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혀 저항정확도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혀 근력과 구어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ongue Pressure Strength and Accuracy Training on Tongue Strength and Speech Function of Chronic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11, 2017년, pp.156 - 166  

김보중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작업치료실) ,  마성룡 (신성대학교 작업치료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혀의 객관적인 수치로 측정할 수 있는 기계(Iowa Oral Performance Instrument, IOPI)를 사용하여 혀의 최대 저항 훈련프로그램을 수정하고, 혀 정확도 훈련을 추가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혀 근력과 구어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입원 및 외래환자를 각각 20명씩 실험군인 혀 저항정확도훈련 치료군과 대조군인 구강안면운동 치료군으로 나누어 각 치료를 대상자들에게 총 4주간 30분씩, 주 5회 실시하였고, 혀 근력과 구어기능 능력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중재 전, 후에 혀 전방거상 압력(Anterior Tongue Pressure; ATP), 혀 후방거상 압력(Posterior Tongue Pressure; PTP), 최대발성시간(Maximum Phonation Time; MPT)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중재 전 후 혀 저항정확도훈련 치료군과 구강안면운동 치료군의 혀 근력과 구어기능은 유의하게 향상하였으나, 두 군 사이의 비교에서 혀 저항정확도훈련 치료군과 구강안면운동 치료군 간의 혀 근력과 구어기능의 변화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혀 저항정확도훈련이 기존 구강안면운동 치료보다 혀 근력 및 구어기능 향상에 효과적이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tongue's maximum resistance training program on the accuracy of the tongue training program using the Iowa Oral Performance Instrument (IOPI) and to compare the effects of tongue muscle strength and spoken language function on objective fun...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구강안면운동이 혀 근력과 구어기능에 관련된 연구는 있지만 혀 저항정확도훈련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병 6개월 이상의 만성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혀 저항정확도훈련 치료군과 구강안면운동 치료군으로 나누어 훈련을 한 후 혀 근력과 구어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혀의 객관적인 수치로 측정할 수 있는 기계(Iowa Oral Performance Instrument, IOPI)를 사용하여 혀의 최대 저항 훈련프로그램을 수정한 혀 정확도 훈련을 추가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명확하고 객관적으로 혀 근력과 구어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고자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는 혀 저항정확도훈련 치료와 구강안면운동 치료의 중재 전, 후를 비교 분석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 치료적 중재 유형의 한 전략으로 혀 저항정확도훈련 치료를 제안하고자하였다. 서울 소재의 대학병원에서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각 각 20명씩 무작위로 선정하여 혀 저항정확도훈련 치료군과 구강안면운동 치료군으로 나눈 후 중재하였으며 두 군 모두 재활치료 일과 후 4주간 주 5회, 회당 30분 씩 중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어의 표출은 어떤 과정인가? 이와 같은 비정상적인 조음기관 근육의 긴장저하나 긴장과다로 인해 특정한 음소를 조음하는데 어려움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혀나 입술, 턱의 협응이 부적절하여 모음의 왜곡이 심하게 나타난다고 하였다. 구어의 표출은 호흡기, 후두, 인두, 조음기관 등 약70∼80개의 구개 및 안면근육 그룹이 근육활동의 정교한 통제와 정확한 통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복합적이고 정밀한 과정이다[5]. 삼킴의 구강단계에 필요한 안면, 혀, 턱 그리고 여린입천장 근육은 음식덩이를 준비하고 움직이는데 필요한 근육이며 뿐만 아니라 이 근육들은 구어 산출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6].
혀의 구조는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가? 조음기관 중에서 특히 혀가 너무 두껍거나 긴장되고 경직되어 있는 경우에는 정확한 발음을 내기가 어렵다. 혀의 구조를 살펴보면, 혀끝, 혀 날, 혀 등, 혀 몸통, 혀 뿌리 등으로 나눌 수 있고 내부근육이 혀의 모양을 결정하고 외부근육으로 혀의 위치를 결정하게 되어 말하기, 식사하기, 마시기와 같은 기능적 활동을 하는 동안 서로 협력하여 동시적으로 수행하게 되며 다양한 활동에 있어 혀의 근력은 필수라 할 수 있다[11]. 구강안면 운동 중 혀 운동은 혀의 근력과 관절가동범위를 증가시켜 식괴(bolus)의 조작, 구강 내에서 식괴 추진 등을 증진시키며, 특히 혀를 뒤쪽으로 당기는 운동은 구강이동 을 향상시키고, 발음의 명료도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어 구음장애를 가진 환자에게도 효과적이다[12].
의사소통장애와 삼킴 장애가 함께 일어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다양한 활동을 위한 혀 근육의 기능적 사용은 매우 필수적이다[7]. 이렇듯 의사소통과 삼킴에 관여하는 기관과 기능 중에는 공통되는 것이 있기 때문에 의사소통장애와 삼킴 장애가 함께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통계청, 2015년 사망원인통계, 통계청 보도자료, 2016. 

