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hytate 분해능을 지닌 유산균을 이용한 현미의 Phytate 감소효과 및 품질특성
Phytate Reduc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Inoculated with Phytate-degrading Lactic Acid Bacteria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0 no.4, 2014년, pp.480 - 485  

강미란 (세계김치연구소 미생물발효연구단) ,  송정희 (세계김치연구소 미생물발효연구단) ,  박성희 (세계김치연구소 산업지원연구센터) ,  이종희 (세계김치연구소 미생물발효연구단) ,  박해웅 (세계김치연구소 미생물발효연구단) ,  김태운 (세계김치연구소 미생물발효연구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rown rice contains both excellent nutritional value and functional advantages. However, its utilization is limited due to its rough texture and higher concentrations of phytic acid compared to white rice. We made brown rice inoculated with Lactobacillus sakei Wikim001 having phytate activity for 1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현미의 phytate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phytate 분해활성이 있는 L. sakei Wikim001 균주를 현미에 처리한 후 이화학적 특성변화 및 phytate 함량 그리고 취반에 따른 관능적 특성 변화를 알아보았다. 현미의 pH는 L.
  • Lecuconostoc mesenteroides KC51 균주가 현미 당화액에서 phytate를 분해(In MJ 등 2009)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현미의 무기질 흡수를 저해하는 현미 내 phytate를 감소시키기 위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미의 phytate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phytate 분해활성이 있는 Lactobacillus sakei Wikim001 균주(Park SH 등 2013)를 현미에 처리한 후 이화학적 특성변화 및 phytate 함량 그리고 취반에 따른 관능적 특성 변화를 알아보았다.

가설 설정

  • 3)Different letters on the bars (a-c) differ significantly (p<0.05).
  • 3)Different letters within a same row (a-c) differ significantly (p<0.05).
  • 4)NS : not significan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미에 함유된 기능성 성분은? 현미는 백미에 비해 식이섬유 함량이 2배 정도 높고(Lee YS 등 2008, Choi SN 등 2013) 칼슘, 나트륨, 인, 철분 등의 각종 무기질과 비타민 B군을 비롯한 다양한 비타민류가 많이 함유되어 있다(Lee SY 2008, Jeong SY 등 2011). 또한, 현미에는 폴리페놀(polyphenolics),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γ-oryzanol, phytate, inositol 및 arabinoxylan 등의 기능성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같은 성분들은 생리활성 물질로 콜레스테롤 수치 저하, 항암성, 면역력 증강 및 혈압강하 등의 다양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Lee MH와 Oh MS 2006, Ko MR 등 2011). 하지만 현미의 뛰어난 영양성과 기능성에도 불구하고 단단한 껍질, phytate 등으로 인한 소화 흡수성 저하 및 까칠한 식미 등으로 인하여 백미를 주식으로 하는 사람이 많다.
현미는 백미에 비해 영양성과 기능성이 우수하지만 백미보다 수요가 떨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현미에는 폴리페놀(polyphenolics),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γ-oryzanol, phytate, inositol 및 arabinoxylan 등의 기능성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같은 성분들은 생리활성 물질로 콜레스테롤 수치 저하, 항암성, 면역력 증강 및 혈압강하 등의 다양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Lee MH와 Oh MS 2006, Ko MR 등 2011). 하지만 현미의 뛰어난 영양성과 기능성에도 불구하고 단단한 껍질, phytate 등으로 인한 소화 흡수성 저하 및 까칠한 식미 등으로 인하여 백미를 주식으로 하는 사람이 많다.
Phytate의 구조는? Phytate(myo-inositol hexakisphosphate)는 inositol에 6개의 인산기가 결합된 인산 ester 구조로 곡류에 있어서 인의 주요 저장 형태이다. Phytate는 킬레이트 활성에 의하여 중금속 제거, 항암작용 등과 같은 긍정적인 효과도 보고되어 있으나, 호소(湖沼)에서 부영양화를 유발하여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원인 물질이며 생체 내에서 Mg, Ca, Fe, Zn 등의 무기질이나 영양 성분의 체내 흡수를 저해하는 항영양인자(antinutrient)로도 작용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oi SN, Chung NY, Kim HJ.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waffle by adding brown rice flour. Korean J Food Cook Sci 29(1):47-52 

