011). A study on success factors of BSC implementation in a medical institution. Journal of Human Resources Management, 18(4), 277-298. 

  12. Lee, K. Y. (2013).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icators for hospital nursing units and estimation of weighted valu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University, Seoul. 

  13. Lee, Y. H. (1987).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the christian hospita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4. Nam, M., Park, J., & Ryu, R. (1999).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for the realization of knowledge management, team organization, annual salary system. Seoul: The Korean Press. 

  15. Park, G. S., Kwak, T. W., Kim, H. J., & Kim, Y. T. (2006). To do this, try running the BSC to achieve your vision. Paju: 21cbook. 

  16. Park, I. Y. (2001). Nursing service evaluations of patients and nurses at moment of tru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7. Park, S. A., Kim, J. H., Park, K. O., Kim, M. S., & Kim, S. Y. (2009). Development a tool for evaluating nurses' performance in hospital uni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5(2), 5-21. 

  18. Park, S. H. (2004). Development of the criteria of performance evaluation for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nursing un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University, Seoul. 

  19. Shin, H. S. (2013). Development of an outcome indicator of hospital based home health care using the balanced scorecard framework.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0. Yoo, J. I. (2001). Development of a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for the perioperative nursing unit using the Balanced Scorecard (BSC).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1. Yoon, W. S., Lee, H. K., Maeng, S. J., & Song, J. H. (2012). Development of key performance indicators (KPI) for the nursing department in the military hospital.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30(1), 5-24. 

  22. Zelman, W. N., Pink, G. H., & Matthias, C. B. (2003). Use of the balanced scorecard in health care. Journal of Health Care Management, 29(4), 1-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