  2. 박창식, 송병호, "뇌졸중 환자의 낮병원 프로그램이 도구적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1호, pp.267-277, 2012. 

  3. 김연희, 한태륜, 정한영, 전민호, 이종민, 김덕용, 유우경, "뇌졸중 재활치료를 위한 한국형표준 진료 지침," Brain & NeuroRehabilitation, 제2권, 제1호, pp.1-38, 2009. 

  4. C. T. Ferrand, "Speech science: An integrated approach to theory and clinical practice," Ear and Hearing, Vol.22, No.6, p.549, 2001. 

  5. C. Ertekin, I. Aydogdu, S. Tarlaci, A. B. Turman, and N. Kiylioglu, "Mechanisms of dysphagia in suprabulbar palsy with lacunar infarct," Stroke, Vol.31, No.6, pp.1370-1376, 2000. 

  6. C. Mackenzie, M. Muir, and C. Allen, "Nonspeech oro-motor exercise use in acquired dysarthria management: Regimes and rationales,"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 Communication Disorders, Vol.45, No.6, pp.617-629, 2010. 

  7. 문종훈, 김희진, 강민규, 원영식, "혀 근력 및 정확도 훈련이 삼킴장애가 있는 만성 뇌졸중 환자의 혀 근력, 삼킴기능,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1호, pp.605-606, 2016. 

  8. E. B. Fung, L. Samson-Fang, V. A. Stallings, M. Conaway, G. Liptak, R. C. Henderson, and W. Chumlea, "Feeding dysfunction is associated with poor growth and health statu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Vol.102, No.3, pp.361-373, 2002. 

  9. R. Palmer and P. Enderby, "Methods of speech therapy treatment for stable dysarthria: A review," Advances in Speech Language Pathology, Vol.9, No,2, pp.140-153, 2007. 

  10. J. R. Duffy, Motor speech disorders: Substrates, differential diagnosis, and management, St. Louis, MO: Mosby-Year Book, 1995. 

  11. 박진홍, 최경효, 김용미, 송영진, 박은정, 신동익, "삼킴 시 순차별 혀의 압력 및 후두거상 반응시간," 대한재활의학회지, 제34권, 제2호, pp.134-140, 2010. 

  12. H. M. Clark, K. O'Brien, A. Calleja, and S. N. Corrie, "Effects of directional exercise on lingual strength,"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Vol.52, No.4, pp.1034-1047, 2009. 

  13. A. Chigira, K. Omoto, Y. Mukai, and Y. Kaneko, "Lip closing pressure in disabled children: a comparison with normal children," Dysphagia, Vol.9, No.3, pp.193-198, 1994. 

  14. V. Adams, B. Mathisen, S. Baines, C. Lazarus, and R. Callister, "Reliability of measurements of tongue and hand strength and endurance using the Iowa Oral Performance Instrument with healthy adults," Dysphagia, Vol.29, No.1, pp.83-95, 2014. 

