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도 화성 연안 안강망 어장의 어류군집
A Fish Community Caught by a Stow Net in the Water off Hwaseong City, the West Sea,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25 no.2, 2013년, pp.119 - 134  

차병열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임양재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조현수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권대현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초록

서해 아산만의 경기도 화성 연안 안강망어장에서 2011년 3월부터 2012년 2월까지 어류군집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어종은 총 71종, 개체수 608,801마리 그리고 생체량은 795,503.3 g이었다. 이중 개체수에서 멸치가 592,926마리로 전체의 97.3%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흰베도라치(0.9%), 쉬쉬망둑(0.4%), 전어(0.2%), 줄공치(0.1%), 도화망둑(0.1%) 등이었으나 소량이었다. 생체량 면에서는 역시 멸치가 622,815.8 g으로 전체의 78.2%를 차지하여 최우점하였고, 기타 쉬쉬망둑(5.1%), 꼼치(2.4%), 문치가자미(2.2%), 홍어(1.8%) 등의 순이었다. 표층해역에서 채집된 어류는 총 59종, 개체수 190,406마리, 생체량 241,113.4 g이었으며, 저층해역에서는 총 61종, 개체수 418,395마리, 생체량 554,389.9 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어류군집은 계절에 따라 많이 달랐는데, 어종수가 많았던 2011년 3월부터 5월 그리고 2012년 1월과 2월에는 개체수와 생체량이 적었으며, 대신에 어종수가 적었던 2011년 6월부터 12월까지는 개체수와 생체량이 많이 증가하였다. 이는 우점종인 멸치의 어장가입과 주로 관련이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pecies composition, abundance and seasonal variation of the fish community in the water off Hwaseong City, the West Sea, Korea were determined using monthly samples collected by a stow net from March 2011 to February 2012. A total of 71 species, 608,801 individuals and 795,503.3 g of fish were col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아산만 입구에 위치하고 있는 경기도 화성 연안의 안강망어장에서 월별로 어류를 조사하여 종조성 및 우점종, 어종별 출현량 등을 파악하고, 어류군집의 월 변동 경향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산만은 어디에 위치해 있는가? 서해 중부연안에 위치한 아산만은 많은 어류들의 산란장, 성육장 및 색이장으로 이용된다. 이는 아산만이 어류들에게 풍부한 먹이생물과 다양한 서식처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산만은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가? 서해 중부연안에 위치한 아산만은 많은 어류들의 산란장, 성육장 및 색이장으로 이용된다. 이는 아산만이 어류들에게 풍부한 먹이생물과 다양한 서식처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안강망어장의 해양환경의 특성은 어떻게 되는가? 표층수온은 2011년 3월에 2.5oC로 낮았고(Fig. 2), 4월 이후에는 점차 상승하여 8월과 9월에는 23.0oC으로 높았다. 그러나, 10월 이후에는 다시 낮아져 2012년 1월과 2월에는 각각 3.2oC, 1.8oC의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저층수온의 경우, 역시 2011년 3월에 2.5oC의 낮은 값을 보였으나, 2011년 8월과 9월에 23.0oC 이상의 높은 수온을 나타내었으며, 저층수온의 월 변동양상은 표층수온과 비슷하였다. 표층염분은 2011년 3월부터 6월까지 30.0 psu 이상이었으나, 7월에는 30.0 psu 미만으로 낮아졌으며, 8월부터 10월까지는 29.0 psu 미만으로 더욱 낮아졌다. 11월 이후부터 익년 2월까지는 염분이 약간 증가하여 29.0 psu 이상을 나타내었다. 저층도 표층염분의 월 변동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그러나 2011년 7월부터 10월까지는 표층이 저층보다 다소 낮았 는데, 이는 우기(rainy season)동안 민물이 표층으로 유입되 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표층과 저층의 수온과 염분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국립수산과학원. 2004. 한국 연근해 유용어류도감. 한글, 333pp. 

  2. 국립수산과학원. 2010. 연근해 주요 어업자원의 생태와 어장. 예문사, 405pp. 

  3. 김익수.최 윤.이충렬.이용주.김병직.김지현. 2005. 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615pp. 

  4. 이태원. 1989. 천수만 저서성어류군집의 계절변화. 한국수산학회지, 22: 1-8. 

  5. 이태원. 1993. 아산만 저어류 III. 정점간 양적변동과 종조성. 한국수산학회지, 26: 438-445. 

  6. 이태원. 1996. 천수만 어류의 종조성 변화 1. 저어류. 한국수산학회지, 29: 71-83. 

  7. 이태원. 1998. 천수만 어류의 종조성 변화 3. 부어류. 한국어류학회지, 31: 654-664. 

  8. 이태원?길준우. 1998. 1986-87년 영광 연안 저어류의 계절변동. 한국어류학회지, 10: 241-249. 

  9. 이태원.김광천. 1992. 아산만 저어류 II. 종조성의 주야 및 계절 변동. 한국수산학회지, 25: 103-114. 

  10. 이태원.문형태.최신석. 1997. 천수만 어류의 종조성 변화 2. 대천 해빈 쇄파대 어류. 한국어류학회지, 9: 79-90. 

  11. 이태원.황선완. 1995. 아산만 저어류 IV. 종조성의 최근 3년간 (1990-1993) 변화. 한국수산학회지, 28: 67-79. 

  12. 차병열. 2009. 남해도 미조 정치망 어장의 출현 종과 어획량 변동 특성. 한국어류학회지, 21: 191-199. 

  13. 황선도. 1998. 서해 고군산군도 연안 낭장망 어획 수산생물의 종 조성 및 주야?계절 변동. 한국어류학회지, 10: 155-163. 

  14. 황학빈.이태원. 2011. 이각망에 채집된 2008년 태안 연안 어류 종조성. 한국수산과학회지, 44: 173-178. 

  15. Amold, G.P., M.G. Walker, L.S. Emerson and B.H. Holford. 1994. Movements of cod (Gadus morhua L.) in relation to the tidal streams in the southern North Sea. ICES J. Mar Sci., 51: 207-232. 

  16. Gong, Y., Y.S. Suh, K.T. Seong and I.S. Han. 2009. Fluctuations in Ocean Climate and Fish Populations.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Busan, Korea, 263pp. (in Korean) 

  17. Lee, T.W. and K.J. Seok. 1984. Seasonal fluctuations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Cheonsu Bay using trap net catches. J. Oceanol. Soc. Korea, 19: 217-227. 

  18. Pielou, E.C. 1966.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s. J. Theoretical Biol., 13: 131-144. 

  19. Pielou, E.C. 1984. The interpretation of ecological data. A primer on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 John Wiley & Sons Inc., Canada, 263p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