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영 주변해역에 서식하는 돌가자미(Kareius bicoloratus)와 줄가자미(Clidoderma asperrimum)의 위내용물 조성
Stomach Contents of the Stone Flounder, Kareius bicoloratus and Roughscale Flounder, Clidoderma asperrimum in the Coastal Waters off Tongyeong,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25 no.3, 2013년, pp.163 - 168  

남기문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 ,  허성회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  허유심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  정재묵 (경상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  김현지 (경상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  백근욱 (경상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통영주변해역에서 2010년 1월부터 8월까지 낚시, 자망 그리고 새우조망을 이용하여 돌가자미 102개체와 줄가자미 101개체를 채집하고 위내용물을 분석하였다. 각각의 위내용물 분석 결과 돌가자미는 이매패류와 어류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줄가자미는 거미불가사리류가 위내용물의 대부분을 차지하여 저서성 육식어류로 나타났다. Prey-specific abundance 분석 결과 다른 가자미과 어류들과 비교하여 깊은 수심에 서식하는 돌가자미와 줄가자미는 각각 이매패류와 거미불가사리류에 섭식이 특화된 specialist predator로 나타났다. 돌가자미와 줄가자미는 같은 지역에 출현하는 유사종 사이에서 나타날 수 있는 먹이경쟁을 피하기 위해 서로 다른 식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wo flatfish species were collected between January 2010 and August 2010 from fishing vessels operating with fishing, gill net and shrimp trawls along the coastal waters off Tongyeong, Korea in order to examine feeding habits. Kareius bicoloratus fed mainly on bivalves and fishes, whereas Clidoder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통영 주변 해역에서는 같은 과에 속하는 유사종인 돌가자미와 줄가자미가 봄철을 전후로 동시에 출현하고 있기 때문에 그 이유에 대하여 두 종간 생태학적 특성 차이를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영 주변 해역에 출현하는 가자미과 어류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돌가자미와 줄가자미의 위내용물 분석을 통한 식성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돌가자미는 어디에 분포하는가? 돌가자미 (Kareius bicoloratus)와 줄가자미 (Clidoderma asperrimum)는 우리나라에 출현하는 가자미목(Pleuronectiformes) 가자미과(Pleuronectidae) 어류 34종에 속하는 어류로 한국, 중국, 일본 및 동중국해 등지에 분포한다(정, 1977; 김 등, 2005). 두 종 모두 치어기 말에 왼쪽 눈이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몸체가 유안측, 무안측과 구분되는 변태를 거쳐 어미와 같은 형태를 갖추게 되고(국립수산과학원, 2004), 변태 후 연안해역에서 저서생활을 시작하여 일정기간 성장한 후, 수심이 깊은 곳으로 이동하는 특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Yamada et al.
우리나라 남해연안은 어떤 해역인가? 우리나라 남해연안은 대마난류수, 황해난류수, 남해연안수와 같은 해수 특성이 서로 다른 수괴들이 접하는 해역으로 유용 해양 생물이 서식하는데 최적의 해양 환경을 가지며, 경상남도 통영 주변해역은 주변 해류들의 영향으로 계절에 따라 난류성 어류와 한류성 어류의 교체현상이 뚜렷하다(차 등, 1997; 추와 김, 1998). 이 해역에서 돌가자미는 겨울에서 여름까지, 줄가자미는 겨울에서 봄까지 일시적으로 출현하며 주낙, 자망, 새우조망 등에 의해 어획되어진다.
돌가자미는 어떤 특성을 가지는가? 돌가자미 (Kareius bicoloratus)와 줄가자미 (Clidoderma asperrimum)는 우리나라에 출현하는 가자미목(Pleuronectiformes) 가자미과(Pleuronectidae) 어류 34종에 속하는 어류로 한국, 중국, 일본 및 동중국해 등지에 분포한다(정, 1977; 김 등, 2005). 두 종 모두 치어기 말에 왼쪽 눈이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몸체가 유안측, 무안측과 구분되는 변태를 거쳐 어미와 같은 형태를 갖추게 되고(국립수산과학원, 2004), 변태 후 연안해역에서 저서생활을 시작하여 일정기간 성장한 후, 수심이 깊은 곳으로 이동하는 특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Yamada et al.,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강용주.이택열.이병돈. 1985. 문치가자미 Limanda yokohamae의 생식기구 및 개체군 동태. 한국수산과학회지, 18: 253-261. 

