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쑥부쟁이를 활용한 나물김부각 제조 및 품질특성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Namul-kim bugak Using Aster yomena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2 no.1, 2016년, pp.50 - 57  

이경은 (구례야생화연구소) ,  박수진 (구례야생화연구소) ,  정연권 (구례군농업기술센터) ,  고근배 (구례군농업기술센터) ,  손병길 (구례군농업기술센터) ,  정지숙 (구례야생화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김부각(KB), 쑥부쟁이 나물부각(SB), 쑥부쟁이 나물김부각(NB)을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NB는 쑥부쟁이 나물을 잘게 썰어 들깨 양념하여 김에 부착시켜 찹쌀풀을 발라 부각으로 제조 한 후 동결 건조하였다. KB보다 SB와 NB의 기름 흡유율이 높아 나물의 기름 흡수가 많았다. SB의 DPPH radical 소거능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KB 보다는 NB가 높게 측정되어 나물이 김보다 항산화능이 높았다.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수분함량은 증가하는 반면 최대하중, 항복응력 및 경도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NB>KB>SB 순이었고, NB와 SB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5^{\circ}C$에서 40일 저장한 NB의 산가과산화물가는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산패의 기준에는 못 미쳤다. 따라서, $25^{\circ}C$ 이하에서 40일까지는 저장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쑥부쟁이뿐만 아니라 기능성이 입증된 다양한 나물을 첨가한 부각을 제조한다면 다양한 소비자 기호도를 충족시킬 수 있는 부각제조가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kim (dried laver) bugak ("KB"), Aster yomena bugak ("SB"), and namul (vegetables)-kim bugak (combination of Aster yomena and kim) ("NB") were prepared and their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NB was made by slicing Aster yomena, seasoning it with perilla seeds, attaching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식이섬유 함유량이 높은 나물부각과 소비자 기호도가 높은 김부각의 장점을 융합하여 영양성 뿐만 아니라 기능성이 우수한 나물김부각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들깨로 조미한 나물을 김에 부착하여 튀긴 부각(이하 나물김부각으로 칭함)을 제조하였으며, 김부각(KB), 쑥부쟁이 나물부각(SB) 및 쑥부쟁이 나물김부각(NB)의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 변화를 비교평가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각 제조방법은 무엇인가? 부각은 우리나라 대표 튀김식품으로 찹쌀풀을 넓게 발라 건조시킨 후 이를 고온의 식물성 기름으로 하얗게 부풀도록 수초 이내로 유탕하여 만든다. 또한 식재료의 모양을 유지하기 위하여 최소한의 튀김옷을 입혀 튀기는 과정 중 기름의 흡수량을 최소화 하면서 바삭한 질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Jung LJ 등 2013).
쑥부쟁이의 생리활성은 무엇인가? 쑥부쟁이의 성분으로는 chlorogenic acid 및 그 유도체, 페놀성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다(Heo BG 등 2007, Nugroho A 등 2009). 최근 항산화(Woo JH 등 2008), 항암(Heo BG 등 2007), 항균 활성(Chon SU 등 2003) 등 높은 생리활성이 알려지면서 기능성 식품원료 로의 활용범위가 넓어졌다. Lee HM 등(2013)은 쑥부쟁이 에탄올 추출물이 지방세포분화 억제, 항비만 효능이 있어 고지방식이 섭취 시 약 15%의 항비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쑥부쟁이의 성분은 무엇이 있는가? 쑥부쟁이(Aster yomena)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국화과 다년초 식물로 그 자원이 풍부하고 맛과 향이 좋다(Lee JA 2015). 쑥부쟁이의 성분으로는 chlorogenic acid 및 그 유도체, 페놀성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다(Heo BG 등 2007, Nugroho A 등 2009). 최근 항산화(Woo JH 등 2008), 항암(Heo BG 등 2007), 항균 활성(Chon SU 등 2003) 등 높은 생리활성이 알려지면서 기능성 식품원료 로의 활용범위가 넓어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9-1200 

