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수유통 중인 간척담수호 화성호에서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과 적응전략에 대한 수문학적 영향
The Effect of Hydrology on Phytoplankton Assemblages and Its Adaptive Strategies in Lake Hwaseong, Estuarine Reservoir with Seawater Exchange, Korea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7 no.2, 2014년, pp.71 - 81  

송태윤 (인하대학교 해양학과) ,  유만호 (인하대학교 해양학과) ,  이인호 (한국농어촌공사) ,  강의태 (한국농어촌공사) ,  김미옥 (한국농어촌공사) ,  최중기 (인하대학교 해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수유통 중인 화성호에서 수문학적 변동이 식물플랑크톤 군집과 적응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2년 5월부터 10월까지 7회에 걸쳐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생물량, 환경변수를 조사하였다. 수문학적 이벤트 (해수유통, 강수량)는 화성호의 급격한 염분변동 (2.9~29.1 psu)과 함께 영양염, 투명도를 조절하였다. 식물플랑크톤 종조성은 매 조사마다 강 (class) 수준에서 급격히 변하였고, 클로로필-a$9.7{\sim}104.1{\mu}g\;L^{-1}$의 범위로 6월에 낮고 9월에 높았다. 다변량 분석결과, 식물플랑크톤 천이는 4개의 시기로 구분되었다. Phase I (5~6월)은 해수유통이 빈번한 고염-중온 시기로, 작은 크기의 Gymnodinium sp., Heterosigma akashiwo이 우점하였다. Phase II (7월, 9월)에는 집중호우와 바람의 영향으로 Cylindrotheca closterium가 우점하였고, Phase III (8월)에는 저염-고온 시기로 Oscillatoria spp.가 우점하였으며, Phase IV (10월)는 해수유통이 다시 증가하고 수온이 급감하면서 작은 편모조류인 unid. cryptomonad가 우점하였다. 화성호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형태적, 생리적 특성에 따라 구분되는 세가지 적응전략, 즉 C (colonist-invasives), S (stress-tolerants), R (ruderals)전략에 따라 구분되었다. Phase I와 IV의 우점종은 CR-전략종으로써, 약한 성층조건을 선호하는 작은 크기의 기회종이였고, Phase II와 III의 우점종은 R-전략종으로써, 유입하천수의 교란에 적응된 중간 크기의 종이다. 이 결과는 향후 해수유통차단에 의한 성층강화가 현재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을 더 작은 편모조류의 극우점으로 변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화성호의 수문학적 이벤트(해수유통, 강수량)는 염분, 영양염, 성층환경 교란을 조절함으로써 식물플랑크톤의 천이와 대발생을 이끄는 중요한 요인임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urve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hydrology on the composition, abundance and adaptive strategies of phytoplankton in artificial Lake Hwaseong, an estuarine reservoir with seawater exchange through a sluice. Samples were collected seven times from May to October 2012. Hydrolog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화성호에서 수문학적 변동에 따른 환경요인이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간적 동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환경인자,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및 생물량의 시간적 변동성을 살펴보고, 다변량 통계분석을 통한 식물플랑크톤 천이와 환경인자간의 관계, Reynolds의 C-S-R 모델을 이용한 우점종 서식특성과 적응전략을 파악하였다.

