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컴퓨터 인지강화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자아존중감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Computerized Cognitive Training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Self-esteem,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mong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8 no.6, 2016년, pp.691 - 700  

김명숙 (성신여자대학교 간호대학) ,  임경춘 (성신여자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computerized cognitive training on older adults affected by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in terms of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self-esteem,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Methods: This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의 경도인지장애가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적용한 컴퓨터 인지강화 프로그램이 인지기능, 우울, 자아존중감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2. 컴퓨터 인지강화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우울 점수가 낮을 것이다.
  • 가설 3. 컴퓨터 인지강화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자아존중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4. 컴퓨터 인지강화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일상생활 수행능력 점수가 높을 것이다.
  • • 가설 1. 컴퓨터 인지강화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인지기능 점수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CI의 조기 진단이 중요하고 치매로의 이환을 예방하기 위한 조기 치료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들 MCI 대상자는 최근 5년간 건강보험 진료인원이 4.3배 증가하였으며, 특히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MCI 유병률은 10~20%이고, 정상군에서 매년 1~2% 정도가 치매로 이행되는데 비해 MCI 대상자는 매년 10~15%에서 치매로 진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 그러므로 MCI의 조기 진단은 중요하고, 치매로의 이환을 예방하기 위해 조기 치료가 필요하다[2].
경도인지장애란 무엇인가? 2015년 건강보험통계연보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 환자의 입원 다빈도 질병 순위에서 치매는 3위를 기록하였고, 9,815억원의 진료비가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1].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는 인지기능에 장애가 있지만 치매 진단의 이전 단계로서, 개인에 따라 치매로 이환되는 기간은 다르나 치매로 이환될 가능성이 있다[2]. 이들 MCI 대상자는 최근 5년간 건강보험 진료인원이 4.
컴퓨터 인지강화 프로그램의 장점은 무엇인가? 기존의 MCI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중재로 운동 프로그램[8]과 인지강화 프로그램[9]등이 있으나, 이들 프로그램은 전문가가 진행해야 하며 대상자 스스로 지속적으로 진행하기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 시행한 컴퓨터 인지강화 프로그램(Computerized Cognitive Training, CCT)은 인지기능 수준별로 대상자에게 훈련과제를 제공할 수 있고, 즉각적으로 결과를 피드백해 줄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기록되어 이전과 비교분석이 가능하여 인지능력 강화에 유용하다[10]. 또한 게임형태로 되어있어 대상자들이 흥미롭게 수행할 수 있지만, 단순화된 프로그램이기에 컴퓨터에 익숙하지 않은 대상자도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and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The first half of 2015 health insurance key statistics [Internet]. Wonju: Author; 2016 [cited 2016 December 17]. Available from: http://www.nhis.or.kr/bbs7/boards/B0075/21824. 

  2. Petersen RC. Mild cognitive impairment: aging to Alzheimer's diseas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3.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A report for the number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Internet]. Wonju: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5 [cited 2016 July 24]. Available from: http://www.nhis.or.kr/bbs7/boards/B0039/14982. 

  4. Oh BH, Kim YK, Kim JH, Shin YS. The effects of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on cognitive function of elderly dementia patients.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3;42(4):514-9. 

  5. Yoo MS, Seo EJ, Hwang MS.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 self-esteem, and depression among pati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013;20(1):16-23. 

  6. Artero S, Ancelin M-L, Portet F, Dupuy A, Berr C, Dartigues J-F, et al. Risk profiles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progression to dementia are gender specific.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 Psychiatry. 2008;79(9):979-84. http://dx.doi.org/10.1136/jnnp.2007.136903 

  7. Kim HS, You SJ, Han KR. The relation of cognitive function, physical health,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of elderly women in the communit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02;4(2):163-75. 

  8. Song N-H. The effect of resistance exercise on cognitive function and risk factors of dementia for elderly women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The Korean Journal of Sports. 2016;14(2):305-15. 

