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도인지장애노인과 정상노인의 인구학적 특성, 동반질환 및 건강습관 비교
Comparison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morbidity, and Health Habits of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Older Adults with Normal Cognitive Functio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4 no.4, 2014년, pp.351 - 360  

박명화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성미라 (용인송담대학교 간호학과) ,  김선경 (충남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이동영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서울특별시 광역치매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compar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morbidity, and health habits of elder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and elders with cognitively normal function (CNF). Methods: Secondary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Database of the Seoul Dementia Ma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정상에서 경도인지장애를 거쳐 치매로 이르는 질병의 경과를 고려할 때 치매예방을 위한 주 대상 집단인 정상과 경도인지장애집단의 인구학적 특성과 건강관련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효율적인 치매예방 전략 수립에 필요한 기본적인 자료이다[6,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치매관리사업의 인구집단 수준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정상군과 경도인지장애군의 인구학적 특성, 관련 동반질환 및 건강습관 등의 건강 관련 특성에 대해 최초로 분석하고자 하며, 본 연구의 결과는 국가적, 지역적 치매관리정책과 간호 및 예방 전략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수있을것이다.
  • 1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1,4,17]. 또한, 본 연구에서는 연령별 분석에서 80세 이후 연령층에서 경도인지장애군이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교육수준을 보고하고 있는데, 이는 교육수준이 낮은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경우 치매로 전환되는 속도가 더 빠를 가능성에 대해 고려해 볼 수 있다. 또한,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치매로 발전되지 않고 경도인지장애로 남아있을 가능성을 고려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정상노인과 경도인지장애노인의 인구학적 특성, 동반 질환 및 건강습관을 성별, 연령별로 비교분석하기 위해 서울시 치매관리사업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차분석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인구집단을 대상으로 경도인지장애노인과 정상노인의 인구학적특성, 동반질환, 건강습관을 성별과 연령별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정상에서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로의 진행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중재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결과에서 경도인지장애노인과 정상노인의 일반적 특성과 동반질환 및 생활습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지역사회 노인 인구를 대상으로 정상노인과 경도인지장애군을 선별하여 이들의 인구학적 특성과 동반질환 및 건강습관의 특성을 성별, 연령별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경도인지장애의 예방 및 진행 지연과 치료를 위한 중재와 정책 마련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특히, 치매노인의 특성을 알아내기 위한 여러 연구 결과들은 많이 축적되어 있으나 정상에서 경도인지장애로의 진행단계를 탐색 하는 자료는 부족함을 고려할 때 본 연구에서는 치매로 발전하기 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노인과 정상노인의 비교를 통해 경도인지장애노인과 정상노인의 특성 차이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특성 비교에 있어 대규모 표본을 활용하여 위험요인과 생활습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성별, 연령별 차이를 고려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매의 조기 발견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2%로 추정되며, 노인성 치매 환자 수는 2008년 69,276명에서 2010년 77,200명, 2020년 120,580명으로 예상하고 있다[1]. 치매는 신경정신학적 증상과 더불어 병리학적 변화를 동반하여 어느 정도 진행된 후에는 치료의 효과가 낮아지기 때문에 예방과 조기발견이 중요하며, 이와 관련하여 정상노화와 치매초기의 과도기적 단계로서의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on Impairment[MCI])에 대한 관심이 최근 높아지고 있다[2].
치매의 위험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론적으로 치매를 일으키는 모든 관련 원인에 의해 경도인지장애가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치매의 위험요인으로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등의 인구학적 특성과 함께 동반질환과 건강습관, 유전 및 환경적 요인이 알려져 왔다[3,4]. 인구학적 특성과 관련하여 연령의 증가와 더불어 경도인지장애의 유병률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한편 교육수준에 대해서는 일관된 연구 결과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치매의 동반질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성별과 관련하여 치매의 경우 여성의 유병률이 높으나 경도인지장애의 경우 남성의 유병률이 더 높으며, 이러한 결과는 남성이 여성에 비해 경도인지장애에서 치매로 진행되는 시간이 더 오래 걸리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8]. 동반질환과 관련하여서는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심장질환, 비만, 뇌졸중 등이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건강습관에 대해서는 음주, 흡연, 운동과의 연관성이 주로 조사되었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Nationwide study on the prevalence of dementia in Korean elders. Seoul: Author; 2008. 

  2. Petersen RC, Negash S. Mild cognitive impairment: An overview. CNS Spectrums. 2008;13(1):45-53. 

  3. Meguro K, Ishii H, Yamaguchi S, Ishizaki J, Sato M, Hashimoto R, et al. Prevalence and cognitive performances of clinical dementia rating 0.5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Japan. The Tajiri project.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2004;18(1):3-10. 

  4. Ravaglia G, Forti P, Montesi F, Lucicesare A, Pisacane N, Rietti E, et al. Mild cognitive impairment: Epidemiology and dementia risk in an elderly Italian population.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08;56(1):51-58. http://dx.doi.org/10.1111/j.1532-5415.2007.01503.x 

  5. Woods RT, Clare L. Cognition-based therapies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Tuokko HA, Hultsch DF, editors. Mild cognitive impairment: International perspectives. New York, NY: Taylor & Francis; 2006. p. 245-264. 

  6. Kim J, Jung HY, Kwon YJ, Han SW, Shim SH. The characteristics of cognitive function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College. 2006;12(2):287-292. 

