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특성화고 고졸청년층의 진로준비 및 진로성숙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연구
Study of the effect of career preparation and career maturity on employment among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8, 2014년, pp.4961 - 4971  

이만기 (한국고용정보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특성화고 졸업자들이 취업을 하는데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 특히 특성화고의 각종 취업지원정책과 더불어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각종 시설 및 교과지원, 직업능력지원, 진로지도, 취업지원 등의 프로그램과 개인이 하는 진로준비행동, 직업탐색행동, 이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증가는 취업에 과연 영향을 미치는 것인가? 이를 위해 먼저 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프로그램 등의 학교지원만족도, 가정에서 실시한 진로준비행동, 취업 전의 예비적 직업탐색행동, 이에 따른 진로성숙도 등을 주요변수로 하여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교지원만족도는 진로성숙도, 가정에서의 진로준비행동 등에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보여주고 있고 직접적으로 취업에 영향을 미치거나 간접적으로 취업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다음으로 가정에서의 진로준비행동은 직접적으로 취업에 영향을 주며 예비적 직업탐색행동과 진로성숙도를 높이게 된다. 특히, 가정에서의 진로준비행동은 예비적 직업탐색행동을 통해 취업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성별에 따른 변인간의 영향관계를 본 결과, 학교지원만족도는 취업을 직접적으로 높이고 여성의 경우가 더 높게 나타나, 양질의 학교지원프로그램을 강화하되 특히 여성에 맞는 취업지원프로그램도 개발, 지원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지원만족도가 높으면 여성은 가정에서의 진로준비행동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여성이 가정에서 갖는 진로에 대한 대화 등 진로준비활동은 남성과 달리 취업에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어 여성의 경우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지원프로그램들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이 제기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regard to gaining employment for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what are the significant factors? Along with specialized high school's employment support, facility and subject support, vocational ability support, career guidance, and employment support are implemented at school. At the sa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특성화고졸업자들이 학교지원프로그램과 별도로 가정에서의 진로준비행동, 예비적 직업탐색행동 등 자발적인 취업준비 노력을 한다면 과연 취업과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프로그램을 통하여 진로성숙도가 높아진 특성화고 졸업자들이 취업에 성공하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 졸업자를 대상으로 한 학교에서의 지원시스템과 개인의 진로준비 등이 과연 취업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 지를 보고자 한다. 더불어 성별로 이러한 영향관계가 어떻게 다른 지를 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이며 이를 통해 특성화고의 진로 및 취업지원정책에 있어 시사점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 측정 동일성 제약은 전체 분석모형에서 성별로 측정결과가 동일한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또한 집단 간 등가제약은 모든 경로계수들에 대해 제약을 가한 후, 각각의 경로에서 조절변인인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 이를 위해 많은 특성화고에서 도입하여 진행하고 있는 현장실습, 산학연계프로그램 등 직업능력향상프로그램과 진로상담, 진로검사, 직업정보제공 등 진로지도 프로그램, 그리고 취업정보제공, 취업알선 및 상담, 구직 기술 교육 등 취업지원프로그램 등이 취업에 영향을 주고 있는 지를 먼저 분석해 보고자 한다. 또한 특성화고졸업자들이 학교지원프로그램과 별도로 가정에서의 진로준비행동, 예비적 직업탐색행동 등 자발적인 취업준비 노력을 한다면 과연 취업과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프로그램을 통하여 진로성숙도가 높아진 특성화고 졸업자들이 취업에 성공하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환경 속에서 과연 특성화고 학생들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많은 특성화고에서 도입하여 진행하고 있는 현장실습, 산학연계프로그램 등 직업능력향상프로그램과 진로상담, 진로검사, 직업정보제공 등 진로지도 프로그램, 그리고 취업정보제공, 취업알선 및 상담, 구직 기술 교육 등 취업지원프로그램 등이 취업에 영향을 주고 있는 지를 먼저 분석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고 졸업자들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변수들을 중심으로 다차원적인 구조모형을 구축하고 이들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먼저 학교지원만족도, 예비적 직업탐색행동, 가정에서의 진로준비행동, 진로성숙도, 취업 등의 변인 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 졸업자를 대상으로 한 학교에서의 지원시스템과 개인의 진로준비 등이 과연 취업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 지를 보고자 한다. 더불어 성별로 이러한 영향관계가 어떻게 다른 지를 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이며 이를 통해 특성화고의 진로 및 취업지원정책에 있어 시사점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 앞서 분석결과, 성별로 학교지원만족도, 가정에서의 진로준비행동, 예비적 직업탐색행동, 진로성숙도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에 성별을 중심으로 특성화고 졸업자의 진로준비와 진로성숙도 등과 취업과의 구조적 영향관계를 알아보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 될 것이며 이를 위해 성별로 다집단분석(multi-group analysis)을 실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7. 가정에서의 진로준비행동이 높을수록 진로성숙도는 높을 것이다.
  • 가설8. 가정에서의 진로준비행동이 높을수록 취업에 긍정적이 될 것이다.
  • 가설5. 예비적 직업탐색행동이 높을수록 취업에 긍정적이 될 것이다.
  • 가설10. 진로성숙도가 높을수록 취업에 긍정적이 될 것이다.
  • 가설2. 학교지원만족도가 높을수록 진로성숙도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특성화고 취업률은 어떤 추세인가? 특성화고 취업률이 점차 올라가고 있다. 교육부에 따르면 2010년 4월 19.
특성화고 졸업생 취업률은 2013년 기준 어떻게 되는가? 2%였던 특성화고 졸업생 취업률이 2011년 4월 25.9%, 2013년 4월 37.8%로 상승하였다 (2013.5 교육부 보도자료).
특성화고 졸업생 취업률의 상승은 무엇에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가? 5 교육부 보도자료). 이는 대학진학에 대한 인식도 바뀌고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의 취업률 증가, 공공기관의 채용인원 확대, 고졸자가 갈 수 있는 괜찮은 일자리 확대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성과는 일학습병행제, 산학협력, 선취업후진학제도 등을 통해 정부가 특성화고 취업 지원정책을 강화한 덕분이고 사회전체적인 인식의 변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Mi-Kyumg, Chung and Su-ran, Kim(2013), "The mediation effect of career goal sett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relation of university's career development programs and employment", The Korean educational review, 19(2):123-144. 

