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길도 세연정(洗然庭)의 공간구조 형식에 내재한 전통색채 분석
Analysis of the Korea Traditional Colors within the Spatial Arrangement and Form of the Traditional Garden of Seyeonjeong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2 no.4, 2014년, pp.14 - 23  

한희정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설계.조경학과) ,  조세환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설계.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세연정의 공간구조 및 형식과 공감각적, 상징적 인지적 요소에 내재하는 전통색채를 분석함으로써 첫째, 세연정 작정에 내재한 전통 색채를 찾아내고 동시에 그 의미를 해석함으로써 세연정 작정의 또 다른 해석 방법을 제시하고 둘째, 기존에 제시된 별서정원의 전통색채 분석 방법론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함을 부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전통색채 및 세연정의 작정 배경과 이론, 전통색채 분석 방법 등에 대해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수행하였으며, 전통색채 분석 방법을 세연정 별서에 실증적으로 적용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특히, 전통색채 분석 방법으로는 세연정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요소를 크게 시각적, 공감각적, 상징적 인식적 공간 요소로 구분하여 시각적 공간으로 공간 및 경물의 위치와 방위, 공감각적 공간으로 계절과 시간 및 오관, 상징적 인식적 공간으로 칠정과 사단 등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공간요소에 대한 오정색 체계 분석하여 그 의미를 해석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연정에서 나타난 공간구조 및 형식은 세연정(洗然亭)을 중심으로 하여 세연정의 사각형 누각의 평면 형태에 따라 동남, 서북의 두 개의 방위 축으로 구분될 수 있었다. 둘째, 세연정에 나타나는 전통색채는 '백색', '청색', '흑색', '적색', '황색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통색채 분석에서 청렴과 순결을 상징하는 '백색'이 가장 많이 출현하는 것은 작정자인 윤선도가 맑고 깨끗하게 정치적 미련 없이 세속에 묻혀 살아가는 것을 즐기고자 작정하였다는 해석의 여지를 남겼다. 또한 자연의 생명력을 상징하는 청색의 출현이 우세를 보이는 가운데 지혜를 상징하는 '흑색', 신성하고 숭고한 생명력을 상징하는 '적색'이 유사한 비율로 출현하고 높고 고귀한 지위를 상징하는 '황색'이 제일 낮은 빈도로 출현하는 것은 윤선도가 세연정을 통해 벼슬 등 지위보다는 자연을 즐기며, 그를 통해 지혜를 쌓고, 춤과 시 짓기 등 놀이를 통해 윤선도 스스로 신성하고 고귀한 존재로 여생의 삶을 영위하고자 하는 의도로 작정되었다는 것과 일치되거나 적어도 연관되어 해석될 여지를 보였다. 넷째, 이상의 연구 결과는 본 연구에 선행된 소쇄원의 전통색채 분석과 의미 해석과 비교 고찰해 보았을 때 소쇄원에 처음으로 적용된 전통색채 분석 방법론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in building credibility of the methodology of the appearance of the traditional colors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those appearances by analyzing the spatial construction and configuration and the traditional colors that appear in spatial ele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세연정에 나타나는 6개 경관 구성 요소를 대상으로 한 시각적 공간구성 및 배치와 상징적·인식적 공간구성 요소에서 출현하는 음양오행설에 근거한 오정색을 분석함으로써 세연정에서 나타나는 전통 색채 출현과 그 의미를 해석함으로써 앞서 한희정과 조세환이 소쇄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방법론과 연구 결과의 객관성과 일관성,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는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Han and Cho(2014)의 연구에서와 같은 공간구조 및 형식의 구성 방법에 따른 시각적 요소와 별서정원 관련 시조 등에서 나타나는 공감각적, 상징적·인식적 요소 분석과 같은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첫째, 고산 윤선도의 세연정과 같은 별서정원에서도 내재된 전통색채를 출현해 낼 수 있는지?
