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지방과 고당질 식이 섭취 마우스에 있어서 산채나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Sanchae-namul in Mice Fed High-Fat and High-Sucrose Diet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0 no.4, 2014년, pp.369 - 377  

최하늘 (인제대학교 식의약생명공학과) ,  강수정 (인제대학교 식의약생명공학과) ,  최은옥 (인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라나 (경희대학교 호텔관광대학) ,  김정인 (인제대학교 식의약생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esity increases oxidative stress, which c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nsulin resistance and hyperglycem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ypoglycemic and antioxidant effect of sanchae-namul (SN) in mice with diet-induced obesity. Five-week-old male C57BL/6J mice were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57BL/6J mouse에게 고지방과 고당질(High-fat and high-sucrose, HFHS) 식이를 장기간 섭취시키면, 비만 및 인슐린저항성, 고혈당, 제2형 당뇨병을 유도하였다(Surwit RS 등 1988, Yang ZH 등 2012). 따라서 본 연구에서 고지방과 고당질 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마우스에 있어서 참나물, 다래순, 미역취, 방풍나물, 삼나물로 만든 산채나물의 항산화 효과 및 고혈당조절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산채나물의 항산화 효과를 in vivo에서 규명하여, 산채나물의 건강기능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 고지방과 고당질 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마우스에 있어서 참나물, 다래순, 미역취, 방풍나물, 삼나물로 만든 산채나물의 항산화 효과 및 고혈당조절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산채나물의 항산화 효과를 in vivo에서 규명하여, 산채나물의 건강기능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2형 당뇨병이란?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성 및 상대적인 인슐린 분비 부족으로 인해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대사의 불균형을 나타내는 만성퇴행성질환이다(King H 등 1998). 제2형 당뇨병은 전체 당뇨병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Cheng D 2005), 비만은 제2형 당뇨병 발병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Kahn SE 등 2006).
비만이 제2형 당뇨병 발병의 주요 위험요인인 이유는? 제2형 당뇨병은 전체 당뇨병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Cheng D 2005), 비만은 제2형 당뇨병 발병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Kahn SE 등 2006). 비만으로 인해 과도하게 축적된 지방은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과 활성질소종(Reactive nitrogen species, RNS)과 같은 유리라디칼의 생성을 증가시켜 산화적 스트레스를 촉진하며, 이로 인해 체내 항산화 시스템의 불균형을 초래한다(Furukawa S 등 2004). 산화적 스트레스 상태가 지속되면 근육 및 지방조직의 포도당 이용율이 저해되어 인슐린 저항성이 커지고(Maddux BA 등 2001, Rudich A 등 1998), 항산화 효소 발현이 작은 조직인 췌장베타세포의 기능이 저하되고 세포사멸이 초래되어, 고혈당이 유도되며 제2형 당뇨병이 유발된다(Shah S 등 2007, Styskal J 등 2012). 항산화 영양소(Ruhe RC와 McDonald RB 2001)와 항산화 피토케미칼은 비만으로 유도되는 산화적 스트레스 및 고혈당을 억제하는데 기여한다고 보고되었다(Dembinska-Kiec A 등 2008).
제2형 당뇨병 발병의 주요 위험요인은?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성 및 상대적인 인슐린 분비 부족으로 인해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대사의 불균형을 나타내는 만성퇴행성질환이다(King H 등 1998). 제2형 당뇨병은 전체 당뇨병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Cheng D 2005), 비만은 제2형 당뇨병 발병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Kahn SE 등 2006). 비만으로 인해 과도하게 축적된 지방은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과 활성질소종(Reactive nitrogen species, RNS)과 같은 유리라디칼의 생성을 증가시켜 산화적 스트레스를 촉진하며, 이로 인해 체내 항산화 시스템의 불균형을 초래한다(Furukawa S 등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Aebi H. 1974. Catalase. Methods of enzymatic analysis. Vol 2. pp 673-684. In: Bergmeyer HU, Gawehn K, editors. Academic Press. New York, NY. USA 

  2. Ahn SY, Kim JH, Choi SJ, Kim YJ. 2009. Current status and prospect of cultivation of wild vegetable crops. Korean J Hortic Sci Technol 27(S):36-36 

