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아의 아데노바이러스와 A군 연쇄구균 인두염의 임상적 특징의 비교
A Comparison of Clinical Characteristics between Adenoviral and Group A Streptococcal Pharyngitis in Children 원문보기

소아감염 = Korean journal of pediatric infectious diseases, v.21 no.2, 2014년, pp.121 - 128  

김소형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소아청소년과) ,  정혜령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소아청소년과) ,  김인욱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소아청소년과) ,  양무열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소아청소년과) ,  조성민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소아청소년과) ,  강은경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소아청소년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아데노바이러스와 A군 연쇄구균에 의한 인두염에서 임상적 특징과 검사 소견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방법: 2011년 1월부터 2013년 7월까지 열성 호흡기 질환으로 입원한 환자 중 아데노바이러스 감염 환자와 2006년 8월부터 2013년 7월까지 성홍열의 증상으로 내원하여 A군 연쇄구균 인두염으로 진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179명(AV1군)이 아데노바이러스 인두염으로 진단되었고, 이 중 37명(AV2군)이 아데노바이러스 단독 감염이었다. 26명(GAS군)의 환자가 성홍열로 진단되었다. 아데노바이러스 감염(AV2군)은 GAS군에 비하여 더 어린 연령에서 발병하였다($2.8{\pm}2.1$세 vs. $5.4{\pm}1.8$세, P =0.000). 총 발열 기간과 입원 기간은 AV2군에서 더 길었다(각각 $6.3{\pm}2.6$일 vs. $3.3{\pm}1.9$일, P =0.000; $4.1{\pm}1.2$일 vs. $1.9{\pm}1.8$일, P =0.000). 백혈구 수는 AV2군에서 높았다($11,449{\pm}5,680/mm^3$ vs. $6,722{\pm}6,941/mm^3$, P =0.000). CRP는 AV2군과 GAS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3.8{\pm}3.2$ mg/dL vs. $5.2{\pm}5.1$ mg/dL, P =0.368). 항생제 사용 비율은 두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91.9% vs. 100%, P =0.261). 결론: 임상적 특징과 검사 소견에서 염증의 척도는 아데노바이러스와 A군 연쇄구균에 의한 인두염에서 유사하였다. 백혈구 및 CRP의 상승이 동반된 인두염 환자에서 감별을 위해 조기에 호흡기 바이러스와 세균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compar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laboratory finding between adenoviral and group A streptococcal (GAS) pharyngitis.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of medical records was performed in the patients with adenovirus infection among those who were admitted for febrile respiratory d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한 상기도 감염에서의 염증 반응의 정도나 다른 세균 감염과의 비교 연구는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한 상기도 감염에서도 염증 반응이 심할 것이라는 전제 하에 세균성 상기도 감염 간에 임상양상과 검사 소견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의 특징은 무엇인가? 소아에서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은 호흡기 질환의 5-10%를 차지하며3) 감염의 전파는 호흡기와 분변 구강 경로(fecal-oral route)를 통해 이루어진다13, 14) .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은 오래 지속되는 고열과 중등도 이상의 염증 반응을 보여 세균 감염과 매우 유사한 점이 다른 바이러스와 구별되는 특징이다13, 15, 16) .
아데노바이러스 감염 환자 대부분이 원인 균주의 결과가 나오기 전 거의 경험적 항생제를 시작하게 되는 것은 어떤 문제점을 가지는가? 그러나 아데노바이러스 감염 환자들 대부분이 고열과 높은 염증 수치를 보이므로 원인 균주의 결과가 나오기 전 거의 경험적 항생제를 시작하게 된다13) . 이와 같이 바이러스 감염에서 조기의 광범위 항생제 사용 및 과용으로 인한 항생제 내성균의 확산 우려로, 신중한 항생제 처방에 대한 인식이 점점 커지고 있다1, 17, 26) . 본 연구에서도 91.
아데노바이러스의 후유증은 무엇이 있는가? 그리고 이러한 특징은 다른 바이러스 감염에서보다 더 빈번하게 관찰된다고 알려져 있다1, 3-6) . 특히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한 폐렴 등의 하기도 감염에서 심한 염증 반응으로 인해 폐쇄 기관지염(bronchiolitis obliterans)과 같은 후유증이 남기도하며 기흉, 종격동 기종(pneumomediastinum), 피하기종(subcutaneous emphysema)과 같은 합병증이 동반되면 치명적일 수 있다1, 7)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won HJ, Rhie YJ, Seo WH, Jang GY, Choi BM, Lee JH, et al. Clinical manifestations of respiratory adenoviral infection among hospitalized children in Korea. Pediatrics International 2013;55:450-4. 

  2. Kawasaki Y, Hosoya M, Katayose M, Suzuki H. Correlation between serum interleukin 6 and C-reactive protein concentrations in patients with adenoviral respiratory infection. Pediatr Infect Dis J 2002;21:370-4. 

  3. Chen HL, Chiou SS, Hsiao HP, Ke GM, Lin YC, Lin KH, et al. Respiratory adenoviral infections in children:a study of hospitalized cases in southern Taiwan in 2001-2002, J Trop Pediatr 2004;50:279-84. 

