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포천 철(-동) 스카른 광상의 지질, 광화작용 및 생성연대
Geology, Mineralization, and Age of the Pocheon Fe(-Cu) Skarn Deposit, Kor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7 no.4, 2014년, pp.317 - 333  

김창성 (고려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고지수 (고려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최선규 (고려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김상태 (맥매스터대학교 지리지구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선캄브리아기 경기육괴의 북서부에 위치한 포천 철(-동)광상은 다양한 이론이 제시되어 논쟁 대상이 되었으며, 성인적 측면에서 변성(-배기형) 퇴적 광상이 주된 생성이론으로 인지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포천 스카른화작용/철광화작용의 핵심 증거를 통하여 공간적으로 인접한 명성산 화강암이 관계화성암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포천 스카른은 석회암과 백운암의 다양한 탄산염암모암으로 하여 Ca계열, Mg계열 및 Na-Ca계열 스카른이 형성되었다. 철광화작용은 주로 Na-Ca계열 스카른대를 따라 배태되고 있으며, 후퇴 스카른 단계에 국부적으로 동 광화작용이 중첩된다. 포천 후퇴 스카른 단계에 정출된 금운모의 Ar-Ar과 K-Ar연대측정 결과는 $110.3{\pm}1.0{\sim}108.3{\pm}2.8Ma$이며, 스카른 철(-동) 광화작용은 천부 관입암체인 명성산 화강암의 관입시기(112 Ma)와 일치하여 관계화성암으로 추정된다. 주변 탄산염암, 스카른 및 맥상의 탄산염광물간 산소-탄소 동위원소 빈화된 경향성은 개방계 조건($XCO_2=0.1$)에서 열수의 탈탄산염화 작용과 침투작용에서 유도되었다. 한편 황화광물(황동석-황철석 혼합물)과 경석고에서 매우 높은 황 동위원소 값은 황근원물질이 주변 탄산염암에 함유되어 있던 황산염광물로부터 공급되었을 가능성을 지시한다. 포천 광상 주변의 전단대에서는 파쇄대가 중첩되어 발달하여 있으며, 백악기 화강암으로부터 공급된 고온성 광화유체가 이러한 약선대를 따라 유입되어 약 $500^{\circ}{\sim}400^{\circ}C$의 온도범위에서 강력한 근지성 스카른화작용과 함께 광화작용이 유도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ocheon iron (-copper) deposit, located at the northwestern part of the Precambrian Gyeonggi massif in South Korea, genetically remains controversial. Previous researchers advocated a metamorphosed (-exhalative) sedimentary origin for iron enrichment. In this study, we present strong evidences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포천 철광화작용에 대한 퇴적 기원 또는 열수 기원의 근본적 문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기 발표 논문에서 제시된 앰피볼라이트의 암석 · 지화학적 특성과 함께 2010년/2011년 포천 광산 시추 시료를 종합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포천 광상 주변의 화강암류, 탄산염암, 앰피볼라이트(또는 스카른) 및 철광석의 지화학적 특성 및 광화연대에 대한 종합적인 비교 분석을 통하여 기존에 제시된 문제를 재해석을 하고자 한다.
  • 스카른화작용과 연계된 철광화작용의 진화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원암인 탄산염암으로부터 스카른과 철광석 사이의 지화학적 연계성을 검토하였다. Ca-Mg-Fe 관계도(mole %)에 제시된 바와 같이 초기 스카른 단계에서는 백운암과 석회암의 CaO와 MgO 성분 차이에 따라 Ca계열 스카른과 Mg계열 스카른으로 원암의 조성 차이에 따라 서로 상이한 광물조합을 보이며(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천 광산의 시추 시료에서 Na-Ca변질작용 에 의한 독특한 광물조합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무엇을 뜻하는가? 한편, 2001년과 2011년 한국광물자원공사에서 실시한 포천 광산의 시추 시료에서 철 광체와 함께 다양한 유형의 스카른대가 배태되며, 이러한 자철석 광석에서는 Na-Ca변질작용에 의한 독특한 광물조합이 확인되었다. 이는 IOCG형(iron oxide-copper-gold type) 열수시스템에서 나타나는 Na 열수변질대의 광물상과 서로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Wang and Williams, 2001; Monterio et al., 2008).
포천 철광상의 특징은? 경기육괴 북서부에 위치한 포천 철광상은 1966년부터 1977년까지 약 65만 톤 정광(약 60 wt. % Fe)을 생산한 국내 대표적인 철광산이며, 총 매장량은 640만 M/T으로 보고되고 있다. 포천 광상은 성인 측면에서 함철퇴적물 기원의 변성 퇴적 광상(Kim, 1977; Lee, 1979), 앰피볼라이트와 연계된 해저 화산성 배기형 퇴적 광상(So, 1977), 그리고 접촉교대작용에 의한 스카른 광상(Kanda, 1969)으로 다양하게 해석되었다.
포천 광상이 성인 측면에서 어떻게 해석되고 있는가? % Fe)을 생산한 국내 대표적인 철광산이며, 총 매장량은 640만 M/T으로 보고되고 있다. 포천 광상은 성인 측면에서 함철퇴적물 기원의 변성 퇴적 광상(Kim, 1977; Lee, 1979), 앰피볼라이트와 연계된 해저 화산성 배기형 퇴적 광상(So, 1977), 그리고 접촉교대작용에 의한 스카른 광상(Kanda, 1969)으로 다양하게 해석되었다. 이러한 철광화작용은 기본적으로 동시 생성의 퇴적 기원광상 또는 후기 생성의 열수 기원 광상으로 요약되며, 특히 암석학적 관점에서 철 광체와 밀접한 산출양상을 보이는 앰피볼라이트 성인에 대한 해석 차이로부터 시작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enavides, J., Kyser, T.K., Clark, A.H., Oates, C. J., Zamora, R., Tarnovschi, R. and Castillo, B. (2007) The Mantoverde iron oxide-copper-gold district, III Region, Chile: The role of regionally derived, nonmagmatic fluids in chalcopyrite mineralization. Economic Geology, v.102, p.415-440. 

