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읽기매체의 종류에 따른 유아의 이야기 이해도 차이 : 종이책과 전자책
The Differences in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Reading Media : Paperback Books vs. Electronic Books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5 no.4, 2014년, pp.249 - 262  

김태연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늘푸른아동발달연구소) ,  이순형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in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as they related to the types of reading media. The participants comprised 62 four-years-olds from two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a middle-income region of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n order to control the experience effec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마우스와 키보드 조작이 어려운 어린 연령의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불가능하였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가능한 한 종이책과 유사한 읽기 환경을 구현하고, 마우스나 키보드 같은 별도의 장치 없이 간단히 조작 가능 한 형태의 전자책을 도구로 사용하여 종이책과의 비교를 시행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최근 사용이 늘어나고 있는 전자책 전용기기나 태블릿PC 등은 유아의 전자책 사용을 관찰하는 연구에서 매우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 다시 말해, 이러한 선행연구들은 전자책에서 제공되는 여러 가지 자극으로 인한 효과와 순수하게 화면을 통해 이야기를 읽는 전자책이라는 형태적 특성에서 기인하는 효과를 구분하여 살펴볼 수 없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완전히 동일한 내용으로 개발된 창작동화를 종이책의 지면과 전자책의 화면이라는 읽기매체의 형태만 바꾸어 도입함으로써, 종이책과 전자책의 근본적인 차이로 인해 유발되는 유아의 읽기 효과의 차이를 보는 데에 집중하였다. 즉, 이 연구에서는 유아가 종이 위에 쓰인 이야기를 읽을 때와 화면에 나타난 이야기를 볼 때 주의집중과 이야기 이해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음성의 제시방법이나 성인의 상호작용여부 등을 동일하게 통제하였다.
  • 이 연구는 급증하고 있는 유아의 전자책 사용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초연구로 기능할 수 있다는 이론적 의의를 갖는다. 기존선행연구들이 전자책에 대한 모호한 정의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전자책의 효과에 대한 일관된 결론을 도출하지 못했던 것을 감안하여, 종이책과 대비되는 전자책의 정의를 명확히 하였다.
  • 이 연구는 기존의 전자책에 관한 연구에서 나타난 제한점을 보완하여 종이책과 전자책이 유아의 읽기에 미치는 효과를 명확히 밝히기 위한 기초연구를 시행하였다. 즉, 전자책의 정의와 구성요소를 확인하고, 전자책과 종이책이라는 순수한 매체의 차이가 유아의 읽기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 다만 이 연구의 결과를 현장에 적용하는 데에 있어 신중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 연구는 유아의 읽기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인 이야기 이해를 중심으로 하여, 유아가 동일한 내용을 지면과 화면으로 볼 때에 이해도가 달라지지 않는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는 기존의 연구에서 나타난 종이책과 전자책 간의 차이가 기기의 차이가 아닌 다양한 부가요소에서 비롯됨을 확인함으로써, 새로운 후속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 이 연구에서는 실험의 결과가 특정 이야기의 줄거리나 등장인물, 소재와 같은 내용 특성에서 비롯될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한 명의 유아가 동일한 형식으로 구성한 이야기를 2편씩 읽도록 하였다.
  • 경험효과는 실험결과를 오염시켜 잘못된 결론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유아의 경험효과를 통제할 수 있는 새로운 이야기 과제를 연구도구로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유아용 우화 2편을 새로 개발하여, 유아가 기존에 접한 적 없는 새로운 인물과 사건에 대한 이야기를 읽었을 때의 이야기 이해 수준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유아의 언어능력을 통제변인으로 사용하기 위해 조사대상 유아들에게 구문이해력검사와 언어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구문이해력검사는 Newcomer와 Hamill(1988)이 개발한 TOLD-2(Test of Language Development-2,Primary)의 문항 등을 기초로 하여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2004)에서 10년에 걸쳐 표준화한 검사이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완전히 동일한 내용으로 개발된 창작동화를 종이책의 지면과 전자책의 화면이라는 읽기매체의 형태만 바꾸어 도입함으로써, 종이책과 전자책의 근본적인 차이로 인해 유발되는 유아의 읽기 효과의 차이를 보는 데에 집중하였다. 즉, 이 연구에서는 유아가 종이 위에 쓰인 이야기를 읽을 때와 화면에 나타난 이야기를 볼 때 주의집중과 이야기 이해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음성의 제시방법이나 성인의 상호작용여부 등을 동일하게 통제하였다. 그 결과, 종이책과 전자책이라는 전달 형식의 차이는 유아의주의 집중과 이야기 이해에 직접적인 차이를 유발하지 못했다.
  • 이 연구는 기존의 전자책에 관한 연구에서 나타난 제한점을 보완하여 종이책과 전자책이 유아의 읽기에 미치는 효과를 명확히 밝히기 위한 기초연구를 시행하였다. 즉, 전자책의 정의와 구성요소를 확인하고, 전자책과 종이책이라는 순수한 매체의 차이가 유아의 읽기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화면과 지면의 차이를 제외한 시청각자극의 효과, 매체의 사용방법에 따른 영향, 이야기 내용으로 인한 경험효과 등을 엄격히 통제한 상태에서 유아의 이해도를 비교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의 전자책 사용에 대한 논쟁의 중심에 자리하는 의문은 무엇인가?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유아의 전자책 사용이 읽기에 미치는 효과에 관해서는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논쟁의 중심에는 유아의 독서상황에서 전자책이 종이책과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자리한다.
부모들이 자녀이 새로운 놀잇감으로 전자책을 매우 선호하는 이유는? 최근 부모들은 자녀의 새로운 놀잇감으로 전자책을 매우 선호하고 있다. 전자책은 종이책에 비해 휴대가 편리하고 하나의 기기에 여러 종류의 이야기를 동시에 저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부모는 무거운 그림책을 들고 다니는 대신, 스마트기기를 사용하여 집 밖에서도 자녀에게 쉽게 책을 보여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유아의 전자책 사용이 읽기에 미치는 효과에 관해서는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종이책이 읽기에 더욱 효과적이라고 주장하는 연구자들이 보고하는 내용은 무엇인가? 반면, 읽기매체에 따라 읽기행동이나 결과가 달라진다는 주장도 있다. 종이책이 읽기에 더욱 효과적이라고 주장하는 연구자들은 독자들이 지면에 쓰인 글자를 읽을 때 화면에 나타난 글자를 읽을 때보다 읽기속도가 50% 정도 빠르며(Mitternight, 1998), 읽기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 더 길다고 보고하였다(Spencer, 2006). 반대로,전자책의 효과성을 옹호하는 연구자들은 독자가전자책이라는 새로운 매체를 접했을 때 나타나는 신기효과(novelty effect)로 인해 단기적으로 내용에 대한 몰입도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onitatibus, G. J., & Beal, C. R. (1996). Finding new meaning: Children's recognition of interpretive ambiguity in text.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62, 131-150. 