가설 설정

  • 형태-기능적 접근법인 Reynolds (1991)의 적응전략은 우점종의 서식특성을 파악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Reynolds의 가정 (Reynolds, 1991; Smayda and Reynolds, 2001)에 따라 화성호의 우점종들은 계절에 따라 CR-과 R-전략을 선택하였다. 전형적인 온대 호수와 달리 S-전략종이 출현하지 않은 것은 화성호가 영양염류 과잉상태에 있음을 의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수의 물과 해수를 교환 할 때 일어나는 주기적인 수문학적 이벤트는 어떤 변화를 일으키는가? 일반적으로 간척담수호는 물막이 공사 이후 하천으로부터 담수를 공급받고 호내 염수를 배출하는 제염과정을 거쳐 담수호가 완성되지만, 수질관 리가 어려운 경우에는 상당기간 수문을 통한 해수유통으로 호수의 물과 해수를 교환하게 된다. 이 때 주기적인 수문학적 이벤트 (계절주기를 갖는 홍수, 조석주기에 맞추어 운용되는 해수유통)는 간척담수호에서 직접적인 생물 유입, 유출뿐만 아니라 염분, 성층강도, 체류시간, 영양염류 공급, 빛 가용성에 큰 변동을 일으킨다. 결국 이러한 서식환경의 시간적 이질성 (heterogeneity)은 식물 플랑크톤 종조성과 생물량에 상당한 시간적 변동성을 초래하기 때문에 (Bonilla et al.
간척담수호는 무엇인가? 간척담수호는 담수호 조성을 목적으로 하구역을 방조제와 수문으로 막은 간척호로서, 자연적인 물질순환체계의 변형과 체류시간의 증가로 인해 부영양화에 취약하다 (Seo, 1997; Shin and Jun, 2002; Hwang et al., 2003; Choi et al.
간척담수호는 무엇에 취약한가? 간척담수호는 담수호 조성을 목적으로 하구역을 방조제와 수문으로 막은 간척호로서, 자연적인 물질순환체계의 변형과 체류시간의 증가로 인해 부영양화에 취약하다 (Seo, 1997; Shin and Jun, 2002; Hwang et al., 2003; Cho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lves-de-Souza, C., M.T. Gonzalez and J.L. Iriarte. 2008. Functional groups in marine phytoplankton assemblages dominated by diatoms in fjords of southern Chile. Journal of Plankton Research 30: 1233-1243. 

  2. Anneville, O., S. Souissi and F. Ibanez. 2002. Temporal mapping of phytoplankton assemblages in Lake Geneva: annual and interannual changes in their patterns of succession. Limnology and Oceanography 47: 1355-1366. 

  3. APHA. 199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9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4. Apoya-Horton, M.D., L. Yin, G.J.C. Underwood and M.R. Gretz. 2006. Movement modalities and responses to environmental changes of the mudflat diatom Cylindrotheca closterium( bacillariophyceae). Journal of Phycology 42: 379-390. 

  5. Bonilla, S., D. Conde, L. Aubriot, M. del Carmen Perez and M.D.C. Perez. 2005. Influence of hydrology on phytoplankton species composition and life strategies in a subtropical coastal lagoon periodically connected with the Atlantic Ocean. Estuaries 28: 884-895. 

  6. Choi, C.H., S.W. Jung, S.M. Yun, S.H. Kim and J.G. Park. 2013. Changes in phytoplankton communitie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Saemangeum artificial lake, South Korea between 2006 and 2009. Environmental Biology Research 31: 213-224. 

  7. Choi, J.K., E.H. Lee, J.H. Noh and S.H. Huh. 1997. The study on the phytoplankton bloom and primary productivity in Lake Shihwa and adjacent coastal areas.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2: 78-86. 

  8. Choi, J.H., K.Y. Kim and D.B. Hong. 2000. Impact of seawater inflow on the temperature and salinity in Shihwa Lake, Kore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1: 541-552. 

  9. Chung, M.H., H.S. Kim, C.I. Choi and S.J. Hwang. 2004. Phytoplankton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Lake Hwaong.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7: 193-204. 

  10. De Jonge, V.N. and J.E.E. Van Beusekom. 1995. Wind-and tideinduced resuspension of sediment and microphytobenthos from tidal flats in the Ems estuary. Limnology and Oceanography 40: 766-778. 

  11. Fukuyo, Y., H. Takano, M. Chihara and K. Matsuoka. 1990. Redtide organisms in Japan, An illustrated taxonomic guide, Uchida Rokakuho. 

  12. Hillebrand, H., C.D. Durselen, D. Kirschtel, U. Pollingher and T. Zohary. 1999. Biovolume calculation for pelagic and benthic microalgae. Journal of Phycology 35: 403-424. 

  13. Hirose, H., T. Yamagishi, M. Akiyama, T. Ioriya, K. Imahori, H. Kasaki, S. Kumano, H. Kobayasi, E. Takahashi, K. Tsumura and M. Hirano. 1977. Illustrations of the Japanese Freshwater Algae, Uchidarokakuho Publishing Co., Ltd. 

  14. Hwang, S.J., H.S. Kim, M.H. Chung and C.I. Choi. 2003. Water quality and chlorophyll-a at the birth stage of a large reclaimed estuarine lake in Korea (Lake Hwaong).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6: 455-462. 

