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계 진해만에서의 자어 분포 및 종조성
Distribu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Larval Fish during Winter Season in Jinhae Bay,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26 no.2, 2014년, pp.133 - 138  

이정훈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 ,  김정년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 ,  남기문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 ,  김창원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  김주일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

초록

진해만에서 동계기간 동안 자어의 분포 및 종조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8과 12종이 출현하였고, 우점종으로는 Pholis crassispina, Clupea pallasii, Liparis tanakae, Hexagrammos otakii였다. 이들 4종은 출현한 총 개체수의 93%를 차지하였다. 잠도와 칠천도 동쪽에서 높은 밀도와 종 다양성을 보여, 이 지역이 진해만에서 자어의 주요 산란장인 것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spacial distribu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 larvae during winter season (January 2013~March 2013) in Jinhae Bay, Korea. During the study period, a total of 12 larvae species belonging to 8 families were collected, and the dominant species were Pholis crassispina, Clupe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만내에서 수산생물이 안정적으로 생산될 것으로 판단되는 동계기간에 관한 연구는 대구, 꼼치와 같은 주요수산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도 정량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계기간 진해만에서 부화한 자어의 분포 및 종조성을 파악하여, 이들 수산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진해만에서 동계기간 동안 자어의 분포 및 종조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8과 12종이 출현하였고, 우점종으로는 Pholis crassispina, Clupea pallasii, Liparis tanakae,Hexagrammos otakii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해만은 어떠한 어종의 주 산란장인가? 만내에서는 하계와 추계에 걸쳐 매년 유해성 적조와 빈산소 수괴가 발생하고 있고(최 등, 2009), 최근에는 이들의 출현빈도, 발생범위의 확장 및 장기화로 서식생물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조, 1979; 박 등, 1987). 하지만 연중 해양생물의 성육장 및 시식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특히 동계에는 대구, 꼼치 등 주요 수산자원의 산란장으로 알려져 있어(Uchida, 1936; 정, 1977) 이들 자원의 안정적인 이용을 위해서는 만내 주요 산란장을 파악하고 보존하기 위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진해만이 위치하는 곳은? 우리나라 남해동부해역에 위치한 진해만은 전형적인 반 폐쇄성 내만으로, 주변에 위치한 창원시와 고성군의 급격한 도시화 및 만내의 양식업 등으로 오염이 심화되고 있는 지역이다. 만내에서는 하계와 추계에 걸쳐 매년 유해성 적조와 빈산소 수괴가 발생하고 있고(최 등, 2009), 최근에는 이들의 출현빈도, 발생범위의 확장 및 장기화로 서식생물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조, 1979; 박 등, 1987).
동계기간 중 진해만에서의 자어 분포 및 종조성을 조사한 결과는? 진해만에서 동계기간 동안 자어의 분포 및 종조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8과 12종이 출현하였고, 우점종으로는 Pholis crassispina, Clupea pallasii, Liparis tanakae, Hexagrammos otakii였다. 이들 4종은 출현한 총 개체수의 93%를 차지하였다. 잠도와 칠천도 동쪽에서 높은 밀도와 종 다양성을 보여, 이 지역이 진해만에서 자어의 주요 산란장인 것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박영남.국승기. 2004. 진해만해역의 수질환경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항만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부산,4월 23-24 2004, pp. 255-261. 

  2. 박주석.김봉안.이삼석.김학균.박차수.나기환.이삼근.이필용.문정웅.강청미.박종수.최희구.안경호.박승윤. 1987. 한국연안의 적조발생과 천이에 관한 연구. 국립수산진흥원 사업보고, 69: 1-163. 

  3.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서울, 727pp. 

  4. 조창환. 1979. 1978년 진해만 적조와 양식굴의 대량폐사. 한국수산학회지, 12: 27-33. 

  5. 차성식.박광재. 1994. 광양만 부유성 난 자치어의 분포. 한국어류학회지, 6: 60-70. 

  6. 차성식.박광재.유재명.김용억. 1991. 월성 주변 해역의 부유성 난과 자치어의 분포. 한국어류학회지, 3: 11-23. 

  7. 최우정.김성수.최옥인.김성길.심정희. 2009. 한국 연안의 빈산소 수괴. 국립수산과학원, 173pp. 

  8. 한경호.김동기. 2007. 울진 연안에 분포하는 부유성 난 및 자치어 종조성 및 양적변동. 한국어류학회지, 19: 332-342. 

  9. 허성범.유재명. 1984. 한국 서해안의 어류 난치어 분포. 한국수산학회지, 17: 536-542. 

  10. 허성회.한명일.황선재.박주면.백근욱. 2011. 진해만 남서부에 출현하는 자치어 군집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한국어류학회지, 23: 37-45. 

  11. Clarke, K.R., P.J. Somerfield and M.G. Chapman. 2008. Testing of null hypotheses in explanatory community analyses: similarity profiles and biota-environment linkage. J. Exp. Mar. Biol. Ecol., 366: 56-59. 

  12. Hirai, A. 2003. Story of Fish Egg. Sezandoshoten. Tokyo, pp. 182. (in Japanese) 

  13. Integrated Taxonomic Information System. 2014. http://www.itis.gov. 

  14. Okiyama, M. 1988. An atlas of the early stage fishes in Japan. Tokai Univ. Press, 1154pp. (in Japanese) 

  15. Plaza, G., S. Katayama and M. Omori. 2001. Othlith microstructure of the black rokfish, Sebastes inermis. Mar Biol., 193: 797-805. 

  16. Rutherford, E.S. 2002. Fishery Management. In: Fuiman L.A and R.G. Werner (eds.), Fishery Science: The unique contributions of early life stages. Wiley-Blackwell Ltd., Oxford, pp. 206-221. 

  17. Sakurai, Y. and T. Hattori. 1996. Reproductive behavior of Pacific cod in captivity. Fish. Sci., 62: 222-228. 

  18. Shannon, C.E. and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Illinois. Press, Urbana, 177pp. 

  19. Uchida, K. 1936. On the Pacific cod of adjacent waters to Korea. Chousen no Suisan, 130: 24-39. 

  20. Watanabe, S. 2010. Morphology observation. In: Tukamoto K. (ed.), Basis of fish ecology. Koseisha, Tokyo, pp. 73-86. (in Japanese) 

  21. Werner, R.G. 2002. Habitat Requirements. In: Fuiman L.A and R.G. Werner (eds.), Fishery Science: The unique contributions of early life stages. Wiley-Blackwell Ltd., Oxford, pp. 161-18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