  2. De Angelis M, Gallo G, Corbo MR, McSweeney PL, Faccia M, Giovine M, Gobbetti M. 2003. Phytase activity in sourdough lactic acid bacteria: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phytase from Lactobacillus sanfranciscensis CB1. Int J Food Microbiol 87(3):259-270 

  3. In MJ, Choi SY, Kim HR, Park DB, Oh NS, Kim DC. 2009. Acid production and phytase degradation using a Leuconostoc mesenteroides KC51 strain in saccharified-rice suspension. J Appl Biol Chem 52(1):33-37 

  4. Jeon HJ. 1997. Softened unpolished rice and production thereof. Korean patent 1997-0046668 

  5. Jeong SY, Park MJ, Lee SY. 2011.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Jeung-pyun dough containing with different amounts of brown rice. Korean J Food Cook Sci 27(2):9-17 

  6. Joung HJ, Nam GY, Yoon S, Lee JM, Shim JE, Paik HY. 2004. Bioavailable zinc intake of Korean adults in relation to the phytate content of Korean foods. J Food Compos Anal 17(6):713-724 

  7. Kim DJ, Oh SK, Lee JH, Yoon MR, Chio IS, Lee DH, Kim YG. 2012. Change in quality properties of brown rice after germin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4(3):300-305 

  8. Kim HG, Kim JN, Whang EM, Shin WS. 2014. Effects of brown rice and brown rice powder mixing ratio on the preference analysis of the waffles and rice ball. Korean J Food Cook Sci 30(2):146-152 

  9. Kim JY, Back SH. 2012. Hydration and cooking properties of brown rice scratched with a knife. Korean J Food Sci Technol 44(6):722-727 

  10. Kim KJ, Pyun UR, Choi HT, Lee SK, Kim SK. 1984. Cooking properties of Akibare and Milyang 23 brown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16(4):457-62 

  11. Ko MR, Choi HJ, Han KB, Yoo SS, Kim HS, Choi SW, Hur NY, Kim CN, Kim BY, Baik MY. 2011. Antioxidative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capacity of brown and black rices. Food Eng Prog 15(3):195-202 

  12. Kum JK, Choi BK, Lee HY, Park JD, Park HJ. 2004.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erminated brown rice. Korean J Food Preserv 11(2):182-188 

  13. Lee MH, Oh M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brown rice flour. Korean J Food Culture 21(6):685-694 

  14. Lee SH, Kwon HS, Koo KT, Kang BH, Kim TY. 2006. Characterization of phytase from Bacillus coagulans IDCC 1201.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4(1):28-34 

  15. Lee SM, Yoo S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kpyun by brown rice. Korean J Food Cook Sci 27(4):47-54 

  16. Lee YS, Kim AJ, Rho JO.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routed brown rice Dasik with yujacheong add. Korean J Food Cook Sci 24(4):494-500 

  17. Lim SY. 2008. Inhibitory effect of methanol extracts from Korean Oryza sartiva and Coix lachryma-jobi var. mayuen on mutagenicity and growth of human cancer cells. J Life Sci 18(10):1415-1419 

  18. Park JD, Choi BK, Kum JS, Lee HY. 2005. Quality properties of cooked germinated-brown rice. J Korean Food Preserv 12(2):101-106 

  19. Park SH, Yang SY, Lee JH, Kang MR. 2013. Selection of phytate-degrading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and reaction properties in brown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4):627-632 

  20. Pin KT, Kim KC. 2013. Analysis on physical changes of pectinase-treated brown rice (Oryza sativa). J Life Sci 23(4):554-559 

  21. Reale A, Konietzny U, Coppola R, Sorrentino E, Greiner R. 2007. The importance of lactic acid bacteria for phytate degradation during cereal dough fermentation. J Agric Food Chem 55(8):2993-2997 

  22. Shin MK, Kum JS, Rhyu MR, Kim GH. 199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oking technology for improving quality of cooking rice. KFRI report G1045-0364 

  23. Wodzinski RJ, Ullah AH. 1996. Phytase. Adv Appl Microbiol 42(1):263-302 

  24. Yang SY, Song MD, Kim CW, Yu JH, Chung KC. 2001. Isolatin and application of phytate-hydrolysing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Appl Micobiol Biotechnol 29(4):195-200 

  25. Yau NYN, Huang JJ. 1996. Sensory analysis of cooked rice. Food Qual Prefer 7:263-27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