  2. Bowman, J.R. (1998) Stable-isotope systematics of skarns. In Lentz, D.R. (ed.) Mineralized Intrusion-Related Skarn Systems. Mineral. Assoc. Can., Short Course, v.26, pp.99-145. 

  3. Go, J.S., Choi, S.-G., Seo, J., Park, J.-W. and Kim, S.-T. (2013) Skarn alteration in iron oxide-copper-gold systems the Pocheon magnetite deposit, Korea. In Jonsson, E. et al., (ed), Mineral Deposit Research for a High-Tech World. 12th Biennial SGA Meeting Proceedings, v.3, p.1363-1365. 

  4. Hall, D.L., Cohen, L.H. and Schiffman, P. (1988) Hydrothermal alteration associated with the Iron Hat iron skarn deposit, eastern Mojave Desert, San Bernardino County, California. Economic Geology, v.83, p.568-587. 

  5. Hwang, J.H. and Kihm, Y.H. (2007) Geological Report of the Jipori Sheet (1/50,000). KIGAM, 54p. 

  6. Ishihara, S., Kajiwara, Y. and Jin, M.S. (2002a) Sulfur content and isotopic ratio of Cambro-Ordovician carbonate rocks from South Korea: A possible source for Mesozoic magmatic-hydrothermal ore sulfur. Resource Geology, v.52, p.41-48. 

  7. Ishihara, S., Jin, M.S. and Kajiwara, Y. (2002b) Possible carbonate origin of ore sulfur from Geumseong Mo deposit, South Korea. Resource Geology, v.52, p.279-282. 

  8. Kanda, Y. (1969) Geology and ore deposit of Pocheon iron mine, Korea. Jour. Korean Inst. Mining Geol., v.2, p.53-67. 

  9. Kim, H.S. (1977) Mineralogy and petrology of the Precambrian iron deposits, Korea. J. Geol. Soc. Korea, v.13, p.191-211. 

  10. Lee, B.-J., Kim, Y.B. and Kee, W.-S. (2006) Geological Report of the Gisan Sheet (1/50,000). KIGAM, 39p. 

  11. Lee, S.H. (1979) Ore petrological studies on the genesis of the metamorphic iron deposits in southern Korea. Jour. Geol. Soc. Korea, v.15, p.210-229. 

  12. Lee, S.R., Cho, M., Cheong, C.S., Kim, H. and Ingate, M.T.D. (2003) Age, geochemistry, and tectonic significance of Neoproterozoic alkaline granitoids in the northwestern margin of the Gyeonggi massif, South Korea. Precambrian Research, v.122, p.297-310. 

  13. Meinert, L.D. (1993) Skarn and skarn deposits. In Sheahan, P. and Cherry, M.E. (eds.) Ore Deposit Model Volume II. Geoscience Canada, Reprint Series 6. p.117-134. 

  14. McDonough, W.F. and Sun, S.-S. (1995) The composition of the earth. Chemical Geology, v.120, p.223-253. 

  15. Monteiro, L.V.S., Xavier, R.P., Carvalho, E.R., Hitzman, M.W., Johnson, C.A., de Souza Filho, C.R. and Torresi, L. (2008) Spatial and temporal zoning of hydrothermal alteration and mineralization in the Sossego iron oxide-copper-gold deposit, Carajas mineral province, Brazil: paragenesis and stable isotope constraints. Mineralium Deposita, v.43, p.129-159. 

  16. Pearce, J. A., Harris, N.B.W. and Tindle A.G. (1984) Trace element discrimination diagrams for the tectonic interpretation of granitic rocks. Jour. Petrology, v.25, p.956-983 

  17. So, C.S. (1977) Origin of amphibolite and associated magnetite ore from the Pocheon iron mine, Korea. In Klemm, D.D. and Schneider, H.-J. (ed.) Time- and Strata-bound Ore Deposits. p.406-418. 

  18. Wang, S. and Williams, P. Jour. (2001) Geochemistry and origin of Proterozoic skarns at the mount Elliott Cu-Au (-Co-Ni) deposit, Cloncurry district, NW Queensland, Australia. Mineralium Deposita, v.36, p.109-124. 

  19. Yun, H.S., Hong. S.S. and Lee. Y.S. (2002) Petrology and petrochemistry of the Jurassic Daebo granites in the Pocheon-Gisanri area. Jour. Petrol. Soc. Korea, v.11, p.1-16. 

  20. Zheng, Y.F. and Hoefs, J. (1993) Carbon and oxygen isotopic covariations in hydrothermal calcites. Mineralium Deposita, v.28, p.79-8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