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름철 단일수목의 음이온 발생에 관한 평가
Assessment of Anion Generation on the Isolated Trees at Summer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2 no.4, 2014년, pp.1 - 9  

김정호 (건국대학교 녹색기술융합학과) ,  서유환 (건국대학교 산림과학과) ,  주창훈 (산림조합중앙회) ,  윤용한 (건국대학교 녹색기술융합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단일수목 중심으로 측정지점의 변화를 통해 위치에 따른 음이온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내에 위치한 느티나무를 선정하여 하지를 기준으로 총 3일간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그림자가 형성되는 반대 방향에 위치한 $T_a$지점과 수목의 중앙에 위치시킨 $T_b$지점, 그림자 중앙에 위치시킨 $T_c$지점, 그림자 끝 지점에 위치시킨 $T_d$지점으로 총 4개소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측정일 간 평균기온은 $T_a$지점이 $28.4^{\circ}C$로 가장 높았으며, 그림자 중앙에 위치시킨 $T_c$지점이 가장 낮은 $27.9^{\circ}C$로 나타났다. 상대습도는 기온이 가장 높았던 $T_a$지점에서 가장 낮은 42.5%를 기록하였다. 일사량의 경우 $T_a$지점에서 $1,024.6W/m^2$로 가장 높았으며, $T_d$지점($701.48W/m^2$) > $T_c$지점($215.63W/m^2$) > $T_b$지점($227.75W/m^2$) 순으로 조사되었고, 음이온 측정결과, $T_a$지점에서 가장 높은 $654ea/cm^3$로 측정되었으며, $T_d$지점 > $T_c$지점 > $T_b$지점 순으로 각각 $639.4ea/cm^3$, $615.3ea/cm^3$, $612.3ea/cm^3$로 나타났다. 상관성 분석결과, 음이온은 세 가지 기상요소, 기온, 일사량, 상대습도와 상관성이 검증되었다. 기온과 일사량의 경우 정의 상관성을 보이고, 각각 .687과 .332의 상관계수를 보였으며, 유의확률은 .000, .037로 나타났다. 또한 상대습도는 부의 상관관계로 상관계수와 유의확률이 각각 -.557, .000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changes in anion according to locations through changes in the measuring point centering on a single tree. The subject tree was the Zelkova serrata which is most widely used as a landscape tree, and the measurement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3 days with summer solst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단일수목을 중심으로 다양한 측정지점의 변화를 통해 음이온 연구에 있어 정확한 측정지점을 명시하고자 태양고도의 시간대별 변화에 따라 측정지점의 변화를 주어 측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단일수목의 음이온 측정 시 시간은 일 평균음이온 발생량보다 높았던 13시에서 15시 사이에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정확한 음이온의 발생량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기상요소가 안정화된 시점에서 측정이 이뤄져야 할 것이며, 지점에 따른 주변환경의 영향을 정확히 파악 후 음이온 측정이 이뤄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또한, 측정지점에 따라 음이온 개수의 차이 변화 폭이 크고, 변동이 심한 특성을 갖고 있음에도 측정지점에 대한 명시된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는 단일 수목이 미치는 주위 환경 요소 중 음이온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다양한 측정지점의 변화를 통해 위치에 따른 음이온 변화량을 제시하고, 음이온 연구의 기초연구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녹지가 쾌적성에 미치는 요소는 무엇이 있는가? 도심내 녹지는 도시열섬완화, 미기상 개선 및 엔트로피 감소 등의 효과 뿐만 아니라, 도시민의 쾌적성 향상을 위한 영역까지 확장이 되고 있다. 녹지가 쾌적성에 미치는 요소로는 소리, 산소, 경관, 음이온 등이 있는데, 이 중 음이온은 공기정화 효과와 인체의 자율신경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며(Krueger and Reed, 2006), 도시지역을 벗어나 산소음이온이 풍부한 자연환경에서 음이온 효과를 즐기는 생활은 가장 쉽고 저렴한 웰빙 방법일 뿐만 아니라, 질병에 노추뢴 사람들에겐 자연치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Kim et al., 2014).
흙이나 수목의 주변에 수분이 풍부하여 발생하는 음이온은 어떻게 생성되는가? 우선, 숲이 가지고 있는 특징 중 하나인 흙이나 수목의 주변에 수분이 풍부하여 발생하는 음이온이다. 비가 내리면 흙은 물을 흠뻑 빨아들이며, 비가 그친 후 기온상승으로 인해 토양 내 보유 수분이 서서히 증발되는데, 이때 물의 클러스터가 작은 상태에서 공기 속으로 떠오르므로 ‘작은 이온’이라고 일컬어지는 마이너스 이온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햇빛의 원적외선 효과로 물분자를 분해하여 마이너스 이온인 OH-(H2O)n과 플러스 이온인 H3O+(H2O)n으로 분리되기 때문이다. 이때, 플러스 이온은 무거워서 지면에 떨어져 공기는 마이너스 이온이 된다. 이와 같은 기작으로 녹지에 내린 비는 흙이나 수림 또는 화초 등에 흡수되어 나뭇잎의 숨구멍을 통하여 다시금 대기속으로 증발한다. 증발할 때 많은 수의 전자가 방출되어 주변 공기 중의 O2와 결합하여 많은 수의 음(-)이온이 발생한다(Ji, 2003).
음이온은 어떤 효과가 있는가? 도심내 녹지는 도시열섬완화, 미기상 개선 및 엔트로피 감소 등의 효과 뿐만 아니라, 도시민의 쾌적성 향상을 위한 영역까지 확장이 되고 있다. 녹지가 쾌적성에 미치는 요소로는 소리, 산소, 경관, 음이온 등이 있는데, 이 중 음이온은 공기정화 효과와 인체의 자율신경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며(Krueger and Reed, 2006), 도시지역을 벗어나 산소음이온이 풍부한 자연환경에서 음이온 효과를 즐기는 생활은 가장 쉽고 저렴한 웰빙 방법일 뿐만 아니라, 질병에 노추뢴 사람들에겐 자연치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Kim et al.,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Hopkins, W. G. and N. P. A. Huner(2006) Plant Physiology. Seoul: World Science. 