  2. 곽석남.허성회. 2003.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문치가자미, Limanda yokohamae의 식성. 한국수산과학회지, 36: 522-527. 

  3. 국립수산과학원. 2004. 유용어류도감. 한글, 333pp. 

  4. 김영혜.강용주.배인주. 1991. 문치가자미, Limanda yokohamae의 연령과 성장. 한국어류학회지, 3: 130-139. 

  5. 김익수.최 윤.이충렬.이용주.김병직.김지현. 2005. 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615pp. 

  6. 장창익. 2012. 해양수산자원생태학. 부경대학교출판부, pp. 133-138. 

  7. 전제천.김선웅.김병균.김치홍.김종식. 1999. 돌가자미 종묘생산 기술개발. 서해수산연구소사업보고, pp. 343-349. 

  8. 전제천.심두생.김용호.정의영. 2003. 한국 서해산 돌가자미, Kareius bicoloratus의 성 성숙. 한국어류학회지, 15: 259-271. 

  9. 전제천.임양재. 2004. 한국 서해산 돌가자미, Kareius bicolorarus의 연령과 성장. 한국어류학회지, 16: 173-180. 

  10. 전제천.강희웅.김병균.최기호.조기채. 2009. 서해 자연산 돌가자미, Kareius bicoloratus의 포란수와 부화율. 한국어류학회지. 21: 239-246. 

  11.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728pp. 

  12. 차병열.홍병규.조현수.손호선.박영철.양원석.최옥인. 1997. 황아귀, Lophius litulon의 식성. 한국수산과학회지, 30: 95-104. 

  13. 추효상.김동수. 1998. 한국 남해의 대마난류 변동이 멸치 난.자치어의 연안역 수송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산과학회지, 31: 226-244. 

  14. 허성회.백근욱. 2003. 고리 연안에서 채집된 용가자미, Hippoglossoides pinetorum의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15: 157-161. 

  15. Amundsen, P.A., H.M. Gabler and F.J. Staldvik. 1996. A new approach to graphical analysis of feeding strategy from stomach contents data modification of Costello (1990) method. J. Fish Biol., 48: 607-614. 

  16. Beyst, B., A. Cattrijsse and J. Mees. 1999. Feeding ecology of juvenile flatfishes of the surfzone of a sandy beach. Journal of Fish Biology, 55: 1171-1186. 

  17. Cabral, H.N., L. Marta and L. Ralf. 2002. Trophic niche overlap between flatfishes in a nursery area on the Portuguese coast. Sci. Mar., 66: 293-300. 

  18. Ferry, L.A. and G.M. Calliet. 1996. Sample size and data analysis: are we characterizing and comparing diet properly. In: Mac-Kinlay, D., K. Shearer (eds.), Feeding Ecology and Nutrition in Fish, Symp Proc, American Fisheries Society, San Francisco, CA, pp. 71-80. 

  19. Garrison, T. 2002. Oceanography-3rd edition. Thomson Learning, 416pp. 

  20. Hardin, G. 1960. The competitive exclusion priciple. Sci. New Ser., 131: 1292-1297. 

  21. Lasiak, T.A. and A. McLachlan. 1987. Oppotunistic utilization of mysid shoals by surf-zone teleost. Mar. Ecol. Prog. Ser., 37: 1-7. 

  22. Pauly, D. and V. Christensen. 2000. Trophic levels of fish. ICLARM, Los Banos, Philippines, 181pp. 

  23. Pianka, E.R. 1988. Evolutionary Ecology, 4th ed. Haper Collins, New York, U.S.A., 468pp. 

  24. Pinkas, L., M.S. Oliphant and I.L.K. Iverson. 1971. Food habits of albacore, bluefin tuna and bonito in California waters. Fish. Bull., 152: 1-105. 

  25. Teixeira, C.M., M.I. Batiata and H.N. Cabral. 2010. Diet, growth and reproduction of four flatfishes on the Portuguese coast. Scientia Marina, 74: 223-233. 

  26. Wooton, R.J. 1990. Ecology of Teleost Fishes. Champman Hall, New York, Usa, 404pp. 

  27. Yamada, U.Y., M.H. Tokimura, H. Horikawa and T. Nakahoka. 2007. Fishes and Fisheries of the East China and Yellow Seas. Tokai University Press, pp. 1029-11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