  2. Kyong-Ran, Roe, Young-ho, Park and Sun-ju, Heo (2011),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university's career development programs on college graduates employment, employment status, and job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9(1): 63-92. 

  3. Won-June, Kang. Jong-in.Kim and Jung-won,.kim (2008), "A Study on the analyses and effectiveness of th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by universities."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15(1):17-33. 

  4. Young-ran, Yoon(2008), A study on effective career-guidance in college students: focused on career subject class and career group counseling, Ph.D degree. 

  5. Mi-hee, Han(2011), "A study to develop an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a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undergraduates",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4(2): 95-113. 

  6. Seung-Jong, Lee(2003), "A study of the career maturity on student's characteristics in general high school's vocational course",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Mater degree 

  7. Kang-ho, Kim(2009), "The effect of career guidance activities on career maturity of students in vocational high school"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vocational education, 28(4): 183-200. 

  8. Young-ju, Joo, Aran, Kang, and Se-bin, Choi (2013),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areer teacher's support, satisfaction on career educa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ahavior, and career maturity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6(4): 25-47. 

  9. Hee-su, Kim(2007),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career education program as curriculum on vocational identity, career decision levels &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Korea society for the study of career education, 21(2): 35-46. 

  10. Blau, G.. (1994), "Testing a two-dimensional measure of job search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9, pp.288-312. DOI: http://dx.doi.org/10.1006/obhd.1994.1061 

  11. Kanfer, R. & Hulin, C.(1985), "Individual differences in successful job searches following lay-off", Personnel Psychology, 38(4), 835-847. DOI: http://dx.doi.org/10.1111/j.1744-6570.1985.tb00569.x 

  12. Wanberg, C. R., Watt, J. D., & Rumsey, D. J. (1996), "Individual without jobs: An empirical study of job seeking behavior and reemploy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1(1), 76-87. DOI: http://dx.doi.org/10.1037/0021-9010.81.1.76 

  13. Saks, A. M., & Ashforth, B. E.(1999), "Effects of individual differences and job search behaviors on the employment status of recent university graduat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4, 335-349. DOI: http://dx.doi.org/10.1006/jvbe.1998.1665 

  14. Ji-young, Lee, Jae-yoon, Jang and Myung-un, Kim(2004), "The relationship of career indecision, job search behavior and employment among college seniors"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1(1): 1-23. 

  15. Kwan-young, Ahn and Young-hwan, Cho(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earch behavior and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The Korean Academic Associat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25(1): 111-130. 

  16. Bong-whan, Kim, and Kay-hyon, Kim(1997),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9(1): 311-333. 

  17. Gwan-young, Ahn(2004), "Job search behaviors of provincial university graduates"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vocational education, 23(3):19-44. 

  18. Yun-kyong, Jeong(2005), "Factors Affecting Career Maturity among Korean Juveniles: focused on the personal, home, and school-related contexts", the 1st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Conference, 259-305. 

  19. Jin-hee, Seo and Jae-kyoung, Lee(2009), "The influence of parent career behavior on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10(4):2153-2167. 

  20. Sung-kyoung, Kim(2009), "Factors affecting career maturity and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On the basis of the comparisons by students' sex and school-typ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5(6): 145-170. 

  21. Super, D. E. & Overstreet, P. L.(1960), "The Vocational Maturity of Ninth-Grade Boys", N.Y. : Teachers College Press. 

  22. Yeon-hee, So(2011),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self-determination, need, career attitude maturity, career preparatory behaviors, and career decision",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vocational education, 30(2): 117-134. 

  23. Dae-suek, Yang and Young-ryul, Choi(2009), "A study on career sense maturity and career searching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Taekwondo studies", Kyung Hee University, Master degree. 

  24. Min-kyoung, Song(2009), "A study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making of youths", Korea youth research association, 16(10):51-81. 

  25. Betz. E. L.(1984), "A study on career patterns of college graduates", Journal of Vacational Behavior, 14, 249-264. DOI: http://dx.doi.org/10.1016/0001-8791(84)90011-3 

  26. Min-joo, Chung(2014), "The effects of the satisfaction in major and career maturity on the employment anxiety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of undergraduates majoring in airline service", Aviation management society of Korea, 12(1): 81-104. 

  27. Ahyoung, Kim, Sung-kyung, Kim, and Bong Whan, Kim(2006). Development of Career Development Inventory for Adolescents. Korean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28. Gye-su, Kim(2009), "AMOS 16.0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Hannarae Inc. 

  29. Joo-hwan, Kim, Min-gyu, Kim, and Seo-hee, Hong(2009), "Writing articles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mmunication book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