  7. Boo S, Froelicher ES.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10-year risk for coronary heart disease in Korean women. Asian Nursing Research. 2012;6(1):1-8. http://dx.doi.org/10.1016/j.anr.2012.02.001 

  8. Choi JY, Moon SW, Nam BW. Review of association between neuropsychiatric symptoms and progression from mild cognitive impairment to Alzheimer' disease. The Korean Journal of Psychopathology. 2009;18(1-2):15-20. 

  9. Lee YK, Sung MR, Lee DY. Comorbidity and health habits of Seoul city elders with dement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3):411-422. http://dx.doi.org/10.4040/jkan.2011.41.3.411 

  10. Ritchie K, Ancelin ML, Beaino E, Portet F, Brickman AM, Dartigues JF, et al. Retrospective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from a prospective population cohort.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10;18(8):692-700. 

  11. Manly JJ, Tang MX, Schupf N, Stern Y, Vonsattel JP, Mayeux R. Frequency and course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a multiethnic community. Annals of Neurology. 2008;63(4):494-506. http://dx.doi.org/10.1002/ana.21326 

  12. Lee DY, Lee KU, Lee JH, Kim KW, Jhoo JH, Youn JC, et al. A normative study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in the Korean elderl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2;41(3):508-525. 

  13. Kang Y, Na DL, Hahn S. A validity study on th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in dementia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1997;15(2):300-308. 

  14. Lee JH, Lee KU, Lee DY, Kim KW, Jhoo JH, Kim JH, et al.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assessment packet (CERAD-K): Clinical and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batterie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2002;57(1):P47-P53. 

  15. Ahn HJ, Chin J, Park A, Lee BH, Suh MK, Seo SW, et al.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dementia version (SNSB-D): A useful tool for assessing and monitoring cognitive impairments in dementia patients.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010;25(7):1071-1076. http://dx.doi.org/10.3346/jkms.2010.25.7.1071 

  16. Seoul Dementia Center. 2009 Seoul dementia management services guidebook. Seoul: Author; 2009. 

  17. Shin KR, Kang Y, Jung D, Kim M, Kim J, Kim M, et al.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compared to elderly with normal cognitive functio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1;23(1):40-49. 

  18. Geda YE, Roberts RO, Knopman DS, Petersen RC, Christianson TJ, Pankratz VS, et al. Prevalence of neuropsychiatric symptoms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normal cognitive aging: Population-based study.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2008;65(10):1193-1198. http://dx.doi.org/10.1001/archpsyc.65.10.1193 

  19. Hanninen T, Hallikainen M, Tuomainen S, Vanhanen M, Soininen H. Prevalence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A population-based study in elderly subjects. Acta Neurologica Scandinavica. 2002;106(3):148-154. 

  20. Petersen RC, Roberts RO, Knopman DS, Geda YE, Cha RH, Pankratz VS, et al. Prevalence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is higher in men. The Mayo clinic study of aging. Neurology. 2010;75(10):889-897. http://dx.doi.org/10.1212/WNL.0b013e3181f11d85 

  21. Sosa AL, Albanese E, Stephan BC, Dewey M, Acosta D, Ferri CP, et al. Prevalence, distribution, and impact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Latin America, China, and India: A 10/66 population-based study. PLoS Medicine. 2012;9(2):e1001170. http://dx.doi.org/10.1371/journal.pmed.1001170 

  22. Jung YM, Kim JH. Comparison of cognitive levels, nutritional status, depression in the elderly according to living situatio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4;34(3):495-503. 

  23. Reitz C, Tang MX, Manly J, Mayeux R, Luchsinger JA. Hypertension and the risk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Archives of Neurology. 2007;64(12):1734-1740. http://dx.doi.org/10.1001/archneur.64.12.1734 

  24. Luchsinger JA, Reitz C, Patel B, Tang MX, Manly JJ, Mayeux R. Relation of diabetes to mild cognitive impairment. Archives of Neurology. 2007;64(4):570-575. http://dx.doi.org/10.1001/archneur.64.4.570 

  25. Kim SJ. A correlation between neurocognitive impairments and serum lipid levels among the Korean elderly in Busan [master's thesis]. Busan: Inje University; 2010. 

  26. Vidoni ED, Townley RA, Honea RA, Burns JM. Alzheimer disease biomarkers are associated with body mass index. Neurology. 2011;77(21): 1913-1920. http://dx.doi.org/10.1212/WNL.0b013e318238eec1 

  27. Panza F, Capurso C, D'Introno A, Colacicco AM, Frisardi V, Lorusso M, et al. Alcohol drinking, cognitive functions in older age, predementia, and dementia syndromes.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2009; 17(1):7-31. http://dx.doi.org/10.3233/jad-2009-1009 

  28. Weuve J, Kang JH, Manson JE, Breteler MM, Ware JH, Grodstein F. Physical activity, including walking, and cognitive function in older women. JAMA: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4;292(12):1454-1461. http://dx.doi.org/10.1001/jama.292.12.1454 

  29. Lytle ME, Vander Bilt J, Pandav RS, Dodge HH, Ganguli M. Exercise level and cognitive decline: The MoVIES project.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2004;18(2):57-64. 

  30. Geda YE, Roberts RO, Knopman DS, Christianson TJ, Pankratz VS, Ivnik RJ, et al. Physical exercise, aging,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A population-based study. Archives of Neurology. 2010;67(1):80-86. http://dx.doi.org/10.1001/archneurol.2009.29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