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 세포 모델에서 곤포의 효능과 기전 연구
Research on Anti-lipogenic Effect and Underlying Mechanism of Laminaria japonica on Experimental Cellular Model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35 no.2, 2014년, pp.175 - 183  

김소연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권정남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이인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홍진우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최준용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박성하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권민정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주명수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한창우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We tried to uncover the anti-lipogenic effect and underlying mechanism of Laminaria japonica on an experimental cellular model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Methods : Ethanol extract of Laminaria japonica (LJ) was prepared. Intracellular lipid content of palmitate-treated HepG2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곤포 추출물의 anti-lipogenic effect가 Nrf2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확인해보기 위해, HepG2 cell에 곤포 추출물을 투여하고 Nrf2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곤포 추출물은 Nrf2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따라서 곤포 추출물의 anti-lipogenic effect가 최소한 부분적으로는 Nrf2활성화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 이에 저자는 본 연구에서 곤포를 대상으로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에서의 그 효능 및 작용 기전을 확인해 보고자, lipogenesis를 유발하는 주요 신호체계인 LXRα-SREBP-1c pathway8와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key regulator로 최근 주목받고 있는 Nrf29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방간이란? 지방간이란 간조직에 지방이 과다 축적되어 간 무게의 5%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를 말하여, 지방 섭취 증가, 간 내 지방 축척 및 합성 증가, 또는 간에서의 지방 배출이 감소하는 하는 경우 발생하게 된다1. 지방간의 주요 원인은 비만, 2형 당뇨, 이상지질혈증(dyslipidemia), 과도한 음주, 일부 약물, C형 간염, Wilson’s disease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음주, 약물이나 특정 질환에 의해 속발하는 경우, 또는 선천적 대사 장애 등에 의한 경우는 제외하고, 비만, 2형 당뇨, 이상지질혈증 등의 대사 이상 상태에 의해 발생한 경우를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이라고 한다2.
지방간이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지방간이란 간조직에 지방이 과다 축적되어 간 무게의 5%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를 말하여, 지방 섭취 증가, 간 내 지방 축척 및 합성 증가, 또는 간에서의 지방 배출이 감소하는 하는 경우 발생하게 된다1. 지방간의 주요 원인은 비만, 2형 당뇨, 이상지질혈증(dyslipidemia), 과도한 음주, 일부 약물, C형 간염, Wilson’s disease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음주, 약물이나 특정 질환에 의해 속발하는 경우, 또는 선천적 대사 장애 등에 의한 경우는 제외하고, 비만, 2형 당뇨, 이상지질혈증 등의 대사 이상 상태에 의해 발생한 경우를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이라고 한다2.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발병 과정은 어떻게 되는가?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은 발병 과정은 복잡한 다단계의 반응으로 구성된다. 처음에는 비만, 당뇨, 고질혈증 등으로 인해 insuline resistance가 유발되고 이로 인해 간내 지질 축적이 증가한다. 증가한 지방산은 mitochondria, peroxisome 및 endoplasmic reticulum에서 대사 과정을 거치며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증가한 산화적 스트레스는 ATP 및 NAD 고갈, DNA 손상, 각종 단백과 세포막 손상을 유발하고, kuffer cell을 활성화시켜 각 종 inflammatory cytokines를 증가키시며, stellate cell을 활성화시켜 fibrosis를 유발한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Sourianarayanane A, Pagadala MR, Kirwan JP. Manage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Minerva Gastroenterol Dietol 2013;59(1):69-87. 

  2. Masuoka HC, Chalasani 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n emerging threat to obese and diabetic individuals. Ann NY Acad Sci 2013; 1281:106-22. 

  3. Beaton MD. Current treatment options for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nd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Can J Gastroenterol 2012;26(6):353-7. 

  4. Shi KQ, Fan YC, Liu WY, Li LF, Chen YP, Zheng MH. Traditional Chinese medicines benefit to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ol Biol Rep 2012; 39(10):9715-22. 

  5. Kim YS, Kang CO, Kim MH, Cha WS, Shin HJ. Contents of water extract for laminaria japonica and its antioxidant activity. KSBB Journal 2011; 26(2):112-8. 

