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경친화적 풍력단지 평가체계 구축을 통한 입지선정 및 잠재량 분석
Site Selection and Potential Analysis using the Frame for Assessing Environmental-friendly Wind Power Plant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7 no.4, 2014년, pp.17 - 27  

김은영 (수원시정연구원) ,  전성우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김유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이정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송원경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  김현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nd power which is one of renewable energies is higher economical efficiency and technical maturity than other renewable energies. Recently, the government of ROK announced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renewable energy through the National Energy Plan. Also, industry required to deregulate for l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풍력발전이 가능한 지역은 백두대간 및 정맥 등 산줄기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입지 허용 시 풍력단지뿐만 아니라 진입도로 및 작업로 등 건설에 따른 우수 식생의 훼손, 대간 산마 루금을 중심으로 한 생태계 훼손, 멸종위기 동식물의 서식지 훼손, 소음 등으로 인한 영향을 초래한다(KEI, 201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풍력가능지역을 대상으로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입지 선정을 위한 지표를 선정하고 이에 따른 입지가능 여부와 잠재량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신재생에너지의 친환경적 활용 가능성을 높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육상 풍력발전 단지조성에 적합한 지역을 선정하기 위해 입지 선정에 필요한 지표를 선정하고 다양한 대안을 마련하고 현장을 통해 지표의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육상 풍력발전 입지를 위해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백두대간 보호구역 등 12개의 법적 보호지역과 생태자연도, 희귀성, 연계성(광역생태축), 경사, 표고 등 총 17개 항목을 입지선정시 고려할 지표로 선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풍력자원지도를 이용하여 환경 친화적인 풍력단지 입지선정을 위한 평가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입지가능지역을 선정하여 풍력가능 잠재량을 산출하였다. 풍력자원지도는 풍향, 풍속, 풍력밀도(wind power density, W/m2) 등 시공간 풍력자원 정보를 지리공간상에 투영한 것을 말하며, 특히 기상학적인 요소인 바람에 한정하여서 바람지도(wind atlas, wind map)라고도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풍력가능지역을 대상으로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입지 선정을 위한 지표를 선정하고 이에 따른 입지가능 여부와 잠재량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신재생에너지의 친환경적 활용 가능성을 높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풍력자원지도란? 본 연구에서는 풍력자원지도를 이용하여 환경 친화적인 풍력단지 입지선정을 위한 평가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입지가능지역을 선정하여 풍력가능 잠재량을 산출하였다. 풍력자원지도는 풍향, 풍속, 풍력밀도(wind power density, W/m 2 ) 등 시공간 풍력자원 정보를 지리공간상에 투영한 것을 말하며, 특히 기상학적인 요소인 바람에 한정하여서 바람지도(wind atlas, wind map)라고도 한다. 국가풍력자원지도는 중규모(mesoscale) 수치기상예측(NWP;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모델인 WRF(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를 이용하여 한반도 전체에 대해 수평면 1km, 연직방향 10m의 공간해상도와 10분 간격의 시간해상도로 2000년부터 2010년까지 11년간에 대하여 구축되었다(Kim and Kang, 2012).
풍력발전의 제약사항은? 하지만, 풍력발전은 바람이 불지 않거나, 태풍 등 임계치 이상의 풍속에서는 전력을 생산할 수 없다. 즉, 적정 수준의 바람이 지속적으로 불어야 한다는 것이며, 최근 발전기 기술 개발로 많은 부분 해결되고 있으나 여전히 기본적인 양질의 바람자원은 풍력발전의 기본 요소가 된다.
풍력단지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련한 법은? , 2005; Rosenbloom, 2006). 이와 관련한 법?제도 및 환경정보로는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상수도보호구역, 야생생물보호 구역, 국립공원, 개발제한구역, 산림유전자원보 호림, 천연보호구역, 천연기념물지정지역, 생태 자연도, 국토환경성평가지도(ECVAM), 희귀성 (멸종위기종 출현) 등이 있다. 지형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된 항목으로는 백두대간보호구역, 광역생태축을 비롯하여 표고, 경사 등이 있으며, 그밖에 경관관련 항목으로는 생태경관보전지역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rnett, E. et al. 2005. Relationships Between Bats and Wind Turbines in Pennsylvania and West Virginia: An assessment of fatality search protocols, patterns of fatality, and behavioral interactions with wind turbines. Report prepared for Bats and Wind Energy Cooperative. Retrieved on April 23, 2007. 