  4. Cherry JD. Adenoviruses. In : Feigin RD, Cherry JD, editors. Textbook of Pediatric Infectious Disease. 2nd ed. Philadelphia: WB Saunders Co, 1998:1666-84. 

  5. Ruuskanen O, Meurman O, Sarkkinen H. Adenoviral diseases in children: a study of 105 cases. Pediatrics 1985;76:79-83. 

  6. Putto A, Meurman O, Ruuskanen O. C-reactive protein in the differentiation of adenoviral, Epstein-Barr viral and streptococcal tonsillitis in children. Eur J Pediatr 1986;145:204-6. 

  7. Mistchenko AS, Diez RA, Mariani AL, Robaldo J, Maffey AF, Bay-ley-Bustamante G, et al. Cytokines in adenoviral disease in children: association of interleukin-6, interleukin-8, and tumor necrosis factor alpha levels with clinical outcome. J Pediatr 1994;124:714-20. 

  8. Peltola V, Mertsola J, Ruuskanen O. Comparison of total white blood cell count and serum c-reactive protein levels in confirmed bacterial and viral infections. J Pediatr 2006;149:721-4. 

  9. American College of Emergency Physicians Clinical Policies Committee; Subcommittee on Pediatric Fever. Clinical policy for children younger than three years presenting to the emergency department with fever. Ann Emerg Med 2003;42:530-45. 

  10. Toikka P, Irjala K, Juven T, Virkki R, Mertsola J, Leinonen M, et al. Serum procalcitonin, C-reactive protein and interleukin-6 for distinguishing bacterial and viral pneumonia in children. Pediatr Infect Dis J 2000;19:598-602. 

  11. Jartti T, Lehtinen P, Vuorinen T, Osterback R, van den Hoogen B, Osterhaus AD, et al. Respiratory picornaviruses and respiratory syncytial virus as causative agents of acute expiratory wheezing in children. Emerg Infect Dis 2004;10:1095-101. 

  12. Ruuskanen O, Sarkkinen H, Meurman O, Hurme P, Rossi T, Halonen P, et al. Rapid diagnosis of adenoviral tonsillitis: a prospective clinical study. J Pediatr 1984;104:725-8. 

  13. Dominguez O, Rojo P, de Las Heras S, Folgueira D, Contreras JR. Clinical present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haryngeal adenovirus infections. Pediatr Infect Dis J 2005;24:733-4. 

  14. Peled N, Nakar C, Huberman H, Scherf E, Samra Z, Finkelstein Y, et al. Adenovirus infection in hospitalized immunocompetent children. Clin Pediatr (Phila). 2004;43:223-9. 

  15. Ruuskanen O, Putto A, Sarkkinen H, Meurman O, Irjala K. C-reactive protein in respiratory virus infections. J Pediatr 1985;107:97-100. 

  16. Appenzeller C, Ammann RA, Duppenthaler A, Gorgievski-Hrisoho M, Aebi C. Serum C-reactive protein in children with adenovirus infection. Swiss Med Wkly 2002;132:345-50. 

  17. Hsieh TH, Chen PY, Huang FL, Wang JD, Wang LC, Lin HK, et al. Are empiric antibiotics for acute exudative tonsillitis needed in children? J Microbiol Immunol Infect 2011;44:328-32. 

  18. Chi H, Chiu NC, Li WC, Huang FY. Etiology of acute pharyngitis in children: is antibiotic therapy needed? J Microbiol Immunol Infect 2003;36:26-30. 

  19. Sun J, Wu KG, Hwang B. Evaluation of the etiologic agents for acute suppurative tonsillitis in children. Zhonghua Yi Xue Za Zhi (Taipei) 2002;65:212-7. 

  20. Douglas RM, Miles H, Hansman D, Fadejevs A, Moore B, Bollen MD. Acute tonsillitis in children: microbial pathogens in relation to age. Pathology 1984;16:79-82. 

  21. Putto A. Febrile exudative tonsillitis: viral or streptococcal? Pediatrics 1987;80:6-12. 

  22. Pulliam PN, Attia MW, Cronan KM. C-reactive protein in febrile children 1 to 36 months of age with clinically undetectable serious bacterial infection. Pediatrics 2001;108:1275-9. 

  23. Peltola H, Jaakkola M. C-reactive protein in early detection of bacteremic versus viral infections in immunocompetent and compromised children. J Pediatr 1988;113:641-6. 

  24. Barone SR, Pontrelli LR, Krilov LR. The differentiation of classic Kawasaki disease, atypical Kawasaki disease, and acute adenoviral infection: use of clinical features and a rapid direct fluorescent antigen test. Arch Pediatr Adolesc Med 2000;154:453-6. 

  25. Bierbaum S, Forster J, Berner R, Rucker G, Rohde G, Neumann-Haefelin D, et al. Detection of respiratory viruses using a multiplex real-time PCR assay in Germany, 2009/10. Arch Virol. 2013;15:[Epub ahead of print] 

  26. Dowell SF, Schwartz B. Resistant pneumococci: protecting patients through judicious use of antibiotics. Am Fam Physician 1997;55:1647-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REEN

저자가 공개 리포지터리에 출판본, post-print, 또는 pre-print를 셀프 아카이빙 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