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강 하구역 자치어 종조성의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the Larval Fish in the Han River Estuary,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26 no.2, 2014년, pp.125 - 132  

김지혜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김병기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한경남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강 하구역에서 출현하는 자치어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 해양환경요인과 자치어의 분포 및 출현양상과의 연관성을 평가하기 위해 한강 하구역을 대표하는 염하수로, 석모수로, 장봉수로에서 2007년 5월에서 2008년 8월 사이 계절별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자치어는 총 13개 분류군 총 3,642개체가 출현하였고, 웅어속이 48.8%로 우점하였다. 장봉수로에서 총 11개 분류군이 출현하여 가장 많았다. 석모수로에서는 웅어속이 대량 채집되어 채집량이 2,428개체로 가장 높았다. 춘계와 하계에 출현량이 증가하였으며, 동계에는 흰베도라치만이 출현하였다. 염하수로 및 석모수로에서는 기수종이 주를 이루었고 장봉수로에서는 연안성 어종, 연안 회유성 어종, 연안정착성 어종 등 다양하게 출현하였다. 정준대응분석(CCA) 결과 자치어는 수온 및 염분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강 담수유입에 따른 염분에 따라 주요 자치어는 2개의 그룹(염하 석모수로, 장봉수로)으로 구분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asonal variation and abundance of fish larvae in Han River estuary were determined by analysis of seasonal samples collected from three channels in the Han River estuary from May 2007 to August 2008. During the study, a total of 3,642 fish larvae were collected belonging to 13 taxa. Coilia spp. w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한강 하구역에서 출현하는 자치어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 시공간 분포특성에 미치는 해양환경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표적인 한강 하구역은 어디인가? 한강 하구역에서 출현하는 자치어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 해양환경요인과 자치어의 분포 및 출현양상과의 연관성을 평가하기 위해 한강 하구역을 대표하는 염하수로, 석모수로, 장봉수로에서 2007년 5월에서 2008년 8월 사이 계절별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자치어는 총 13개 분류군 총 3,642개체가 출현하였고, 웅어속이 48.
한강 하구의 특징은 무엇인가? 한강 하구는 남쪽으로는 강화도 양측의 염하수로와 석모 수로를 통하여 경기만과 연결되며, 북쪽으로는 예성강 및 임진강 하구와 합류된다.
한강 하구역의 생물학적 기능이 위협을 받게된 원인은 무엇인가? 또한 한강 하구역은 국내 4대강 하구역 가운데 유일하게 하구둑이 건설되지 않아 조수의 출입이 자유롭고 군사적인 이유로 인해 민간인의 접근이 통제되어 자연적인 하천지형과 생태계가 비교적 잘 보전되어 있다(서 등, 2008). 그러나 수도권으로부터 유입되는 오폐수와 수도권 매립지, 신공항 건설 및 냉각수 활용시설 등으로 수계 환경이 점차 악화되어 가고 있어 어류 및 다양한 생물들의 산란장, 섭식장, 성육장으로서의 기능이 위협을 받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권순기.최중기. 1994. 한강하류 및 하구역의 식물플랑크톤 생태 연구 I. 환경요인과 일차생산력. 황해학회지, 6: 77-99. 

  2. 국립수산과학원. 1998. 연근해 주요 어종의 생태와 어장. 321pp. 

  3. 김수암.장창익. 1994. 어류생태학. 서울프레스, 274pp. 

  4. 김영택. 1990. 한강하구 및 경기만에서의 물리학적 특성.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6pp. 

  5. 김용억. 1981. 한국연근해 어란 및 자치어 도감. 부산수산대학교 해양과학연구소, 109pp. 

  6. 김용억. 1983. 남해창선해협의 자치어에 관한 연구. 한국수산학회지, 16: 163-180. 

  7. 김용억. 1984. 대한 해협의 자치어 분포상. 한국수산학회지, 17:230-243. 

  8. 김익수.최 윤.이충렬.이용주.김병직.김지현. 2005. 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615pp. 

  9. 김종만.유재명.허형택.차성식. 1985. 울산만 및 그 주변 해역의 자치어 분포. 해양연구, 7: 15-22. 

  10. 김종만.유재명.명정구.임주열. 1986. 한국연근해 어란 치자어 도감. 해양연구소, 369pp 

  11. 김진구.최정일.장대수.나종태.김용억. 2003. 영산강 하구역주변해역의 난자치어 분포. 한국어류학회지, 36: 486-494. 

