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MP test를 통한 음폐수와 하수슬러지의 병합소화 특성 평가
Anaerobic Co-Digestion Characteristics of Food Waste Leachate and Sewage Sludge 원문보기

유기물자원화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v.24 no.1, 2016년, pp.21 - 29  

이수영 (국립환경과학원 폐자원에너지연구과) ,  윤영삼 (국립환경과학원 폐자원에너지연구과) ,  강준구 (국립환경과학원 폐자원에너지연구과) ,  김기헌 (국립환경과학원 폐자원에너지연구과) ,  신선경 (국립환경과학원 폐자원에너지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혐기성 소화의 주요 조건 중 하나인 C/N비의 경우 하수슬러지는 5.40으로 낮게 나타난 반면 음폐수(Food waste leachate)는 21.84로 높게 나타났다. C/N비가 낮을 경우 혐기성소화의 저해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음폐수의 높은 유기물 농도 및 C/N 비를 활용하여 메탄가스 발생량 증가시킬 수 있었다. Tchobanoglous이 제안한 이론적 메탄가스 발생량 예측수식을 적용하여 메탄바이오가스 발생량을 산정한 결과 하수슬러지 단일 혐기소화의 경우 $305.6mL{\cdot}CH_4/g{\cdot}VS$, $689.4mL{\cdot}CH_4/g{\cdot}VS$의 메탄, 바이오가스가 발생하였고 음폐수 : 하수슬러지를 1:9로 혼합한 시료는 약 $322mL{\cdot}CH_4/g{\cdot}VS$, 3:7시료에서는 약 $354mL{\cdot}CH_4/g{\cdot}VS$, 5:5시료에서는 약 $386mL{\cdot}CH_4/g{\cdot}VS$의 메탄가스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BMP 실험 결과 1:9, 3:7, 5:5 비율로 병합 처리한 경우 각각 약 233, 298, $344mL{\cdot}CH_4/g{\cdot}VS$의 메탄가스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음폐수의 혼합비율이 높아질수록 메탄가스 발생량은 증가하였고 하수슬러지와 음폐수의 혼합비율에 따른 병합처리 시 하수슬러지 단독처리에 비해 다량의 메탄가스가 발생되었다. BMP 실험을 통해 생산된 메탄가스의 누적생산 곡선을 Modified Gompertz model과 first order kinetic model에 적용하여 추정한 결과, 메탄생성량은 Modified Gompertz model에서는 238.5, 302.3, $353.6mL/g{\cdot}VS$ 발생하였고 first order kinetic model에서는 242.8, 312.5, $365.5mL/g{\cdot}VS$로 음폐수와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최대 메탄생성속도의 경우 3:7비율에서 $48.2mL/gVS{\cdot}day$로 최대 메탄생성 속도를 보였다. first order kinetic model의 1차 반응속도상수 k값은 1:9, 3:7, 5:5 비율에 따라 0.32, 0.22, $0.08day^{-1}$ 나타났다. 1차 반응속도 상수의 경우 음폐수의 혼합비율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Modified Gompertz와 first order kinetic model 모두 실험결과를 잘 모사하였으며, 실험결과와 모의결과의 적합도를 나타내는 상관계수($R^2$)의 경우 0.92~0.98으로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mix food waste leachate and sewage sludge by the proportion of 1:9, 3:7 and 5:5. It turns out that they produced 233, 298 and 344 $CH_4{\cdot}mL/g{\cdot}VS$ of methane gas. The result suggests that as the mixing rate of food waste leachate rises, the methane gas productions increase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수슬러지에 있는 다양한 미량원소와 미생물 군집을 활용하고 높은 C/N비와 고형물 함량이 큰 음폐수와의 상호보완적인 역할을1,3) 통해 음폐수와 하수슬러지 병합처리 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고 유기성폐기물의 바이오가스화 사업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그중 하수슬러지 만을 처리하는 시설은 20개소, 하수슬러지와 음폐수를 병합처리하는 시설은 10개소이다12). 본 연구에서는 BMP test를 통한 음폐수와 하수슬러지의 병합처리 특성 및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P지역의 하수슬러지(Sewage sludge, SSL)와 S매립지의 음폐수(Food waste leachate, FWL)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하수슬러지, 음폐수에 대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CODCr, 중금속함량, 강열감량, 원소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상시료의 TVS(Total Volatile Solids)로 부터 평가된 이론적 메탄수율(Theoretical Methane Yield, TMY)에 대한 BMP 실험에서 측정된 누적 메탄수율(Cumulative Methane Yield, CMY)의 백분율로 나타냈다. 처리대상 시료 내 포함하는 각각의 유기성분이 혐기성소화반응에 의해 완전하게 CH4와 CO2로 분해된다고 가정할 경우, 이론적 메탄수율은 유기성분의 원소조성에 근거한 Tchobanoglous et al.
  • 본 연구에서는 하수슬러지와 음폐수의 병합 혐기 소화 가능성 평가를 위해 이론적 메탄발생량과 BMP 실험을 통해 실제 메탄 발생량을 산정하여 비교하였다. 음폐수와 하수슬러지의 병합소화 특성 평가를 통해 얻은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폐수는 어떤 과정에서 많이 발생하는가? 1)가 전면금지되고 있다1,4). 음폐수는 음식물류폐기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폐수로 일반적으로 음식물류 폐기물을 사료⋅퇴비화 방법 등으로 재활용하는 과정에서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유기성폐기물의 해양투기 금지 및 에너지화 정책에 따라 육상처리 및 재활용처리 등의 방안마련이 시급한 시점이며 사료화와 퇴비화의 경우 음식물의 높은 함수율로 인해 실효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어 정부는 바이오가스화 방식을 확대하려 하고 있다2).
유기성폐기물의 육상 직매립이 금지된 이유는 무엇인가? 2005년부터 육상 매립 시 발생하는 침출수 및 악취 등의 환경적 영향 때문에 유기성폐기물의 육상 직매립이 금지되었고 2012년 하수슬러지, 가축분뇨, 2013년 음폐수, 분뇨 등 2006년 발효된 런던협약에 따라 유기성폐기물의 해양투기(‘13.1)가 전면금지되고 있다1,4).
바이오가스화 방식이란 무엇인가? 유기성폐기물의 혐기소화를 이용한 바이오가스화는 폐기물의 처리 및 에너지원인 메탄가스를 생산하는 효과적인 처리 방법이다. 2011년 발생량 기준으로 음식물쓰레기의 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Lee, B. S., Nam, S. C. and Namkong, W., "An evaluation of biogas production efficiencies from mechanically pretreated food waste and primary sewage sludge mixture by food waste mixing ratio through single stage anaerobic co-biogasific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ste Management, 28(6), pp. 648-660. (2011). 