  15. Kang, N.S., K.H. Lee, H.J. Jeong, Y.D. Yoo, K.A. Seong, E. Potvin, Y.J. Hwang and E.Y. Yoon. 2013. Red tides in Shiwha Bay, western Korea: A huge dike and tidal power plant established in a semi-enclosed embayment system. Harmful Algae 30: S114-S130. 

  16. Karadzic, V., G. Subakov-Simic, J. Krizmanic and D. Natic. 2010. Phytoplankton and eutrophication development in the water supply reservoirs Garasi and Bukulja (Serbia). Desalination 255: 91-96. 

  17. Kim, H.S., D.S. Kong and S.J. Hwang. 2005. Characteristic community dynamics of phyto-and zooplankton in a shallow eutrophic reservoir.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8: 18-29. 

  18. Kingston, M.B. 2009. Growth and motility of the diatom Cylindrotheca closterium: Implications for commercial applications. Journal of the North Carolina Academy of Science 125: 138-142. 

  19.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KRC). 2011. Report for water qaulity management of freshwater lake in the Hwaong regional reclamation development project, Gyeonggi, Korea. 

  20.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KME). 2008. The Korean standard method of environmental pollutions for water quality. 

  21. Lorenzen, C.J. 1967. Determination of chlorophyll and pheopigments: spectrophotometric equations. Limnology and Oceanography 12: 343-346. 

  22. Mallin, M.A. 1994. Phytoplankton ecology of North Carolina estuaries. Estuaries 17: 561-574. 

  23. Moita, M.T., P.B. Oliveira, J.C. Mendes and A.S. Palma. 2003. Distribution of chlorophyll a and Gymnodinium catenatum associated with coastal upwelling plumes off central Portugal. Acta Oecologica 24: S125-S132. 

  24. Reynolds, C.S. 1991. Functional morphology and adaptative strategies of freshwater phytoplankton, p. 388-426. In: Growth and Reproductive Strategies of Freshwater Phytoplankton (Sandgren, C.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Robarts, R.D. and T. Zohary. 1987. Temperature effects on photosynthetic capacity, respiration, and growth rates of bloomforming cyanobacteria. New Zealand Journal of Marine and Freshwater Research 21: 391-399. 

  26. Seo, D. 1997. Analysis of water quality problems in the Sihwa Lake, Korea.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0: 518-523. 

  27. Shin, J.K., D.S. Kim and K.J. Cho. 2000. Dynamics of inorganic nutrients and phytoplankton in Shihwa Reservoir.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3: 109-118. 

  28. Shin, J.K., S.J. Hwang and C.G. Yoon. 2006. Spatial structure and seasonal variation of temperature and salinity in the early stage of reclaimed brackish lake (Hwaong Reservoir).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9: 352-365. 

  29. Shin, Y.K. and S. Jun. 2002. Ecological studies on the Asan Reservoir 1,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trophic Status.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5: 181-186. 

  30. Smayda, T.J. and C.S. Reynolds. 2001. Community assembly in marine phytoplankton: application of recent models to harmful dinoflagellate blooms. Journal of Plankton Research 23: 447-461. 

  31. Stevic, F., M. Mihaljevic and D. Spoljari´c. 2013. Changes of phytoplankton functional groups in a floodplain lake associated with hydrological perturbations. Hydrobiologia 709: 143-158. 

  32. Ter Braak, C. and P. Smilauer. 2002. CANOCO reference manual and CanoDraw for Windows user's guide: software for canonical community ordination (version 4.5), Microcomputer Power. 

  33. Tolotti, M., A. Boscaini and N. Salmaso. 2009. Comparative analysis of phytoplankton patterns in two modified lakes with contrasting hydrological features. Aquatic Sciences 72: 213-226. 

  34. Tomas, C.R. 1997. Identifying Marine Phytoplankton, 1st ed. Academic Press. 

  35. Underwood, G.J.C., M. Boulcott, C.A. Raines and K. Waldron. 2004. Environmental effects on exopolymer production by marine benthic diatoms: Dynamics, changes in composition, and pathways of production. Journal of Phycology 40: 293-304. 

  36. Zhu, W., Y. Pan, J. Tao, X. Li, X. Xu, Y. Wang and Q. Wang. 2013. Phytoplankton community and succession in a newly man-made shallow lake, Shanghai, China. Aquatic Ecology 47: 137-14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