  12. 명철수. 2011. 한강 하구역 기초생태환경과 중형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시 공간적 변동.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5pp. 

  13. 박경수.한경남. 1997. 한강하구역 및 경기만에서 어류 자치어의 역학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32: 202-207. 

  14. 박경수. 2004. 한강 하구역의 염분 분포 및 생태환경특성. 한국습지학회, 6: 149-166. 

  15. 서영덕.진재율.황규남. 2008. 한강 하구역 점착성 퇴적물 침강 속도의 지엽적/공간적 변화. 한국해양공학회지, 22: 37-45. 

  16. 오재경. 1985. 한강 종합개발 이전의 한강하구에서의 퇴적환경과 광물자원에 관한연구. 과학재단 연구보고서, 88pp. 

  17. 오재경. 1989. 한강개발이전 한강하구와 경기만에서의 퇴적환경.황해학회지, 2: 13-20. 

  18. 장현도. 1989. 한강종합 개발이후 한강하구 및 경기만에서 퇴적환경의 변화.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2pp. 

  19.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서울, 727pp. 

  20. 차성식.유재명.김종만. 1990. 황해 중동부 연안역의 치자어 군집의 계절 변동. 한국해양학회지, 26: 47-58. 

  21. 차성식.박광재. 1991. 만경, 동진강 하구의 부유성 난 자치어의 분포양상. 한국해양학회지, 25: 96-105. 

  22. 차성식.허성회. 1988. 낙동강 하구부근의 부유성 난 자치어의 출현량 변동, 한국어업기술학회지, 24: 135-143. 

  23. Blaber, S.J.M. 1974. Osmoregulation in juvenile Rhabdosargus holubi [Steindacher (Teleostei: Sparide)]. J. Fish Biol., 6: 797-800. 

  24. Cadee, G.C. and J. Hegeman. 1974. Primary production of phytoplankton in the Dutch Wadden Sea. Neth. J. Sea Res., 8: 240-259. 

  25. Colijn, F. and E. Ludden. 1983. Primary production of phytoplankton in the Ems-Dollard estuary. In: Colijn, F. (ed.), Primary production in the Ems-Dollard estuary. Drukkerij Van Denderen, Groningen., pp. 38-99. 

  26. Esteve, E. and T.M.J. Pedro Andrade. 2000. The distribution of estuarine fish larvae: Nutritional cinditin and co-occurrence with predators and prey. Acta Oecologica., 21: 161-173. 

  27. Faria, A., P. Morais and M.A. Chicharo. 2006. Ichthyoplankton dynamics in the Guadian estuary and adjacent coastal area, South-Est Portugal. Estuar. Coast. Shelf Sci., 70: 86-97. 

  28. Joint, I.R. and A.J. Pomroy. 1981. Primary production in a turbid estuary. Estuar. Coast. Shelf Sci., 13: 303-316. 

  29. Lee, B.W. and E.Y. Chung. 2003. Histological study on reproductive cycle of coilia nasus. J. Aquaculture, 16: 179-186. 

  30. Martin, T.J. 1990. Osmoregulatory in three species of Ambassidae (Osteichthyes: Perciformes) from estuaries in Natal. South African J. Zool., 25: 229-234. 

  31. Moser, H.G., W.J. Richards, D.M. Cohen, M.P. Fahay, A.W Kendall and S.L. Richardson. 1984. Ontogeny and systematics of fishes. The American society of Ichthyologists and Herperologists, 760pp. 

  32. Okiyama, M. 1988. An atlas of the early stage fishes in Japan. Tokai University Press, 1154pp. 

  33. Otto, R.G. 1971. Effects of salinity on the survival and growth of pre-smolt coho salmon Oncorhynchus kisutch. J. Fish. Res., Bd. Canada, 28: 343-349. 

  34. Rakocinski, C.F., J. Lyczkowski-Shultz and S.L. Richardson. 1996. Ichthyoplankton assemblage structure in Mississippi sound as revealed by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43: 237-257. 

  35. Sakagawa, G.T. and M. Kimura. 1976. Growth of laboratory-reared northern anchovy, Engraulis modax, from southern California. Bull., U.S., 74: 271-279. 

  36. Talbot, G.B. and S.I. Jonson. 1972. Rear in Pacific herring in the laboratory. The Progressive Fish-Culturist, 34: 2-7. 

  37. Wofsy, S.C. 1983. A simple model to predict extinction coefficients and phytoplankton biomass in eutrophic water. Limnol. Oceanogr., 28: 1144-11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