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후 연하장애 전침 치료의 임상연구에 대한 고찰
Literature Review of Clinical Research Electro-Acupuncture Treatment on Post-stroke Dysphagia 원문보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28 no.3, 2014년, pp.280 - 287  

변성범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유주희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문아지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박봉우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이선엽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윤종민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문병순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and analyze clinical studies on electro-acupuncture therapies of post-stroke dysphagia to suggest the methods of the study about electro-acupuncture therapy. In this study, electronic searches were performed with searching sites. Searched words such as '중풍', '뇌졸중...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뇌졸중 후 연하장애의 한의학적 치료는 전기자극 치료기와 더불어 전침 치료가 시행되고 있으나 치료 효과의 검증 및 임상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뇌졸중 후 연하장애의 전침 치료에 대한 임상논문을 검색하고 정리 분석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 이에 저자는 뇌졸중 후 연하장애의 전침 치료에 대한 임상논문을 검색하여 정리하고 뇌졸중 후 연하장애의 전침 치료의 효과 및 각 연구논문의 연구방법을 분석하고 평가함으로써 앞으로의 뇌졸중 후 연하장애 전침 치료에 대한 임상연구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후 연하장애은 어떤 악영향을 미치는가? 뇌졸중은 국내에서 암에 이어 성인 사망요인의 2번째를 차지하며, 반신마비, 시야장애, 보행장애, 연하장애 등 여러 후유증을 남긴다1). 특히 뇌졸중 후 연하장애는 환자의 영양, 수분상태 등을 악화시켜 뇌졸중 재활치료 및 예후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흡인성 폐렴, 패혈증, 그리고 사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미국에서는 매년 약 50만 명 이상의 뇌졸중 환자가 발생하고, 그 중 약 25 ~ 50%의 환자에서 연하장애가 발생한다는 보고가 있으며2), 국내에서도 뇌졸중 발생 후 평균 42일째 37.
침구치료요법으로 사용중인 전침 치료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무엇인가? 전침 치료는 현대과학기술에 의해 발전한 침구치료요법으로 1825년 프랑스 의사 Sarlandiere가 최초로 전침을 응용하여 통풍과 신경계통 질환을 치료한 결과를 발표한 이후 1921년 Goulden EA가 영국의학 잡지에 <좌골신경통의 전침 치료>라는 논문을 발표하여 현대 전침 치료의 근간을 이루었다42). 전침 치료의 효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매개 변수는 주파수와 강도이며, 그 중 주파수에 관련된 연구가 많이 보고되고 있으며 최근의 한 연구는 저주파(2 Hz) 및 고주파(100 Hz)로 전침의 주파수를 달리 했을때,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상 활성화 되는 뇌 영역에 차이가 나며 고주파 (100 Hz)를 사용할 때 보다 저주파(2 Hz)를 사용한 경우 병변측의 운동피질영역(motor area)의 활성도가 높게 관찰되었다43). 또한 김 등44)의 연구에서 뇌경색으로 인한 운동장애 환자에 대한 주파수에 따른 전침 치료 효과 분석에서 저주파(2 Hz) 전침 치료 군이 고주파(120 Hz) 전침 치료군보다 근력 회복에 있어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
연하장애란 무엇인가? 뇌졸중 후 연하장애는 삼키는 동작에 장애가 생기는 것으로서, 정상 연하는 구강기, 인두기, 식도기의 일련의 과정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신경학적 이상에 의한 연하곤란은 구강기, 인두기의 이상에 의한 경우가 많다고 알려져 있으며, 뇌졸중이 발생한 영역에 따라 임상적 증상 및 예후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전국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교실. 순환.신경내과학 2판. 서울, 군자출판사. pp 463-464, 2010. 

  2. Kuhlemeier, K.V. Epidemiology and dysphagia. Dysphagia 9: 209-217, 1994. 

  3. Han, T.R., Paik, N.J., Park, J.W. The follow-up of dysphagia after stroke. Korean J stroke 2(1):13, 2000. 

  4. 서원희, 오제홍, 남용현, 성인영. 뇌졸중 환자에서의 흡인성폐렴의 발생율 및 임상적 고찰. 대한재활의학회지 18(1):52-58, 1994. 