  • 즉, 한 가지 사례를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 결과를 통해 이론의 일반화를 기한 다는 것은 무리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Han and Cho(2014)의 연구에서와 같은 공간구조 및 형식의 구성 방법에 따른 시각적 요소와 별서정원 관련 시조 등에서 나타나는 공감각적, 상징적·인식적 요소 분석과 같은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첫째, 고산 윤선도의 세연정과 같은 별서정원에서도 내재된 전통색채를 출현해 낼 수 있는지? 둘째, 또 공간구조 및 형식 구분을 같은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인지? 셋째, 전통색채의 출현과 그 의미 해석은 작정 의도와 연관 지을 수 있을 것인지 등을 고찰함으로써 한국의 별서정원에서 내재된 전통색채 출현과 그 의미 해석의 방법론에 대한 신뢰성 구축에 이바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 이러한 배경으로 그는 49세(1635년)에 벼슬에서 파직당한 후로 해남으로 돌아가서 출사를 단념하고 자연에 은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윤선도가 벼슬을 버리고 해남에 귀의하고 1년이 지난 50세 되든 해인 1636년 12월에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인조가 남한산성으로 피난했다는 소식을 듣고 고산은 향족, 가동(家僮) 수백 명을 이끌고 강화도에 도착하였으나 이미 함락된 후였다.
  • 3% 로 나타났고, 공감각적 공간 구성 요소에서는 청색이 29%, 적색이 21%, 황색이 4%, 백색이 17%, 흑색이 29% 등으로 나타났고, 상징적 인식적 공간 요소에 대해서는 적색이 33%, 백색이 67%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전통 색채의 분석 결과는 공간의 위치와 방향의 시각적 공간구성 요소와 계절, 시간, 오관의 공감각적 공간 구성 요소, 칠정, 사단의 상징적․인식적 공간 구성 요소 등에서 출현하는 전통 색채의 종류와 빈도가 다소간의 차이가 있긴 하지만 전체적으로 백색이 많이 출현하고 있음으로써 세연정은 윤선도가 맑고 깨끗하게 정치적 미련 없이 세속에 묻혀 살아가는 것을 즐기고자 작정하였다는 해석의 여지를 남겼다. 또한, 청색의 출현이 우세를 보이는 가운데 흑색, 적색이 유사한 비율로 출현하고 황색이 제일 낮은 빈도로 출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 것은 윤선도가 세연정을 통해 벼슬 등의 지위보다는 자연을 즐기며, 그 속에서 지혜를 쌓고, 춤과 시 짓기 등 놀이로 윤선도 스스로 신성하고 고귀한 존재로 여생의 삶을 영위하고자 하는 의도로 작정 되었다는 것과 일치 되거나 적어도 연관되어 해석될 여지를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색채의 분석에서 시각적 요소 대상은? 전통 색채 분석의 구체적 대상은 시각적 요소로는 공간의 위치와 방위를, 공감각적 요소로는 계절, 시간, 오관을, 상징적·인식적 요소로는 칠정, 사단 등으로 하였다. 특히 시각적 요소 대상으로는 세연정의 주요 경관 요소인 세연정, 동대·서대, 지당·방도, 계담, 토성, 판석보 등 6개 지역 으로 선정하였다. 색채 분석을 위해 요소별 오행과 상징체계에 따라 전통 색채를 분석하고 출현 빈도를 종합하여 상징적 의미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보길도 세연정의 특징은? 고산 윤선도(1587~1671)에 의해 작정된 보길도 세연정(洗然庭)은 정원에서 마음을 씻는다는 의미로 작정한 별서정원으로서 소쇄원 등과 함께 조선시대의 대표적 별서정원 중의 하나이다. 한국의 전통조경에서 전통색채의 발현을 주제로 한 연구는 지금까지 미비하다.
전통 색채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다만, Han and Cho(2014)의 연구에서 소쇄원을 대상으로 전통 색채의 출현과 그 의미의 해석을 다룬 것이 전통 색채에 대한 최초의 연구라 할 수 있다. 전통 색채는 음양오행을 기반으로 방위와 계절, 위치 등에 따라 적, 청, 황, 백, 흑 등 5가지 색으로 구분된다(Han and Cho, 2014). 그리고 이 다섯 가지 색상은 각각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