  2. Han, S. W., "A study on establishing management system for efficient organic waste-to-energy",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3). 

  3. Kang, H. and Jun, M. H., "study on the digestion efficiency of food waste and sewage sludge", In Spring conference, Korean Society of Waste Management, pp. 20-24. (2006). 

  4. Kim, D H, Shin, H. S. and Oh, S. E., "Treatment of food waste leachate and biogas production by two-stage anaerobic digestion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ste Management, 25(8), pp. 716-722. (2008). 

  5. Tchobanoglous, G., Theisen, H., Vigil, S., " Integrated Solid Waste Management Engineering Principles and Management Issues", McGraw-Hill Publishing Company, New York, U.S.A. (1993). 

  6. Buswell, A. M. and Mueller, H. F., "Mechanism of methane fermentation", Industrial & Engineering Chemistry, 44(3), pp. 550-552. (1952). 

  7. Owen, W. F., Stuckey, D. C., Healy, J. B., Young, L. Y., and McCarty, P. L., "Bioassay for Monitoring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 anaerobic toxity", Water Resources, 13, pp. 485-492 (1979). 

  8. Gossett, J. M., "Heat treatment of refuse for increasing anaerobic biodegradability", Civil Engineering Technical Report, 198, Stanford University, Stanford. (1975) 

  9. Chynoweth, D. P., Turick, C.E., Owen, J. M., Jerger, D. E. and Peck, M. W.,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of biomass and waste feedstocks", Biomass and Bioenergy, 5(1), pp. 95-111 (1993). 

  10. Weiland, P., "Bio production : Current staateand perspectives",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85(4), pp. 849-860. (2010). 

  11. Cecchi, F., Mata-Alvarez, J., Marcomini, A. and Pavan, P., "First order and step diffusional kinetic models in simulating the mesophilic anaerobic digestion of complex substrate", Bioresource Technology, 36(3), pp. 261-269. (1991). 

  12.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The status of organic waste generation and treatment in Korea". (2013). 

  13. Progress Report on the Economy of Centralized Biogas Plants, The Biomass Section of the Danish Energy Agency, Danish Energy Agency. (1995). 

  14. Hamzawi, N., Kennedy, K. J. and Mclean, D. D., "Anaerobic digestion of co-mingled municipal solid waste and sewage sludge", Water Science & Technology., 38(2), pp. 127-132.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