  5. 김영석, 문상관, 박성욱, 한창호. 임상중풍학. 서울, 정담출판사. p 323, 2007. 

  6. 朱翔毅. 呑咽神經肌肉電刺激儀結合針刺及心理護理治療腦卒中呑咽障碍效果分析. China medicine and pharmacy 2(9):177-178, 2012. 

  7. 薛常虎, 唐敏利, 羅何?. 呑咽治療儀, 康?訓練對腦卒中后呑咽障碍療效觀察. 中國社區?師 11(14):19, 2009. 

  8. 陳玉其. 電針夾廉泉穴治療腦卒中假性球麻?25例?床. ?西中?藥 41(9):53, 2009. 

  9. 張丹, 何鳳玲. 廉泉傍刺不同針刺方法治療假性球麻?療效觀察. 中國臨床?究 25(7):710-711, 2012. 

  10. 葛芳, 王建平, ?淑萍. 不同?率?針治療腦卒中后呑咽障碍的 臨床觀察. 中國中?藥科技 19(1):70-71, 2012. 

  11. Lu, M., Meng, L., Peng, J. Therapeutic effects of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and electroacupuncture for dysphagia post stroke. Chinese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25(2):135-138, 2010. 

  12. 趙偉. 咽喉部電針治療腦卒中后?咽困難. 中國臨床康? 2(10):3103, 2004. 

  13. Wang, B.Y., Cheng, H.I. Clinical Research of Low Frequency Electro Acupuncture Matching Rehabilitation Training in Poststroke Deglutition Disorders. Chinese Archive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8(10):2224-2225, 2010. 

  14. Wang, J.T. Treatment of Dysphagia in Stroke Patients by Combination of TCM with Western Medicine. Chinese Journal of Rehabilitation 22(2):92-93, 2007. 

  15. 丁玲, 湯顯靖, 楊小飛. ?咽治療儀?合電針治療卒中后?咽障碍?卒中相關性肺炎?生率的影響. stroke and nervous diesease 20(1):39-41, 2013. 

  16. Su, X., La, I. The clinical study on tongdutiaoshen(An acupuncture treatment) for Treatment of Dysphagia after Stroke 26(6):3-6, 2010. 

  17. Zhou, C.D., Feng, S.W., Xu, C.Y. Effect of Du Meridian Electro acupuncture of the Scalp on Deglutition Disorder after Stroke. Chin J Rehabil Theory Practice 12(10):899-900, 2006. 

  18. 賈一波, 劉雪鋒, 位軍義. 電針配合康?訓練治療中風后?咽言語障碍的臨床觀察. 光明中? 25(8):1450-1451, 2010. 

  19. 李玲, 薛艶艶. 電針配合康?訓練治療惱卒中后?咽困難30例. 中國中?急症 9(11):1951-1952, 2010. 

  20. 王俊卿, ?玉?, 朱?星, 吳群强. ?針配合康?訓練對腦卒中后?咽障碍療效觀察. 中國中?急症 21(10):1701-1702, 2012. 

  21. Sheng, Y.X., Ye, B.Y., Wu, F.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Combined with Rehabilitation Training Stimulation on Disorder of Swallowing Disturbane Induced by Stroke. Chinese Journal Of Integrative Medicine On Cardio-Cerebrovacular diseased 6(8):904-905, 2008. 

  22. 韋邦吉. 電針配合手法治療腦卒中后遺症?咽障碍20例. 右江?學 38(2):201-202, 2010. 

  23. Wang, H.Q., Huang, T., Tan, F.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combined with swallow treatment apparatus in the treatment of acute cerebral stroke with swallow obstacle. Chin J Mod Drug Appl 5(13):9-10, 2011. 

  24. Zhang, B.Q., Lao, J.X., Pan, Q.J. Therapeutic Observation on Electro acupuncture plus Swallow Treatment Apparatus in Treating Deglutition Disorders after Cerebral Apoplexy. 上海針灸雜志 31(11):779-780, 2012. 

  25. Wang, H.Q., Gao, X.Y., Zhou, Y.L. Clinical Research on Electro acupuncture of Renying for the Treatment of Dysphagia Due to Stroke. China Journal Of Chienese Medicine 26(155):501-502, 2011. 

  26. 曾慧玲, 周翠?. ?針治療腦卒中后?咽障碍療效觀察. 光明中? 22(12):45-46, 2007. 