  15. J. Robbins, S. A. Kays, R. E. Gangnon, J. A. Hind, A. L. Hewitt, L. R. Gentry, and A. J. Taylor, "The effects of lingual exercise in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88, No.2, pp.150-158, 2007. 

  16. E. M. Yeates, S. M. Molfenter, and C. M. Steele, "Improvements in tongue strength and pressure-generation precision following a tongue-pressure training protocol in older individuals with dysphagia: three case reports," Clinical Interventions in Aging, Vol.3, No.4, p.735, 2008. 

  17. C. Lazarus, "Tongue strength and exercise in healthy individuals and in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In Seminars in speech and language, Vol.27, No.04, pp.260-267, Copyright(c) 2006 by Thieme Medical Publishers, Inc., 333 Seventh Avenue, New York, NY 10001, USA, 2006. 

  18. C. M. Steele, G. L. Bailey, R. E. C. Polacco, S. F. Hori, S. M. Molfenter, M. Oshalla, and E. M. Yeates, "Outcomes of tongue-pressure strength and accuracy training for dysphagia following acquired brain injury," International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Vol.15, No.5, pp.492-502, 2013. 

  19. 송영진, 이한석, 정원미, 박성종, 박은정, 양경희, 홍재란, 삼킴장애, 서울, 한국, 계축문화사, 2007. 

  20. C. M. Steele and M. L. Huckabee, "The influence of orolingual pressure on the timing of pharyngeal pressure events," Dysphagia, Vol.22, No.1, pp.30-36, 2007. 

  21. 서미경, 김향희, "마비말장애 연구문헌에서 살펴본 말평가의 청지각적 요소," 음성과학, 제13권, 제3호, pp.197-206, 2006. 

  22. K. Grace-Martin, "Pressure profile similarities between tongue resistance training tasks and liquid swallows,"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Vol.47, No.7, p.651, 2010. 

  23. J. Robbins, R. E. Gangnon, S. M. Theis, S. A. Kays, A. L. Hewitt, and J. A. Hind, "The effects of lingual exercise on swallowing in older adult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Vol.53, No.9, pp.1483-1489, 2005. 

  24. S. R. Youmans, G. L. Youmans, and J. A. Strierwalt, "Differences in tongue strength across age and gender: Is there a diminished strength reserve?," Dysphagia, Vol.24, pp.57-65, 2009. 

  25. 원영식, "연하장애를 수반한 뇌졸중 환자의 삼킴 기능에 혀 압력 프로토콜과 구강인두운동의 병행 적용이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51권, 제2호, pp.57-71, 2012. 

  26. 전준석, 신승엽, 김규태, "자기통제 피드백제시에 따른 운동학습 효과," 한국체육과학회지, 제14권, 제2호, pp.291-300, 2005. 

  27. 이옥분, 권도하, "마비성구어장애 환자의 구어 향상을 위한 조음기관 훈련이 효과," 언어치료연구, 제7권, 제2호, pp.131-152, 1998. 

  28. 정은영, 조성래, 김윤정, 김향희, "운동감소형 마비말장애의 조음교대운동 특성: 속도 및 규칙성," 언어치료연구, 제16권, 제1호, pp.74-82, 2011. 

  29. 조인비, 안정복, "조음기관 훈련과 전기자극 치료의 병행 치료가 경직형마비말장애 대상자의 호흡 및 조음 개선에 미치는 효과,"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제55권, 제4호, pp.451-470, 2012. 

  30. M. Mchenry and J. Minton, "Management of multiple physiologic system deficits following traumatic brain injury," Journal of Speech Language Pathology, Vol.12, pp.59-62, 1994. 

  31. J. S. Schindler and J. H. Kelly, "Swallowing disorder in the elderly," Laryngoscope, Vol.112, pp.589-602, 2002. 

  32. J. J. Emg, "Strength training in individuals with stroke," Physiotherapy Canada, Vol.56, No.r, pp.189-201, 2004.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