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MP실험을 이용한 음식물폐기물 및 분뇨의 병합소화 특성
Characteristics for Co-digestion of Food Waste and Night Soil using BMP Test 원문보기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15 no.9, 2014년, pp.13 - 18  

조진규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Kimpo College) ,  김형진 (Department of Health & Environment, Kimpo College) ,  오대민 (Genis Solution Co., Ltd.)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분뇨/정화조슬러지와 음식물폐기물의 병합소화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BMP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생슬러지, 잉여슬러지, 소화슬러지, 분뇨/정화조슬러지(1:1의 비율로 조성), 음식물폐기물(음식물 파쇄물과 희석수의 비=1:1) 및 혼합슬러지의 6개의 슬러지를 대상으로 30일간 실험을 진행하였다. 바이오가스 발생은 초기 2일 이후부터 활발히 시작되어 2주 동안 지속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발생량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7~8일 사이에 가스발생량이 최대값을 보였으며, Modified Gompertz model을 이용한 생슬러지, 잉여슬러지, 소화슬러지, 분뇨/정화조슬러지, 음식물폐기물 및 혼합슬러지의 단위메탄생산량은 각각 64.63, 67.49, 66.45, 72.44, 107.85, 46.71 mL $CH_4/g$ VS로 나타났다. 혼합슬러지의 지체성장기간은 1.88 day이었으며, 최대메탄생산속도는 80.4 mL/day로 나타났다. 따라서 메탄생성퍼텐셜을 높이기 위해서는 하수처리장의 혐기성 소화조에 투입되는 음식물폐기물의 혼합비를 조절함으로써 빈부하 문제 해결과 동시에 소화조의 안정적인 운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MP test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for co-digestion of night soil and food waste. 6 types of sludge were tested in 30 days which were raw, excess, digested, night soil/septic tank (1:1), food waste (food : dilution water = 1:1), and mixed sludge. Bio gas was produced actively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BMP 테스트를 실시하여 실제 하수처리장에서 소화조로 유입되는 슬러지의 병합소화를 통해 발생되는 메탄가스의 발생량을 결정하고, 슬러지의 병합소화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혐기소화 기술은 무엇인가? 양돈 슬러리와 음식물 폐기물은 처리에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는 폐기물 바이오매스로서 혐기소화공정이 유기물의 분해와 바이오가스 생산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혐기소화 기술은 산소가 없는 극도의 환원상태에서 혐기미생물들의 미생물 화학반응을 활용하는 기술로 다양한 혐기미생물들에 의한 단계적인 유기물 분해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메탄이 생산된다. 국내 바이오가스 생산시설은 14개소이며, 선진국에 비해서는 초보적인 수준이다.
바이오매스로 양돈 슬러리와 음식물 폐기물의 장점은? 현재까지 이용되는 바이오매스는 주로 양돈 슬러리와 음식물폐기물에 국한하고 있다. 양돈 슬러리와 음식물 폐기물은 처리에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는 폐기물 바이오매스로서 혐기소화공정이 유기물의 분해와 바이오가스 생산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혐기소화 기술은 산소가 없는 극도의 환원상태에서 혐기미생물들의 미생물 화학반응을 활용하는 기술로 다양한 혐기미생물들에 의한 단계적인 유기물 분해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메탄이 생산된다.
분뇨/정화조 슬러지와 음식물 폐기물의 병합 소화를 통해 발생하는 메탄가스의 발생량을 결정하고, 슬러지의 병합 소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6개의 슬러지를 대상으로 30일간 BMP 테스트를 실시하여 얻은 결론은? 바이오가스 발생은 초기 2일 이후부터 활발히 시작되어 2주 동안 지속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발생량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7~8일 사이에 가스발생량이 최대값을 보였으며, Modified Gompertz model을 이용한 생슬러지, 잉여슬러지, 소화슬러지, 분뇨/정화조슬러지, 음식물폐기물 및 혼합슬러지의 단위메탄생산량은 각각 64.63, 67.49, 66.45, 72.44, 107.85, 46.71 mL CH4/g VS로 나타났다. 혼합슬러지의 지체성장기간은 1.88 day이었으며, 최대메탄생산속도는 80.4 mL/day로 나타났다. 따라서 메탄생성퍼텐셜을 높이기 위해서는 하수처리장의 혐기성 소화조에 투입되는 음식물폐기물의 혼합비를 조절함으로써 빈부하 문제 해결과 동시에 소화조의 안정적인 운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ngelidaki, I. and Ahring, B. K. (1994), Anaerobic digestion of manure at different ammonia loads : Effect of temperature, Water Research, Vol. 28, No. 3, pp. 727-731. 