  27. 李海霞, 劉路然, 楊子超, 高維濱. 電針治療 Wallenberg 綜合征后?咽及?音障碍的臨床?究. 中?藥學報 35(5):24-26, 2007. 

  28. 王凌云, ?國付, 羅飛. 電針夾廉泉穴治療假性球麻?. Chinese Journal of Rehabilitation 26(3):184, 2011. 

  29. ?玉其, 張雪娟. 電針對假性球麻?患者?咽功能的影響. ?西中?藥 4(2):16-17, 2007. 

  30. 楊海芳, 李小霞, 王?. ?針聯合康?訓練治療腦卒中后?咽障碍的電視熒光透視?究. ?州中?藥大學學報 28(3):239-242, 2011. 

  31. Deng, X.H., Wang, Y.L. Clinical Observation of the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plus Rehabilitation Training on Dysphagia after Stroke. Journal of Military Surgeon in Southwest China 11(4):623-624, 2009. 

  32. Wang, J.T. Effect of comprehensive rehabilitation on the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 resulted from stroke. Journal Of Qilu Nursing 12(12):2313-2314, 2006. 

  33. Jadad, A.R., etc. Assesing the quality of report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Is blinding necessary? Controlled clinical trials 17: 1-12, 1996. 

  34. Egger, M., smith, G.D. Altman, D.G. Systematic reviews in health care: meta-analysis in context. 2nd ed. London, BMJ Pubblishing Groups. pp 87-108, 2001. 

  35. Cochrane reviewer's handbook 4.1.5 updated April 2002. The Cochrane Collaboration. Available from URL: http://www.cochrane.org. 

  36. Martino, R., Foley, N., Bhogal, S. Dysphagia After Stroke Incidence, Diagnosis, and Pulmonary Complications. Stroke 36: 2753-2756, 2005. 

  37. Barer, D.H. The natural history and functional consequences of dysphagia after hemispheric stroke. Neurol Neurosurg Psychiatry J 52: 236-241, 1989. 

  38. 한명아, 김동웅. 급성허혈성 뇌졸중에 수반된 연하장애에 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의학회지 22(3):42-50, 2001. 

  39. 김수열, 김유철, 최선미. 연하곤란의 재활치료 결과. 대한재활의학회지 18(3):640-646, 1994. 

  40. Linden, Siebens. Dysphagia: Predicting laryngeal Penetration. Arch Phys Med Rehabil 64: 281-284, 1983. 

  41. Splaingard, M., Sulton, L.D., Chaudhuri, G. Aspiration in rehabilitation patients: Videofluroscopy vs Bedside clinical assessment. Arch Phys Med Rehabil Hutchins 69: 637-640, 1988. 

  42. 대한침구학회 교재편찬위원회. 침구학(下). 파주, 집문당. pp 186-187, 2008. 

  43. Zhang, W.T. Relations between brain network activation and analgesic effect induced by low vs high frequency electrical acupoint stimulation in different subjects: a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Brain Research 982: 168-178, 2003. 

  44. 김영석 외 9인. 뇌경색 환자의 운동장애에 대한 주파수별 전침치료효과의 비교. 대한한의학회지 28(3):289-298, 2007. 

  45. 백경민 외 9인. 연하장애를 동반한 중풍환자 3례에서의 두침 및 전침의 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8(3):632-644, 2007. 

  46. 윤종민, 이민구, 이선우, 강백규, 김태진, 신용일, 이 인, 문병순. 뇌졸중 환자의 연하장애에 대한 침 치료 효과.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2(1):199-203, 2008. 

  47. 손지형. 염천혈 자침 후 연하장애가 호전된 허혈성 뇌졸중 환자 1례. 대한침구학회임상논문집 1(2):71-77, 2003. 

  48. Deppipo, K.L., Holas, M.A., Reding M.J. Validation of the 3-oz water test for aspiration following stroke. Arch Neurol 49: 1259-1261, 1992. 

  49. Groher, M.E. The detection of aspiration and videofluoroscopy. Dysphagia 9: 147-148, 1994. 

  50. 은성종, 김성길, 홍재란. 뇌졸중 후 연하장애 환자에서 비디오 투시 연하 조영검사의 유용성.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4(3):19-25,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