  2. Bourne MC. 1993. Texture. 1st ed. pp 4059-4065. In: Encyclopaedia of food science, food technology and nutrition. Macrae R, Robinson RK, Sadler MJ editors. Academic Press, London, UK 

  3. Chea SG, Gang GS, Ryu YD, Ma SJ. Bang GW, Oh MH, Oh SH. 2007. Standard food analysis. Jigu Publisher, Gyeonggi-do, Korea. pp 336-350 

  4. Choi HN, Kang SJ, Choe EO, Chung LN, Kim JI. 2014. Antioxidant effects of Sanchae-namul in mice fed high-fat and high-sucrose diet. Korean J Food Cook Sci 30(4):369-377 

  5. Choi HM, Sim CH, Shin TS, Bing DJ, Chun S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bugak with sea tangle powder. Korean J Food Nutr 24(3):434-441 

  6. Choi NS. 2000. The study on change of quality propertie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Korean wild vegetables by cultivation, blanching and drying method. Doctorate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p 1 

  7. Chon SU, Kim DI, Choi YS. 2003. Assessments on insecticidal and fungicidal activities by aerial part extracts from several compositae plants. Korean J Weed Sci 23(2):81-91 

  8. Heo BG, Park YS, Chon SU, Lee SY, Cho JY, Gorinstein S. 2007.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aerial parts of Korean salad plants. BioFactors 30(2):79-89 

  9. Jung LJ, Song YO, Chung LN, Choe EO. 2013. Characteristics on lipid and pigments of lotus root, dried laver, and perilla leaf bugak (Korean fried cuisine) made by Korean traditional recipe. Korean J Food Cook Sci 29(6):805-814 

  10. Ko YR, Shon MY, Chung KS, Wang SB, Kang SK, Park SK. 2009. Changes in sugar level, acidity, viscosity, and color of lactic acid bacteria-fermented waxy rice paste containing colored agro-food products. Korean J Food Preserv 16(2): 266-275 

  11. Lee HM, Yang GS, Ahn TG, Kim MD, Nugroho A, Park HJ, Lee KT, Park WS, An HJ. 2013. Antiadipogenic effects of Aster glehni extract: In vivo and in vitro effects. Evid-Based Complement Altern Med 2013:1-10 

  12. Lee JA.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Aster yomena powder. Korean J Culin Res 21(2):141-153 

  13. Lee JM, Kim JA, Lee JM. 2002. Sensory and physicochemical attributes of Boogags using mulberry leaf. Korean J Dietary Culture 17(2):103-110 

  14. Lee YH, Lee KY, Lee SR. 1974. Textural characteristics of various food products by texturometer. Korean J Food Sci Technol 6(1):42-54 

  15. Lee YM, Bae JH, Jung HY, Kim JH, Park DS. 2011. Antioxidant activity in water and methanol extracts from Korean edible wild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1):29-36 

  16. Lim YS, Han BW, Seo AN, Ham CH Yu GP. 2014. Local ingredients wildflowers excavation and characterization. Northeastern Asia plant institute Report, Seoul, Korea. p 23 

  17. Moon YG.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helf-life Kimbugak with chitosan.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Daegu, Korea. p 20 

  18. Nugroho A, Kim KH, Lee KR, Alam MB, Choi JS, Kim WB, Park HJ. 2009.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the caffeoylquinic acids on the Korean mountainous vegetables used for Chwinamul and their peroxynitritescavenging effect. Arch Pharm Res 32(10):1361-1367 

  19. Park BH, Choi HK, Cho HS. 2001. A study on the oxidative stabil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bugak made of aqueous green t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3):557-564 

  20. Park JI, Chung GH, Kim BS, Hur JH. 1994.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Boogags by traditional methods and improvement of preservation. J Korean Soc Food Nutr 23(6):986-993 

  21. Son GT. 2009. Effects of rack-time on frying properties and product qualities of yeast-raised donuts.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p 14 

  22. Woo JH, Jeong HS, Yu JS, Chang YD, Lee CH. 2008. Antioxidant effect of extracts obtained from four Aster species native to Korea. Korean J Plant Resour 21(1):52-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