  3.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4. Bradford MM. 1976.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 Biochem 72(1-2):248-254 

  5. Bae DS. 2012.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tive compounds from Ledebouriella seseloides. Master's thesis.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p 17, p 27, p 29 

  6. Chae HS, Lee SH, Jeong HS, Kim WJ. 2013. Antioxidant activ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impinella brachycarpa Nakai with treatments methods. Korean J Food Nutr 26(1):125-131 

  7. Cheng D. 2005. Prevalence, predisposition and prevention of type II diabetes. Nutr Metab (Lond) 2(29):1-12 

  8. Choi IY, Song YJ, Lee WH. 2010.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ome herbal extracts. Kor J Hort Sci Technol 28(5):871-876 

  9. Dembinska-Kiec A, Mykkanen O, Kiec-Wilk B, Mykkanen H. 2008. Antioxidant phytochemicals against type 2 diabetes. Br J Nutr 99 E Suppl (1):ES109-117 

  10. Droge W. 2002. Free radicals in the physiological control of cell function. Physiol Rev 82(1):47-95 

  11. Ellman GL. 1959. Tissue sulfhydryl groups. Arch Biochem Biophys 82(1):70-77 

  12. Furukawa S, Fujita T, Shimabukuro M, Iwaki M, Yamada Y, Nakajima Y, Nakayama O, Makishima M, Matsuda M, Shimomura I. 2004. Increased oxidative stress in obesity and its impact on metabolic syndrome. J Clin Invest 114(12):1752-1761 

  13. Haffner SM, Miettinen H, Stern MP. 1997. The homeostasis model in the San Antonio Heart Study. Diabetes Care 20(7):1087-1092 

  14. Harman D. 1991. The aging process: major risk factor for disease and death. Proc Natl Acad Sci USA 88(12):5360-5363 

  15. Hu ML. 2011. Dietary polyphenols as antioxidants and anticancer agents: more questions than answers. Chang Gung Med J 34(5):449-460 

  16. Kahn SE, Hull RL, Utzschneider KM. 2006. Mechanisms linking obesity to insulin resistance and type 2 diabetes. Nature 444(7121):840-846 

  17. Kim MS, Kim KH, Jo JE, Choi JJ, Kim YJ, Kim JH, Jang SA, Yook HS. 2011.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Har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1):47-55 

  18. Kim SJ, Min SC, Shin HJ, Lee YJ, Cho AR, Kim SY, Han J. 2013.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ten edible plant extracts and their application to fresh ground beef. Meat Sci 93(3):715-722 

  19. King H, Aubert RE, Herman WH. 1998. Global burden of diabetes, 1995-2025: prevalence, numerical estimates, and projections. Diabetes Care 21(9):1414-1431 

  20. Kwak CS, Lee JH. 2014.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sprout of Evening primrose (Oenothera laciniata) and Gooseberry (Actinidia argu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2):207-215 

  21. Lebovitz HE. 1998. ${\alpha}$ -Glucosidase inhibitors as agents in the treatment of diabetes. Diabetes Rev 6(2):132-145 

  22. Lee SJ, Choi HN, Kang MJ, Choe E, Auh JH, Kim JI. 2013. Chamnamul [Pimpinella brachycarpa (Kom.) Nakai] ameliorates hyperglycemia and improves antioxidant status in mice fed a high-fat, high-sucrose diet. Nutr Res Pract 7(6):446-452 

  23. Lee YM, Bae JH, Jung HY, Kim JH, Park DS. 2011. Antioxidant activity in water and methanol extracts from Korean edible wild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1): 29-36 

  24. Lu J, Qian W, Xu L, Huang G, Cong W, Wang Z, Deng X, Wang D, Guan S. 2012. Phytochemical composition and toxicity of an antioxidant extract from Pimpinella brachycarpa (Kom.) Nakai. Environ Toxicol Pharmacol 34(2):409-415 

  25. Maddux BA, See W, Lawrence JC Jr, Goldfine AL, Goldfine ID, Evans JL. 2001. Protection against oxidative stress-induced insulin resistance in rat L6 muscle cells by mircomolar concentrations of alpha-lipoic acid. Diabetes 50(2):404-410 

