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인의 돌봄충족과 돌봄서비스 이용실태 및 결정변인
Care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y: focusing on care Sufficiency and Service Us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8, 2014년, pp.207 - 219  

이효성 (한국장애인 고용공단) ,  고그린 (가천대학교 문화유산역사연구소)

초록

본 연구는 돌봄위기에 대한 사회적 대응으로 돌봄의 사회화가 확대되었으나 공적 영역에서 제공되는 사회적 돌봄 서비스가 장애인의 돌봄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지 고찰한 바 없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첫째, 돌봄의 사회화에 따라 장애인의 돌봄이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는가? 둘째, 장애인 돌봄에서 비공식 및 공식적 지지의 실태는 어떠한가? 셋째,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및 사회적 돌봄 서비스의 이용실태와 사회적 돌봄 서비스 이용은 무엇에 의해 영향을 받는가?의 연구문제를 살펴보았다. 한국복지패널 5차년 자료의 장애인부가조사 원자료를 이용해 18세 이상 장애인 중 일상생활수행에 타인의 도움이 필요한 1204명의 자료를 분석했다. 연구결과, 50%의 장애인은 돌봄부족을 경험했으며, 장애인의 77%는 비공식적 체계로부터, 90%는 공식적 체계로부터 어떤 돌봄지원도 제공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장애인의 돌봄충족 수준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돌봄의 사회화로 돌봄 관련 사회서비스는 확대되었으나, 이용 수는 평균 1개 미만으로 매우 낮았다. 돌봄 관련 사회서비스 이용의 결정변인을 분석한 결과, 성인 장애인에게 사회적 돌봄 서비스는 비공식 체계에 의한 돌봄의 대체재로 기능하는 반면 노인 장애인에게 사회적 돌봄 서비스는 비공식 체계로부터의 돌봄을 보충하는 보완재적 성격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ognizing the lack of empirical study that evaluates the influence of social care services on care sufficiency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y, we have focused our study o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hat is the level of care sufficiency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y?, What is the profil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가사간병서비스는 신체적·정신적 이유로 원활한 일상생활과 사회활동이 어려운 저소득 취약계층에 대하여 재가간병·가사지원 서비스를 제공하여 생활안정을 도모하려는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돌봄위기에 대한 사회적 대응으로 돌봄의 사회화가 확대됨에 따라 장애인의 돌봄 상황이 실질적으로 개선되었는지 확인하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5차년 장애인부가조사 자료를 이용해 장애인 돌봄의 충분성, 장애인 돌봄에서 비공식과 공식체계의 역할, 그리고 사회적 돌봄 서비스의 이용 실태와 그 결정변인을 분석했다.
  •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장애인 돌봄 서비스가 증가함에 따라 첫째, 장애인의 돌봄 욕구가 충족되는지 살펴보고 둘째, 전통적으로 장애인 돌봄을 담당해 온 비공식적 영역과 돌봄의 사회화에 따라 확대되고 있는 장애인 돌봄의 공식적 영역이 장애인 돌봄에서 어느 정도 기여하고 있는지 셋째, 장애인 돌봄 서비스를 결정하는 요인은 무엇인지 등을 분석하고자 한다.
  • 이와 같은 선행연구의 한계에 기초해, 본 연구는 장애인 당사자의 돌봄에 대한 경험을 비공식적 영역은 물론 사회적 서비스를 포함한 공식적 영역으로 확대하여 이해하고자 한다. 제시된 문제의식에 따른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사용여부에 따라 돌봄의 충분 성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활동보조인 서비스를 이용하는 32명 이용자의 돌봄 충분성은 평균 2.
  •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는 신체적·정신적 사유로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을 하기 어려운 장애인에게 활동지원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지원하고 가족의 부담을 줄여 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함을 목적으로 한다. 장애인주간보호서비스는 낮 시간동안 재활 프로그램 및 교육 등의 기회를 제공하고 또한, 장애인 가족구성원이 안심하고 사회ㆍ경제활동을 영위할 수 있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는 신체적·정신적 사유로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을 하기 어려운 장애인에게 활동지원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지원하고 가족의 부담을 줄여 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의 목적은 무엇인가? 장애인을 위한 공식적인 돌봄 서비스는 장애인활동 지원서비스, 장애인주간보호서비스, 장애인심부름센터, 가사지원서비스, 가사·간병서비스 등이 대표적이다.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는 신체적·정신적 사유로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을 하기 어려운 장애인에게 활동지원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지원하고 가족의 부담을 줄여 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함을 목적으로 한다. 장애인주간보호서비스는 낮 시간동안 재활 프로그램 및 교육 등의 기회를 제공하고 또한, 장애인 가족구성원이 안심하고 사회ㆍ경제활동을 영위할 수 있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돌봄 서비스는 제공 주체의 공식성 정도에 따라 어떻게 구분될 수 있는가? 돌봄 서비스는 제공 주체의 공식성 정도에 따라 비공식적 서비스와 공식적 서비스로 구분될 수 있다. 비공식적 서비스는 가족, 친구, 이웃 등 일차적이고 사적인 관계에 기초해 제공되는 돌봄 서비스이다.
장애인 돌봄 서비스의 효과성을 가늠하고 장애인 돌봄 서비스의 활성화에 기초가 되는 정보와 지식이 제한되어 온 이유는 무엇인가? 이와 같은 한계로 장애인 돌봄과 관련된 사회적 서비스가 장애인에 의해 어느 정도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장애인의 어떤 특성들이 돌봄 서비스의 이용과 관련되어 있는지 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이에 따라 현재 실행되는 장애인 돌봄 서비스의 효과성을 가늠하고 장애인 돌봄 서비스의 활성화에 기초가 되는 유용한 정보와 지식이 매우 제한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김성희, "장애인의 생활실태와 시사점", 보건복지 이슈와 포커스, 제166호, pp.10-17, 2012. 

