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간호 주돌봄 제공자의 감염관리에 대한 지식 및 수행도
Knowledge and Performance on Infection Control among Caregivers in Home Care Services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1 no.1, 2014년, pp.69 - 78  

손순영 (아시아태평양감염재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at providing guidelines and educational manuals on infection control for the home care environment, by assessing the knowledge and performance among the caregivers in home care.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to March 2013. Participants were 172 caregivers who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가정간호 주돌봄 제공자의 감염관리에 대한 지식 및 수행도를 조사하여 가정간호 주돌봄 제공자를 위한 감염관리 지침 및 감염관리 교육 매뉴얼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가정간호 환자를 돌보는 주돌봄 제공자의 감염 관리 지식 및 수행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가정간호 환자의 주돌봄 제공자의 감염관리에 대한 지식 및 수행도를 조사하였다. 감염관리에 관한 지식의 총점은 20점 만점에 평균 13.
  • 이에 본 연구자는 가정간호 대상자의 간호를 전적으로 담당하고 있는 주돌봄 제공자의 감염관리에 대한 지식 및 수행 도를 조사하여 가정간호 환경에 맞는 감염관리의 지침과 교육매뉴얼을 만드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정은 병원에서와 같이 구조적이고 조직적인 손씻기 시설, 소독시설, 물품 보관시설이 부족하고, 주돌봄 제공자의 기본 적인 감염 예방 지식이나 술기가 부족한 상태이다(Friedman & Rhinehart. 1999; Robyn. 199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정간호란? 가정간호란 병, 의원 등 기관이나 시설에서 제공하던 간호를 가정에 있는 환자에게 제공하는 간호를 의미한다(Kim, 2008). 가정간호 대상자는 입원 후 조기퇴원 환자, 수술 후조기퇴원 환자, 뇌혈관질환 등 만성질환자, 산모 및 신생아, 기타 주치의가 의뢰한 환자이며 이들에게 기본간호, 처치적 간호 (기관지 절개간호, 흡인, 산소요법, 욕창간호, 경관영양, 통증간호, 도뇨관리, 장루간호, 투석간호, 봉합사 제거, 회음부 간호, 산모 및 신생아 간호 등), 검체 채취, 환자와 보호자에게 교육 및 상담 등을 제공한다(Yoo, 2007).
가정간호 대상자는 누구인가? 가정간호란 병, 의원 등 기관이나 시설에서 제공하던 간호를 가정에 있는 환자에게 제공하는 간호를 의미한다(Kim, 2008). 가정간호 대상자는 입원 후 조기퇴원 환자, 수술 후조기퇴원 환자, 뇌혈관질환 등 만성질환자, 산모 및 신생아, 기타 주치의가 의뢰한 환자이며 이들에게 기본간호, 처치적 간호 (기관지 절개간호, 흡인, 산소요법, 욕창간호, 경관영양, 통증간호, 도뇨관리, 장루간호, 투석간호, 봉합사 제거, 회음부 간호, 산모 및 신생아 간호 등), 검체 채취, 환자와 보호자에게 교육 및 상담 등을 제공한다(Yoo, 2007).
다약제 내성균주의 특징은? 환자들에게 상주하는 다약제 내성균은 자연환경 상태에서도 오랜 기간 생존할 수 있고, 환자의 상주균의 일부가 되어 침입하여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환경이 될 때까지 기회를 기다리므로(Irena, 2007) 가정간호를 받는 대상자들에 대한 일상 감염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im, Y. S. (2008). Home health care nursing. Seoul : Koonja 

  2. Yoo, H. S. (2007). Home Health Care in Korea - Home Health Care Nursing, Visiting Health Care Nursing, Visiting Health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Home Care Nursing, 14(2), 98-105. 

  3. Friedman MM, Rhinehart E. (1999). Putting infection control principles into practice in home care,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34(2), 463-82. 

  4. Robyn R. (1999). Infection control in the home. update. Geriatric Nursing. 15(5):297-300. 

  5. Suh, M. H., Hur, H. K. (1998). Categorization of nursing diagnosis and nursing intervention used in home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Home Care Nursing, (5), 47-60 

  6. Jeong, I. S., Jeong, J. S., Shin, Y. A., Kang, K. S., Kim, M. J., Jo, B. H., Kim, K. S., Hwang, S. K. (2002). Knowledge on infection control for home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Home Care Nursing. 9(1), 5-13. 

  7. Kim, J. S., Lee, S. J., Kang, I. S. (2005). A study on knowledge, Educational needs and educational experience for indwelling catheter management in the families of home care cl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Home Care Nursing. 12(1), 37-38 

  8. Irena L. (2007).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in home healthcare. Home Healthcare Nurse. 25(7): 459-69. 

  9. Ministry of Health & Welfare (Ed.), (2008). Innovation 5 years' plan for health technology R&D. Ministry of Health & Welfare. 

  10. Park, H. Y. (2010). Point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home health care associated infections in general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Ulsan, Ulsan. 

  11. Park, Y. R. (2007). Knowledge, attitude and self-confidence of student nurses regarding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4(4), 429-436 

  12. Kang, J. Y., Kim, J. W., Kim, Y. J., Lee, D. H., Park, J. Y., Jung, H. K., Lee, S. H., Nam, E. (2009). Hospital nurses' knowledge and compliance on multidrug-resistant organism infection control guidelin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2):186-197 

  13. Park, E. J., Lim, Y. J., Cho, B. H., Sin, I. J., Kim, S. O. (2011). A survey on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by workers in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3(2), 79-90. 

  14. Ryu, H. S. (2006). Current status of costs and utilizations of hospital based home health nursing care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7), 1193-1203 

  15. Das I, O'Connell N, Lambert P. (2007), Epidemiology, clinical and laboratory characteristics of Staphylococcus aureus bacteremia in a university hospital in UK.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65(2), 117-123. 

  16. Kim, K. J. (2005). A study on old-age medical serv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7. Hong, M. R., Ko, Y. G., Bae, S. K. (2006). A basic survey of health and welfare service for establishment of social safety network for solitary elderly. Ministry of Health & Welfare.Korean institute of Gerontology 

  18. Yun, S. O. (2010). The current situations and policy issues of home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focused on Geumjeong-gu ca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Pusan. 

  19. Yoon, S. W. (2003). Infection control in home care nursing.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8(2), 123-134. 

  20. Lee, Y. H., Kim, I. S. (2002). A study on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 levels on the prevention of hospital infection among intensive care unit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6:197-210 

  21. Kim, M. H., Kim, J. S., Jeong, H. K., Lee, S. Y., Kim, J. S., Kang, I. S. (2003). The actual state of handwashing in nurses in medical and surgical wards of a University hospital.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4:565-569. 

  22. Kim, N. C., Choi, K. O. (2002). Effects on nurses' hand washing behavior and reduction of respiratory isolation rate of MRSA of the hand washing educatio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4(1), 26-33. 

  23. Song, W. K., Lee, T. J., Kim, S. J., Park, M. J., Lee, K. M. (2001).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s in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 relation to nasal carriage of patients or ICU Personnels. Korean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 4(1), 45-51 

  24. Bang, K. M. (2013). Clinical observation on Staphylococcus aureus bacteremia of home health care associated with community acquired.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hmyook University, Seoul. . 

  25. Yeom, Y. K. (2004). Development of content for infection control guideline in home nursing ca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