  6. Hasani-Ranjbar S, Jouyandeh Z, Abdollahi M. A systematic review of anti-obesity medicinal plants - an update. J Diabetes Metab Disord 2013;12(1):28. 

  7. Huh J. Donguibogam. Seoul: Beobin Press; 1999, p. 745. 

  8. Repa JJ, Liang G, Ou J, Bashmakov Y, Lobaccaro JM, Shimomura I, Shan B, Brown MS, Goldstein JL, Mangelsdorf DJ. Regulation of mouse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c gene (SREBP-1c) by oxysterol receptors, LXRalpha and LXRbeta. Genes Dev 2000;14(22):2819-30. 

  9. Bataille AM, Manautou JE. Nrf2: a potential target for new therapeutics in liver disease. Clin Pharmacol Ther 2012;92(3):340-8. 

  10. Pettinelli P, Obregon AM, Videla LA. Molecular mechanisms of steatosis i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utr Hosp 2011;26(3):441-50. 

  11. Kay HY, Kim WD, Hwang SJ, Choi HS, Gilroy RK, Wan YJ, Kim SG. Nrf2 inhibits LXR ${alpha}$ -dependent hepatic lipogenesis by competing with FXR for acetylase binding. Antioxid Redox Signal 2011;15(8):2135-46. 

  12. Browning JD, Horton JD. Molecular mediators of hepatic steatosis and liver injury. J Clin Invest 2004;114(2):147-52. 

  13. Wu JN. An illustrated Chinese materia medica.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p. 368-9. 

  14. Miyata M, Koyama T, Kamitani T, Toda T, Yazawa K. Anti-obesity effect on rodents of the traditional Japanese food, tororokombu, shaved Laminaria. Biosci Biotechnol Biochem 2009;73(10):2326-8. 

  15. Shirosaki M, Koyama T. Laminaria japonica as a food for the prevention of obesity and diabetes. Adv Food Nutr Res 2011;64:199-212. 

  16. Li X, Yu Z, Long S, Guo Y, Duan D. Hypoglycemic Effect of Laminaria japonica Polysaccharide in a Type 2 Diabetes Mellitus Mouse Model. ISRN Endocrinol 2012;2012:507462. 

  17. Jin DQ, Li G, Kim JS, Yong CS, Kim JA, Huh K. Preventive effects of Laminaria japonica aqueous extract on the oxidative stress and xanthine oxidase activity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 liver. Biol Pharm Bull 2004;27(7):1037-40. 

  18. Li C, Gao Y, Li M, Shi W, Liu Z. [Effect of Laminaria japonica polysaccharides on lowing serum lipid and anti-atherosclerosis in hyperlipemia quails]. Zhong Yao Cai 2005;28(8):676-9. 

  19. Yuan ZZ, Cheng KM, Huang W, Dilshat, Feng DR. [Study on industrialized extraction technology and function of hyperlipidemic regulating of Laminaria japonica polysaccharides]. Zhong Yao Cai 2010;33(11):1795-8. 

  20. Laffitte BA, Chao LC, Li J, Walczak R, Hummasti S, Joseph SB, Castrillo A, Wilpitz DC, Mangelsdorf DJ, Collins JL, Saez E, Tontonoz P. Activation of liver X receptor improves glucose tolerance through coordinate regulation of glucose metabolism in liver and adipose tissue. Proc Natl Acad Sci USA 2003;100(9):5419-24. 

  21. Lee EK, Park YJ. Metabolic regulation of nuclear receptors. EnM 2008;23(3):155-64. 

  22. Copple IM. The Keap1-Nrf2 cell defense pathway--a promising therapeutic target? Adv Pharmacol 2012;63:43-79. 

  23. Chowdhry S, Nazmy MH, Meakin PJ, Dinkova -Kostova AT, Walsh SV, Tsujita T, Dillon JF, Ashford ML, Hayes JD. Loss of Nrf2 markedly exacerbates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Free Radic Biol Med 2010;48(2):357-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