  2. 오세근, "요양보호사 수발노동의 실태와 노동 조건 개선을 위한 정책 과제에 관한 연구: 괜찮은 일자리 여부 판별을 중심으로", 사회연구, 제20권, 제2호, pp.101-136, 2010. 

  3. 장혜경, 김영란, 조현각, 김고은, 박경희, 공식영역의 돌봄 노동 실태조사, 한국여성개발원 연구보고서, 2007. 

  4. 보건복지부, 2014년 장애인 활동 지원 사업 안내, 보건복지부, p.53, 2014. 

  5. 방준식, "돌봄사업과 돌봄노동에 관한 법적 과제: 노인요양서비스를 중심으로", 법학논총, 제29권, 제2호, 2012. 

  6. 이동욱, "한국의 장애인 돌봄제도와 모성담론에 관한 연구", 미디어, 젠더&문화, 제14권, pp.111-139, 2010. 

  7. 김나영, 이승희, "장애아동의 연령에 따른 부모의 스트레스와 우울, 가족결합력", 발달장애학회지, 제5권, 제2호, pp.31-42, 2001. 

  8. 김정아, 장애아동의 발달연령에 따른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9. 김희수, 장애아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대처자원 과의 관계: 부모통제소와 사회적 지원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10. 이삼연, "장애아모의 스트레스 대처 전략과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38권, pp.180-205, 1999. 

  11. 조인수, 김규환, "정신지체아 부모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식", 발달장애학회지, 제4권, pp.73-87, 2000. 

  12. 김고은, "성인 지적장애인을 돌보는 노년기 어머니의 우울: 가족관계 만족의 중대효과",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38권, pp.239-259, 2011. 

  13. 김연수, 정신장애인 보호제공 가족원의 돌봄경험 평가와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14. 이애란, "장애아동 어머니의 돌봄 행위 구조 모형", 대한간호학회지, 제39권, 제5호, 2009. 

  15. 성준모, "정신장애를 가진 어머니의 심리증상과 자녀의 탄력성과의 관계에서 모자관계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복지학, 제61권, 제1호, pp.219-238, 2009. 

  16. 윤명숙, 박은아, 최수연, "정신장애인 가족의 돌봄 경험과 삶의 질: 차별경험의 조절효과", 한국장애인복지학, 제21권, pp.91-112, 2013. 

  17. 이혜경, "여성정신장애인의 모성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정신보건과 사호사업, 제30권, pp.162-198, 2008. 

  18. 김예랑, "자녀양육역할의 6개 영역과 관련하여 정신장애인 자녀를 돌보는 아버지의 돌봄경험에 대한 연구: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재활복지, 제16권, 제2호,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