  26. Manach C, Scalbert A, Morand C, Remesy C, Jimenez L. 2004. Polyphenols: food sources and bioavailability. Am J Clin Nutr 79(5):727-747 

  27. Moskaug JO, Carlsen H, Myhrstad MC, Blomhoff R. 2005. Polyphenols and glutathione synthesis regulation. Am J Clin Nutr 81(1 Suppl):277S-283S 

  28. Ohkawa H, Ohishi N, Yagi K. 1979. Assay for lipid peroxides in animal tissues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Anal Biochem 95(2):351-358 

  29. Paglia DE, Valentine WN. 1967. Studies o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racterization of erythrocyte glutathione peroxidase. J Lab Clin Med 70(1):158-169 

  30. Park HJ, Kim HS. 2014. Korean traditional natural herbs and plants as immune enhancing, antidiabetic, chemopreventive, and antioxidative agents: a narrative review and perspective. J Med Food 17(1):21-27 

  31. Raabo E, Terkildsen TC. 1960. On the enzymatic determination of blood glucose. Scand J Clin Lab Invest 12(4):402-407 

  32. Rudich A, Tirosh A, Potashnik R, Hemi R, Kanety H, Bashan N. 1998. Prolonged oxidative stress impairs insulin-induced GLUT4 translocation in 3T3-L1 adipocytes. Diabetes 47(10):1562-1569 

  33. Ruhe RC, McDonald RB. 2001. Use of antioxidant nutrients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J Am Coll Nutr 20(5 Suppl):363S-369S 

  34. Shah S, Iqbal M, Karam J, Salifu M, McFarlane SI. 2007. Oxidative stress, glucose metabolism, and the prevention of type 2 diabetes: pathophysiological insights. Antioxid Redox Signal 9(7):911-929 

  35. Shin JW, Lee SI, Woo MH, Kim SD. 2008. Effect of ethanol extracts of Goat's beard o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symptoms and oxidative stress in ra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6):939-948 

  36. Standl E, Baumgartl HJ, Fuchtenbusch M, Stemplinger J. 1999. Effect of acarbose on additional insulin therapy in type 2 diabetic patients with late failure of sulphonylurea therapy. Diabetes Obes Metab 1(4):215-220 

  37. Styskal J, Van Remmen H, Richardson A, Salmon AB. 2012. Oxidative stress and diabetes: what can we learn about insulin resistance from antioxidant mutant mouse models? Free Radic Biol Med 52(1):46-58 

  38. Sun Y, Oberley LW, Li Y. 1988. A simple method for clinical assay of superoxide dismutase. Clin Chem 34(3):497-500 

  39. Surwit RS, Kuhn CM, Cochrane C, McCubbin JA, Feinglos MN. 1988. Diet-induced type II diabetes in C57BL/6J mice. Diabetes 37(9):1163-1167 

  40. Townsend DM, Tew KD, Tapiero H. 2003. The importance of glutathione in human disease. Biomed Pharmacother 57(3-4):145-155 

  41. Valko M, Rhodes CJ, Moncol J, Izakovic M, Mazur M. 2006. Free radicals, metals and antioxidants in oxidative stressinduced cancer. Chem Biol Interact 160(1):1-40 

  42. Yang JE, Lee JH, Kim DY, Choe EO, Chung LN. 2014. Sensory properties and drivers of liking Sanchae namul (seasoned dish with wild edible greens). Korean J Food Cook Sci 30(2):200-211 

  43. Yang ZH, Miyahara H, Takeo J, Katayama M. 2012. Diet high in fat and sucrose induces rapid onset of obesity-related metabolic syndrome partly through rapid response of genes involved in lipogenesis, insulin signalling and inflammation in mice. Diabetol Metab 4(1):32 

  44. Zhang ZF, Lu J, Zheng YL, Wu DM, Hu B, Shan Q, Cheng W, Li MQ, Sun YY. 2013. Purple sweet potato color attenuates hepatic insulin resistance via blocking oxidative stress and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in high-fat-diet-treated mice. J Nutr Biochem 24(6):1008-10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