  9. Park I, Choi I-H, Kang SY, Kim Y, Lee CM. The effects of an individual cognitive improvement program on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5;26(1):1-10. 

  10. Bell M, Bryson G, Greig T, Corcoran C, Wexler BE. Neurocognitive enhancement therapy with work therapy: effects on neuropsychological test performance.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2001;58(8):763-8. 

  11. Kim HJ, Lee SJ, Kam KY. A review of computer-assisted cognitive rehabilitation (CACR).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2008;2(2):35-46. 

  12. Rose F, Brooks B, Attree E, Parslow D, Leadbetter A, McNeil J, et al. A preliminary investigation into the use of virtual environments in memory retraining after vascular brain injury: indications for future strategy?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1999;21(12):548-54. 

  13. Hofmann M, Rosler A, Schwarz W, Muller-Spahn F, Krauchi K, Hock C, et al. Interactive computer-training as a therapeutic tool in Alzheimer's disease. Comprehensive Psychiatry. 2003;44(3):213-9. 

  14. Cipriani G, Bianchetti A, Trabucchi M. Outcomes of a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Alzheimer's disease patients compared with those on patients affected by mild cognitive impairment.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2006;43(3):327-35. 

  15. Barnes DE, Yaffe K, Belfor N, Jagust WJ, DeCarli C, Reed BR, et al. Computer-based cognitive training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results from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2009;23(3):205. http://dx.doi.org/10.1097/WAD.0b013e31819c6137 

  16. Herrera C, Chambon C, Michel B, Paban V, Alescio-Lautier B. Positive effects of computer-based cognitive training in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Neuropsychologia. 2012;50(8):1871-81. 

  17. Jeong WM, Hwang YJ, Youn JC. Effects of a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on mild dementia patients in a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0;30(1):127-40. 

  18. Hwang JH, Kim SK. The effect of computer-assist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memory in the dementia: case report.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2011;3:53-63. 

  19. Talassi E, Guerreschi M, Feriani M, Fedi V, Bianchetti A, Trabucchi M. Effectiveness of a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in mild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a case control study.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2007;44:391-9. 

  20. Belleville S, Gilbert B, Fontaine F, Gagnon L, Menard E, Gauthier S. Improvement of episodic memory in person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healthy older adults: evidence from a cognitive intervention program. Dementia and Geriatric Cognitive Disorders. 2006;22(5-6):486-99. 

  21. Folstein MF, Folstein SE, McHugh PR.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975;12(3):189-98. 

  22. Lee JH, Lee KU, Lee DY, Kim KW, Jhoo JH, Kim JH, et al.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Assessment Packet (CERAD-K) clinical and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batterie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2002;57(1):P47-P53. 

  23. Yesavage JA, Brink T, Rose TL, Lum O, Huang V, Adey M,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983;17(1):37-49. 

  24. Cho MJ, Bae JN, Suh GH, Hahm BJ, Kim JK, Lee DW, et al. Valid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orean version (GDS)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9;38(1):48-63. 

  25.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26. Jon BJ.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Nonchong. 1974;11(1):107-30. 

  27. Katz S, Ford AB, Moskowitz RW, Jackson BA, Jaffe MW. Studies of illness in the aged: the index of ADL: a standardized measure of biological and psychosocial function.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963;185:914-9. 

  28. Won CW, Rho YG, Kim SY, Cho BR, Lee Y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 (K-ADL) scale.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2002;6(2):98-106. 

  29. Galante E, Venturini G, Fiaccadori C. Computer-based cognitive intervention for dementia: preliminary results of a randomized clinical trial. Giornale Italiano di Medicina del Lavoro ed Ergonomia. 2007;29(3 Suppl B):B26-B32. 

  30. Kim MS, Kim JI. Relationship among the health state, daily living activities (ADL, IADL), sleep state, and depression among old people at elderly care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16(4):2609-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