  2. Catts, H. W., & Kamhi, A. G. (2005). Language and reading disabilities (2nd ed.). Boston: Pearson Education. 

  3. Grimshaw, S., Dungworth, N., McKnight, C., & Morris, A. (2007). Electronic books: Children's reading and comprehension.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8(4), 583-599. 

  4. Kim, K., & Chae, M. (2002). The development of a young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test based on dynamic assessment.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7(1), 125-142. 

  5. Korat, O. (2009). The effects of CD-ROM storybook reading on Israeli children's early literacy as a function of age group and repeated reading.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ies, 14(1), 39-53. 

  6. Korat, O., & Shamir, A. (2007). Electronic books versus adult readers: Effects on children's emergent literacy as a function of social class.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23(3), 248-259. 

  7. Kwon, J. (2011). Tablet(iPad) vs. Paper: Comparing reading performance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13(1), 187-202. 

  8. Lee, K., & Kim, M. (2004). The validity of the narrative comprehension task for young Korean children.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4(3), 243-258. 

  9. Lefever-Davis, S., & Pearman, C. (2005). Early readers and electronic texts: CD-ROM storybook features that influence reading behaviors. Reading Teacher, 58(5), 446-454. 

  10. Lipson, M. Y., & Cooper, J. D. (2002). Reading: A legacy of literacy. New York: Houghtonmifflin company. 

  11. Mitternight, H. L. (1998). Winning the hearts -or at least the eyes- of the online audience. Communication World, 15(4), 36-38. 

  12. Morrow, L. M. (1990). Assessi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story through their 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narratives. In L. M. Morrow & J. K. Smith (Eds.), Assessment for instruction in early literacy (pp. 110-134).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 Hall. 

  13. Newcomer, P. L., & Hamill, D. D. (1988). Test of language development-Primary 2. Austin, TX: Pro-Ed. 

  14. Papadopoulos, K., & Koutsoklenis, A. (2009). Reading media used by higher-education students and graduates with visual impairments in Greece.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 Blindness, 103(11), 772-777. 

  15. Paris, A. H., & Paris, S. G. (2003). Assessing narrative comprehension in young children. Reading Research Quarterly, 38(1), 36-76. 

  16. Park, H. (2001). The effects of experiencing instructional media with/without time limitations on young children's divergent thinking and reading abilitie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1(2), 205-224. 

  17. Reitsma, P. (1988). Reading practice for beginners: Effects of guided reading, reading-whilelistening, and independent reading with computer-based speech feedback. Reading Research Quarterly, 23(2), 219-235. 

  18. Shamir, A., & Korat, O. (2006). How to select CD-ROM storybooks for young children: The teacher's role. Reading Teacher, 59(6), 532-543. 

  19. Shamir, A., Korat, O., & Shlafer, I. (2011). The effect of activity with e-book on vocabulary and story comprehension: A comparison between kindergarteners at risk of learning disabilities and typically developing kindergarteners. European Journal of Special Needs Education, 26(3), 311-322. 

  20. Spencer, C. (2006). Research on learners' preferences for reading from a printed text or from a computer screen. The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Revue de l'Education a Distance, 21(1), 33-50. 

  21. Teplan, M., Krakovska, A., & Stolc, S. (2011). Direct effects of audio-visual stimulation on EEG. Computer Methods and Programs in Biomedicine, 102(1), 17-24. 

  22. Wood, C. (2005). Beginning readers' use of “talking books” software can affect their reading strategies. Journal of Research in Reading, 28(2), 170-182. 

  23. Wood, C., Pillinger, C., & Jackson, E. (2010). Understanding the nature and impact of young readers' literacy interactions with talking books and during adult reading support. Computers & Education, 54(1), 190-198. 

  24. Zucker, T. A., Moody, A. K., & McKenna, M. C. (2009). The effects of electronic books on pre-kindergarten-to-grade 5 students' literacy and language outcomes: A research synthesis.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40(1), 47-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