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시간 요청/응답 모델에 기반한 모바일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Mobile Content Curation Service Based on Real-Time Request/Response Model 원문보기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v.14 no.4, 2014년, pp.1 - 6  

김남윤 (한성대학교 정보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온라인/오프라인에 존재하는 각종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에서 수집 관리하는 큐레이션(curation) 서비스를 제안한다. 기업은 브로커(broker) 서버에 일회성 토픽(topic) 정보를 미리 저장해 두고, 고객은 브로커 서버에게 명시적으로 토픽 정보를 요청함으로써 단말기에 큐레이션하는 기법이다. 제안한 서비스의 주요 특징은 기존의 구독(subscription) 기반 콘텐츠 큐레이션이 아니라 실시간 요청/응답(request/response) 모델의 큐레이션이며, QR Code나 오디오 인식이 필요없이 문자열(string)를 통해 토픽을 명시하고, 메시지 형식으로 토픽 정보를 수신한 후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조회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서비스의 활용 사례로는 TV와의 연동을 통한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 온라인/오프라인 각종 이벤트 수집 등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oposes a mobile content curation service to collect various online/offline publications. The company publishes one-time topic information to a broker server in advance and customer curates topic information on a mobile device by requesting it.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proposed 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오프라인상의 다양한 정보를 선별하여 모바일 단말기에서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안하다. 기존에 이통사나 카드사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월릿(wallet) 서비스는 쿠폰, 이벤트, 포인트 정보를 하나의 앱에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하지만 월릿 서비스 업체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만을 조회/다운로드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큐레이션 서비스가 아니고 고객과의 관련성(relevance)이 떨어지는 단점이 존재한다.
  •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오프라인상의 콘텐츠를 수집하여 모바일 단말기에서 통합 관리하는 큐레이션 서비스를 소개하였다. 기존의 구독 기반 콘텐츠 큐레이션이 아니라 소비자가 명시적으로 토픽을 요청함으로써 수신하는 요청/응답 모델의 큐레이션으로서, 메시지 형식으로 토픽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하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조회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가설 설정

  • 2) 소비자는 토픽 1에 대한 전송을 요청한다. 브로커 서버는 메시지 서버를 통해 소비자에게 토픽 1 메시지를 전달한다.
  • 3) 생산자는 토픽 2를 생성한 후 브로커 서버에 토픽 등록을 요청한다. 고객당 전달 회수를 나타내는 NoD(=1)인 경우 1회만 전송이 가능하다.
  • 4) 소비자는 토픽1에 대한 전송을 다시 요청한다. 토픽 1은 2회 전송이 가능하므로 브로커 서버는 메시지 서버를 통해 소비자에게 토픽 1 메시지를 전달한다.
  • 5) 소비자는 토픽 2에 대한 전송을 요청한다. 브로커 서버는 메시지 서버를 통해 소비자에게 토픽 2 메시지를 전달한다.
  • 6) 소비자는 토픽 1에 대한 전송을 다시 요청한다. 브로커 서버는 토픽의 유효 기간이 초과함을 인지하고 메시지 서버를 통해 오류 메시지를 전달한다.
  • 7) 소비자는 토픽 2에 대한 전송을 다시 요청한다. 브로커 서버는 토픽의 NoD 값이 1이므로 재전송이 불가하여 메시지 서버를 통해 오류 메시지를 전달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픽이란? 토픽은 기업이 고객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콘텐츠로서 이벤트 정보, 제품 소개 카탈로그 및 동영상, 쿠폰, 투표및 설문조사 등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기존 4대 매체나 포스터와 같은 오프라인 매체에 토픽이 노출되며 모바일 단말기에서 토픽 메시지를 수신한다.
기존에 이통사나 카드사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월릿 서비스의 장점은?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오프라인상의 다양한 정보를 선별하여 모바일 단말기에서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안하다. 기존에 이통사나 카드사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월릿(wallet) 서비스는 쿠폰, 이벤트, 포인트 정보를 하나의 앱에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하지만 월릿 서비스 업체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만을 조회/다운로드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큐레이션 서비스가 아니고 고객과의 관련성(relevance)이 떨어지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서비스에서는 기업이 제공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토픽(topic)이라고 정의하고 고객은 관심있는 토픽을 선택적으로 요청하여 관리하는 서비스이다.
오디오를 인식하여 미디어를 발견하는 모바일 서비스의 단점은 무엇인가? 대표적으로 Shazam[5] 서비스는 광고에 흘러나오는 음악을 인식하여 자동적으로 부가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홍보/마케팅 수단으로 활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오디오 인식이라는 제한된 분야에서 사용이 가능한 단점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토픽을 식별하기 위해 문자열로 구성된 유일한 식별자를 사용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Nagarjuna Venna, "The Evolving Nature of Competition in the Wireless Ecosystem: Emergent Opportunities and Threats,"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June 2009. 

  2. Hodong Eom, "Research on Expansion of Mobile Media and Countermeasures of Newspapers," Master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2010. 

  3. J.S. Hur, Social Curation, Marketing Trend, LG Business Insight, May 2012. 

  4. Pinterest Homepage, https://www.pinterest.com. 

  5. Shazam Homepage, www.shazam.com. 

  6. Ying Liu. Beth Plale, "Survey of publish/subscribe event systems," Indiana University Computer, Science Technical Report TR-574, 2003. 

  7. Xiaoyu Tong, and Edith C. H. Ngai, "A Ubiquitous Publish/Subscribe Platform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with Mobile Mules," DCOSS, page 99-108, 2012. 

  8. Hongtaek Han, Namyun Kim, "Mobile Message Platform Supporting Dynamic Services based on Templates,"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JIIBC), Vol. 12 No.2, 2012. 

  9. 10 ways marketers are using the second screen, JWT Worldwide, 2012. 

  10. Njal Borch, Bin Cheng, Dave Raggett, Mikel Zorrilla, "An architecture for second screen experiences based upon distributed social networks of people, devices and programs," W3C Web & TV Convergence Workshop, March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