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서관에서 큐레이션 서비스에 대한 이해: 참고서비스의 혁신인가? 진화인가?
Understanding the Curation Service in Libraries: Is it a Revolution or an Evolution of Reference Service?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50 no.2, 2019년, pp.215 - 235  

Ranasinghe, W.M. Tharanga Dilruk (Department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University of Kelaniya) ,  Chung, Jun Min (Department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박물관과 미술관에서 유래된 것으로 잘 알려진 큐레이션은 오늘날 큐레이션 커머스에서 큐레이션 데이터베이스까지 다양한 다른 분야에서 널리 적용되고 있다. 도서관도 데이터 큐레이션, 디지털 큐레이션, 콘텐츠 큐레이션, 북 큐레이션, 소셜 큐레이션 등 다양한 형태의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큐레이션 서비스와 도서관 서비스의 관계는 적절히 연구되지 않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큐레이션 서비스와 도서관 서비스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두 서비스의 이질감을 해소하는 것이다. 특히 이 논문은 큐레이션 서비스와 도서관 참고서비스의 관계에 주목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광범위한 문헌 검토와 몇 가지 실제 사례를 살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21세기 도서관 참고서비스가 직면한 과제와 큐레이션의 적용가능성, 두 개념의 유래와 의미를 분석하고 비교해보았다. 그 결과, 본 논문은 큐레이션이 도서관의 새로운 개념이 아니라 변화하는 정보환경과 이용자 요구에 대응한 도서관 참고서비스의 자연스러운 진화라고 제안한다. 게다가 도서관은 디지털 시대의 정보 환경의 변화 및 이용자 기대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큐레이션 서비스를 혁명으로 생각하지 않고 도서관 참고서비스의 자연스러운 진화임을 인식해야 한다고 결론짓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pularly known to be originated in museums and art galleries, curation is widely applied in many other fields ranging from curation commerce to curated databases by today. Libraries also have started to provide different types of curation services such as data curation, digital curation, content cu...

주제어

참고문헌 (19)

  1. 한국IT서비스학회지 권혁인 14 1 251 http://dx.doi.org/10.9716/KITS.2015.14.1.251 

  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박양하 47 1 279 10.16981/kliss.47.1.201603.279 

  3.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안영희 40 4 311 10.16981/kliss.40.4.200912.311 

  4. Reference & User Services Quarterly Applegate, R. 48 2 176 10.5860/rusq.48n2.176 

  5. The Reference Librarian Bunge, C. A. 31 66 185 10.1300/J120v31n66_17 

  6. Library Trends Floridi, L. 52 3 658 

  7. College & Research Libraries Barbara J. Ford 47 5 491 https://doi.org/10.5860/crl_47_05_491 

  8. Reference Services Review Joseph Janes 31 1 22 https://doi.org/10.1108/00907320310460852 

  9. Internet and Security Issues Korea Internet and Security Agency (KISA). 12 25 

  10. 한국IT서비스학회지 권혁인 14 1 251 http://dx.doi.org/10.9716/KITS.2015.14.1.251 

  11. Evidence Based Library and Information Practice Lederer, N. 2 5 5 

  12. The Library Quarterly : Information, Community, Policy Rothstein, S. 23 1 1 10.1086/617934 

  13. College & Research Libraries Rothstein, S. 22 1 11 10.5860/crl_22_01_11 

  14. Aslib Proceedings: New Information Perspectives Rowlands, I. 60 4 290 10.1108/00012530810887953 

  15. Evidence Based Library and Information Practice Scales, B. J. 10 4 173 10.18438/B8X01H 

  16. Behavioral & Social Sciences Librarian Steven Ovadia 32 1 58 https://doi.org/10.1080/01639269.2013.750508 

  17. Library Trends Tyckoson, D. A. 50 2 183 

  18. Reference Services Review David Tyckoson 31 1 12 https://doi.org/10.1108/00907320310460834 

  19. Research Strategies Stephen C. Weiss 19 3-4 233 https://doi.org/10.1016/j.resstr.2004.11.00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