  2. Bishop, I. D. and C. Stock. 2010. Using collaborative virtual environments to plan wind energy installations. Renewable Energy 35: 2348-2355. 

  3. Elliott, D..M. Schwartz.S. Haymes.D. Heimiller.G. Scott and L. Flowers. 2010. 80 and 100 meter wind energy resource potential for the United States, WIND POWER 2010, Dallas, Texas. 

  4. Gilead Power Corporation. 2008. OSTRANDER POINT WIND ENERGY PARK. ENVIRONMENTAL REVIEW REPORT: Appendix L, Shadow Flicker Report, Ostrander Point Wind Energy Park, Ontario. p4. 

  5. Hong E. 2012. Current Analysis of Wind Power Industry and Development Plan in Korea. The Korean Institute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26(2): 17-24. 

  6. Jeon SW.Chun JY.Seong HC.Song WK and Park JH. 2010. A Study on the Setting Criteria and Management Area for the National Ecological Network. J. Korean Env. Res. Tech. 13(5): 154-171. 

  7. Kim HG.Hwang HJ and Kang YH. 2013. Evaluation of Onshore Wind Resource Potential According to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J. Env. Sci. 22(6): 717-721. 

  8. Kim HG and Kang YH. 2012. The 2010 Wind Resource Map of the Korean Peninsular. The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16(4): 167-172. 

  9.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3. Seminar for Sustainable Wind Power. 

  10. Kwon YH.Kim JY and Lee MJ. 2008.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in the Siting of Solar and Wind Power Plants. Korea Environment Institute. 

  11. Lee HS.Ahn SW.Ju HS.Sun HS.Shin KH and Lee MJ. 2009.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Environment-friendly Development of Renewable Energy I: Photovoltaic and Wind Energy. Korea Environment Institute. 

  12. Lee SJ.Song SJ and Kand IJ. 2010. Location Analysis for Wind Power System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18(2): 107-112. 

  13. Molina-Ruiz, J. et al. 2011."Developing and applying a GIS-assisted approach to evaluate visual impact in wind farms". Renewable Energy, 36: 1125-1132. 

  14. National Wind Coordinating Committee (NWCC). 2010. Wind turbine interactions with birds, bats, and their habitats: A summary of research results and priority questions. 

  15. Park YM and Jung TR. 2009. Effect on Noise and Low Frequency Noise generated by Wind Power plant(Wind Farm). Korea Environment Institute. 

  16. Rosenbloom, E. 2006. "A problem With Wind Power". what energy sources should be pursued? 

  17. Song K.Bang CH.Park YS and Choi YJ. 2012. Research and Analysis for Developing of Evaluation on the Site Selection of Wind Farm. The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16(1): 3-12. 

  18. The Green Korea United. 2010. The guidelines of the location for renewable energy considering local residents and environment: focused on tidal, wind, and solar power. 

  19. Wind Energy Planning, 2009.3.28 Royal Society for the Protection of Birds Report - A Poisoned Chalice? 

  20. Xi Lu.Michael B. McElroy and Juha Kiviluoma. 2009. Global potential for wind-generated electricity.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PNAS) 106: 933-938. 

  21. www.law.go.kr.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2. www.me.go.kr. Ministry of Environment. 

  23. www.stadtentwicklung.berlin.de Senate Department for Urban Development and the Environment, Berli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