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연 해안표착물과 배후 식생대 전선의 상호 작용에 관한 연구
Interaction between Coastal Debris and Vegetation Zone Line at a Natural Beach 원문보기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v.17 no.3, 2014년, pp.224 - 235  

윤한삼 (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  유창일 (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낙동강 진우도 자연 해빈에 내습하는 해양파랑, 해안표착물(해양쓰레기), 배후 식생대 전선의 변화 과정에 대한 상호작용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해빈단면 측량, 입사파랑 수치모의실험, 해안표착물 분포 현장 조사, 자연해빈 식생대선 현장 조사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진우도 자연해빈의 지반고는 상승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해안사구 식생대 전선도 전진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지반고가 표고 1.5 m이상이 되는 상황에서 대체적으로 식생대의 전선이 외해방향으로 발달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2) 진우도 전면 수심에 의해 파랑변형된 입사파랑이 공간상으로 상이하고 소상대에서의 처오름 현상도 공간상으로 복잡한 변화를 야기할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해양쓰레기는 파의 처오름이 큰 경우 배후 식생대 전선에 표착물이 도달하고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해빈상에 독립적인 섬의 형태로 표착물을 침적/퇴적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렇게 침적된 표착물은 배후 식생대전선의 전진과 후퇴를 결정짓게 하는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해안표착물과 식생대 전선의 상호작용에 대한 개념적 모식도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anges in the interactions among incident ocean water waves, coastal debris (marine debris), and the back vegetation zone line on a natural sandy beach on the island of Jinu-do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were investigated. The study involved a cross-sectional field survey of the beach, numeric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7) 본 연구는 기존 지속적인 현장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해안표착물과 식생대선의 상호작용에 대한 개념적 모식도를 제시하였다. 특히 자연 해빈에 침적되는 해안표착물이 목재인 경우 이를 수거하고 처리하기 위해 비용을 지불하기보다 자연 상태로 두어 해빈의 건강성(지반 안정 또는 식생대선 발달)을 유지하도록 ‘방치’하는 차원의 선순환적 인식의 전환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진우도 자연해빈에 내습하는 해양파랑과 해빈상에서의 해안표착물 거동과 퇴적현상 및 배후 식생대선의 변화과정에 대한 상관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진우도를 대상으로 해빈단면 측량, 수치모의를 통한 입사파랑 분포 특성 실험, 임의시험구를 대상으로 한 해안표착물 분포 및 종류 조사, 광파측거의와 DGPS를 사용하여 약 3년간의 자연해빈 식생대선의 변화 조사 등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현장에서 관찰된 현상을 바탕으로 내습하는 해양파랑과 해빈상에서의 해안표착물 거동과 퇴적현상 및 배후 식생대 전선의 변화과정에 대한 상관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현상에는 Fig.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진우도를 대상으로 해빈단면 측량, 수치모의를 통한 입사파랑 분포 특성 실험, 임의 시험구를 대상으로 한 해안표착물 분포 및 종류 조사, 광파측거의와 DGPS를 사용하여 약 3년간의 자연해빈 식생대선의 변화 조사 등을 수행하고 최종적으로 자연 해안표착물과 배후 식생대 전선의 상호 작용에 대한 상호기작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9. Definition of the development /advance of the foreshore vegetation lin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낙동강 하구 사주 지형 변화의 원인은 무엇인가? , 2009). 낙동강 하구 사주 지형 변화의 원인은 해양파랑의 영향력이 크게 작용한 결과로(Kim, 2005; Yoo, 2006; Yoon et al., 2007) 이는 해안표착물(Coastal debris) 거동과 배후 식생대 전선(Vegetation zone)의 변화과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낙동강 하구역에 쌓인 해양쓰레기와 같이 해저면 또는 해안에 침적한 표착물을 처리하기 위한 비용은? , 2000). 최근 낙동강 하구역의 경우 이를 수거 및 처리하기 위한 비용 문제로 주변 지자체 간에 갈등을 초래하고 있으며, 그 처리 비용은 2009년 29.7억원, 2010년 29.8억원, 2011년 30.9억원, 2012년 29.8억원, 2013년 29.1억원이었다(Yonhapnews, 2014).
반폐쇄성 하구 및 사주의 지형적 조건의 특징은 무엇인가? 낙동강하구역 해역과 같은 반폐쇄성 하구 및 사주의 지형적 조건은 파랑에너지의 진행 과정에서 천해파랑 변형을 초래하고 변형된 파랑은 해안과정(Coastal process)의 주요 외력인자로서 해빈류 및 표사이동 현상의 원인으로 기여하게 된다(Park et al.,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Dean, R.G., 1977, "Equilibrium beach profiles: U.S. Atlantic and Gulf coasts", Ocean Engineering Rep. No.12, Dept. of Civil Eng., Univ. of Delaware, Newark, DE. 

