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공간 극단값의 분계점 모형 사례 연구 - 한국 여름철 강수량
Threshold Modelling of Spatial Extremes - Summer Rainfall of Korea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27 no.4, 2014년, pp.655 - 665  

황승용 (전북대학교 통계학과) ,  최혜미 (전북대학교 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폭염, 폭우와 가뭄 등과 같은 이상 기후 현상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최근 많이 요구되고 있다. 이상 기후 현상을 분석하기 위해 극단값 분석 기법을 적용할 수 있는데, 본 논문은에서는 한국의 여름철 강수량 자료(1973년부터 2012년까지의 5월부터 9월)를 분계점 초과값 모형으로 분석해보았다. 분계점은 한국의 기상관측소들을 5개의 군집으로 나누어, 각 군집별로 지리 정보와 시간을 공변량으로 하는 분위수 회귀 방법을 통하여 추정하였다. Northrop과 Jonathan (2011)과 같이 극단값들이 시공간적으로 독립이라고 가정하고 분석한 후, 추정오차와 검정 과정에 공간 종속성을 반영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adequate understanding and response to natural hazards such as heat wave, heavy rainfall and severe drought is required. We apply extreme value theory to analyze these abnormal weather phenomena. It is common for extremes in climatic data to be nonstationary in space and time. In this paper, we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일 강수 자료를 주 최대 강수량으로 요약하여 극단값 분석을 실시하였다. 우리나라의 복잡하고 다양한 지형적인 특성상 강수 사건이 전국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최적 분리 군집 방법을 통하여 5개의 군집으로 세분화한 후에 분석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모형의 적합도를 파악하기 위해 각 관측소별로 잔차확률도표(residual probability plot)를 그려 보았다. Figure 3.
  • 이와 같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극단값 모형을 통한 자료 분석의 예가 적은 편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여름철 강수량을 극단값 모형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한국은 여름철 장마와 태풍으로 인한 집중호우로 홍수 피해가 자주 발생한다.

가설 설정

  • 모수 σ의 모형은 µ와 동일하거나 저차원의 공변량 다항 함수 형태로 가정하고, µ와 u는 동일한 차수의 다항 함수 모형을 설정하였다.
  • Northrop과 Jonathan (2011)은 관측 지점의 지리 정보를 공변량으로 하는 분위수 회귀(quantile regression)를 통하여 먼저 분계점을 결정한 후, 점과정 모형의 모수들도 지리 정보를 공변량으로하여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모형 추정 시에는 먼저 자료가 공간적으로 독립이라는 가정하였으며, 공간적 종속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Chandler와 Bate (2007)에 의해 제안된 방법으로 추정오차를 구하였다. 공간 분계점 모형을 간략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 여기에서 λ는 본 논문의 경우 연평균 관측횟수를 나타내며, 1 + ξ(uij − µij)/σij > 0, σij > 0이고 ξij = ξ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상기후적인 사건들의 특징은 무엇인가? 폭염, 태풍, 홍수, 가뭄 등과 같은 이상기후적인 사건들은 매우 드물게 발생하지만 큰 피해를 초래할 수 있는 사건들이다. 생명, 안전과 재산에 주는 직접적인 피해뿐만 아니라 기반 시설의 확충과 보험료의 상승 등 간접적인 피해도 만만치 않다.
극단값 분석 기법은 무엇을 위해 적용할 수 있는가? 폭염, 폭우와 가뭄 등과 같은 이상 기후 현상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최근 많이 요구되고 있다. 이상 기후 현상을 분석하기 위해 극단값 분석 기법을 적용할 수 있는데, 본 논문은에서는 한국의 여름철 강수량 자료(1973년부터 2012년까지의 5월부터 9월)를 분계점 초과값 모형으로 분석해보았다. 분계점은 한국의 기상관측소들을 5개의 군집으로 나누어, 각 군집별로 지리 정보와 시간을 공변량으로 하는 분위수 회귀 방법을 통하여 추정하였다.
통계적인 분석을 통한 정확한 예측이 필요한 예는 무엇인가? 이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하여 통계적인 분석을 통한 정확한 예측에 대한 필요성이 최근 들어 대두되고 있다. 예를 들어 홍수의 경우에는 연 최대 강수량과 같은 극단값의 분포를 추정하여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극단값 모형을 통한 자료 분석의 예가 적은 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handler, R. E. and Bate, S. B. (2007). Inference for clustered data using the independence log-likelihood, Biometrika, 94, 167-183. 

  2. Choi, Y. E. (2004). Trends on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extreme event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9, 711-721. 

  3. Coles, S. (2001). An Introduction to Statistical Modeling of Extreme Values, Springer, London. 

  4. Davison, A. C., Padoan, S. A. and Ribatet, M. (2012). Statistical modeling of spatial extremes, Statistical Science, 27, 161-186. 

  5. Davison, A. C. and Smith, R. L. (1990). Models for exceedances over high thresholds (with discussion),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B, 52, 393-442. 

  6. Jung, J. Y., Jin, S. H. and Park, M. S. (2008). Precipitation analysis based on spatial linear regression model,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21, 1096-1107. 

  7. Kim, S. Y., Kwon, Y. A., Park, C. Y. and Chun, J. H. (2008).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monthly variability of precipitation from May to September over South Korea, Journal of Climate Research, 2, 64-75. 

  8. Koenker, R. and Bassett, G. Jr. (1978). Regression quantiles, Econometrica, 46, 33-50. 

  9. Lee, K. M., Baek, H. J. and Cho, C. H. (2012). Analysis of changes in extreme precipitation in Seoul using quantile regression, Journal of Climate Research, 3, 199-209. 

  10. Lee, S. H. and Kwon, W. T. (2004). A variation of summer rainfall in Korea,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9, 819-832. 

  11. Northrop, P. J. and Jonathan, P. (2011). Threshold modelling of spatially dependent non-stationary extremes, Environmetrics, 22, 799-809. 

  12. Park, M. S. and Kim, H. Y. (2008). Classification of precipitation data based on smoothed periodogram,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21, 547-560. 

  13. Smith R. L. (1989). Extreme value analysis of environmental time series : An application to trend detection in ground-level ozone, Statistical Science, 4, 367-377. 

  14. Yoon, S. K. and Moon, Y. I. (2014). The Recent increasing trends of exceedance rainfall thresholds over the Korean major c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4, 117-13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