  2. Cho, H. S. and Kim, J. Y. (2006), Methane production potential with changes of household waste composition, Journal of Korea Society of Waste Management, Vol. 23, No. 2, pp. 154-160 (in Korean). 

  3. Hamzawi, N., Kennedy, K. J., and McLean, D. D. (1998), Anaerobic digestion of co-mingled municipal solid waste and sewage sludge, Water Science Technology, Vol. 3, No. 2 pp. 127-132. 

  4. Jeong, D. Y., Chung M. H., and Kim, Y. J. (2009), Optimal mixing ratio of wastewater from food waste and cattle manure and hygienic aspect in batch type anaerobic digestion,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 Recycling Association, Vol. 17, No. 2, pp. 93-100 (in Korean). 

  5. Kim, H. J., Jung, S. R., Park, J. K., and Lee N. H. (2008), Evaluation of anaerobic biodegradability of organic waste considering dioxin growth, Journal of Korea Society of Waste Management, Vol. 25, No. 7, pp. 652-658 (in Korean). 

  6. Kim, J. K., Lee, Y. H., Kim, C. H., Jung Y. J., and Sung, N. C. (1999), The study on mixed digestion of food waste and sewage sludg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 21, No. 5, pp. 951-957 (In Korean). 

  7. Lawrence, A. W. and McCarty, P. L. (1969), Kinetics of methane fermentation in anaerobic treatment, Journal of Water Pollution Control Federation, Vol. 41, No. 2, pp. R1-R17. 

  8. Lay, J. J., Li, Y. Y., and Noike, T. (1998), Development of bacterial population and methanogenic activity in a laboratory-scale landfill bioreactor, Water Research, Vol. 32, No. 12, pp. 3673-3679. 

  9. Meraz, R. L., Vidales, A. M., and Dominguez, A. (2004), A fractal-like kinetics equation to calculate landfill methane production, Fuel, Vol. 83, No. 1, pp. 73-80. 

  10. Owen, W. P., Stuckey, D. C., Healy, J. B., Young, L. Y., and McCarty, P. L. (1979), Bioassay for monitoring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 anaerobic toxity, Water Research, Vol. 13, No. 6, pp. 485-492. 

  11. Park, J. K., Jung S. R., Kang J. H., Ahn, Y. M., Jin, H. E., and Lee, N. H. (2012), A study on optimization conditions for anaerobic co-digestion of food wastes with livestock waste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Waste Management, Vol. 29, No. 4, pp. 356-364 (in Korean). 

  12. Shelton, D. R. and Tiedje, J. M. (1984), General method for determining anaerobic biodegradation potential,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Vol. 47, No. 4, pp. 850-857. 

  13. Sosnowski, P., Klepacz-Smolka, A., Kaczorek, K., and Ledakowicz, S. (2007), Kinetic investigations of methane co-fermentation of sewage sludge and organic fraction of municipal solid wastes, Bioresource Technology, Vol. 99, No. 13, pp. 5731-5737. 

  14. Zhang, P., Zeng, G., Zhang, G., Li, Y., Zhang, B., and Fan, M. (2008), Anaerobic co-digestion of biosolids and organic fraction of municipal solid waste by sequencing batch process, Fuel Processing Technology, Vol. 89, No. 4, pp. 485-48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