  2. Kim, I. S., D. A. Lee, S. I. Park, H. Ha and S. I. Yang(2014) Distribution of Anions in Valley Area. 

  3. Ji, C. K.(2003) Effect of Anion. Seoul: Living books. 

  4. Ji, C. K.(2005) Air pollution and anion.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19(3): 3-9. 

  5. Jo, Y. B.(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uitable Locations Evaluation Model and Therapy Type to Therapeutic Forests. Ph. 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Wonkwang University. Iksan. Korea. 

  6. Karjalainen, E., T. Sarjala and H. Raitio(2010) Promoting human health through forests: Overview and major challenges. Environmental Health and Preventive Medicine 15(1): 1-8. 

  7. Kim, H. S.(2003) Ec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ong and Short Shoots in Zelkova serrata. Ph. 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Cheongju University. Cheongju. Korea. 

  8. Kim, J. H., D. K. Oh and Y. H. Yoon(2012a) Anion concentrations of urban regeneration stream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argeting Cheonggyecheon in Seoul. Seoul Institute 13(3): 36-45. 

  9. Kim, J. H., D. K. Oh and Y. H. Yoon(2012b) An analysis of anions distribution and correlation by biotope types in summer for pleasant urban environment.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3(1): 51-62. 

  10. Kim, K. J. and J. S. Lee(2008) Effect of species and volume rate of potted orchid plants put in closed chambers on emission of air anions.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16(1): 85-92. 

  11. Kim, K. J., E. H. Yoo, H. W. Seo, S. Y. Jo, J. A. Lee and H. H. Jung (2012) Air anions emission in CAM (crassulacean acid metabolism) and $C_3$ plants affected by light intensity. Korean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ment 15(4): 281-285. 

  12. Kim, K. M., H. J. Lim, S. H. Kim, Y. H. Choi, W. S. Shin and B. J. Park(2012) The difference of psychological relaxation effects between natural recreation forest and urban forest. Korea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Welfare 16(1): 53-58. 

  13. Kim, K. S.(1988) Agricultural Meterology. Hyangmunsa. 

  14. Kim, S. K., W. S. Shin, M. K. Kim, P. S. Yeoun, J. H. Park and R. W. Yoo(2008) The effects of negative ions on stress responses and cognitive functions. Korean Forest Society 97(4): 423-430. 

  15. Krueger, A. P. and F. J. Reed(2006) Biological impact of small air ions. Science 193(4259): 1209-1213. 

  16. Lee, J. H. and P. S. Yoon(2003) A study on efficiency and mechanism of removing indoor pollutants used anion generated by indoor plants. Korean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6(4): 81-92. 

  17. Lee, J. H.(2003) The effect of improving indoor air quality used anion by indoor plants.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5(1): 89-98. 

  18. Park, S. H., Y. B. Lee, G. Y. Bae and M. Kondo(1998) Anion evolution in plants and its involved factors.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39(1): 115-118. 

  19. Um, T. W. and G. T. Kim(2010) Correlations between concentrations of negative ions and forest type, and site factors at national forests in Yangyang-gun.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24(5): 539-546. 

  20. Yatakai, H.(1993) The Power of Forest. Tokyo: Gendaishori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