  2. Hwang, C.S., Kong, S.K., Ko, I.N., Shim, M.B. and Kim, Y.C., 2007, "The study on the coast change around the jinudo nakdongpo estuary", Proceeding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ing, Autumn, 97-98. 

  3. Je, Y.J., Yoo, C.I. and Yoon, H.S., 2011, "Studies on its mechanism of marine debris and vegatation zone in the coastal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Fall Symposium, p.102. 

  4. Je, Y.J., 2012,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marine debris and coastal vegetation zone", Pukyong National Univ., Master's thesis. 

  5. Kim, S.H., 2005,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deltaic barrier island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after the construction of river barrage", Journal of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ol.30, No.4, 416-427. 

  6. KHOA, 2014, http://www.khoa.go.kr/. 

  7. Koo, B.S., Kang, H. and Hur, S.H., 2000, "Study on the marine debris on the seabed in chinhae bay,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3, No.4, 91-98. 

  8. Lee, Y.B., Park, S., Ryu, C.R., Kim, H.T. and Yoon, H.S., 2007, "Characteristics of marine debris collected from the coastline of sandbar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10, No.3, 148-154. 

  9. Nott, J. and Hubbert, G, 2005, "Comparisons between topographically surveyed debris lines and modelled inundation levels from severe tropical cyclones Vance and Chris, and their geomorphic impact on the sand coast", Australian Meteorolgical Magazine, 54, 187-196. 

  10. Park, S. and Yoon, H.S., 2007, "Distribution of marine debris collected from the sandbar coastline of nakdong river estuary after the typhoons' pass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13, No.4, 1-7. 

  11. Park, S., Yoon, H.S., Park, H.B., Ryu, S.W. and Ryu, C.R., 2009, "Analysis of wave distribution at nakdong river estuary depending on the incident wave directions based on SWAN model simul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12, No.3, 188-196. 

  12. Ryu, S.H., Lee, I.C. and Park, S.Y., 2009, "Variation in vegetation area caused by topographical change at jinudo in the nakdong estu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and Ocean Engineers, Vol.23, No.4, 19-24. 

  13. Song, M.S., Lee, J.M., Lee, M.J. and Yu, J.S., 2001, "An experimental study on drifting and sinkage of marine debr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4, No.1, 47-62. 

  14. Yonhapnews, 2014, "The local self-organizations 'conflict' to the processing cost of marine debris of nakdong river estuary", http://www.yonhapnews.co.kr (2014.04.08). 

  15. Yoo, C.I., 2006, "A study on the generation and development of the shoal in nakdong river estuary, busan", Pukyong National Univ., Master's thesis. 

  16. Yoon, H.S., Yoo, C.I., Kang, Y.K. and Ryu, C.R., 2007, "Delta development in nakdong river estuary: a literature surve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and Ocean Engineers, Vol.21, No.2, 22-34. 

  17. Yoon, H.S., Je, Y.J. and Yoo, C.I., 2010, "Wind sand mobility observation on jinu island beach during spring season by using in-suit sand collect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Fall Symposium, 275-27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