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v.30 no.4, 2014년, pp.545 - 570
박민경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nam University) , 김영옥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Kyungnam Univers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ducation theories applied to teaching-learning from the perspective of mathematical education. To this end, 41 papers regarding mathematical education theories were selected as study subjects from among 1,190 papers published in Korea between 2000 and 2013 i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수학교육 심리학은 무엇을 규명하고자 하는가? | 수학 교수-학습 이론은 학생의 학습 과정을 이해하고 그로부터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는 것과 관련된 분야로 수학교육 심리학이라고도 한다. 수학교육 심리학은 수학 교수-학습의 인지적 측면에 관련하여 연구하여 수학적 사고의 과정 또는 수학 학습의 과정을 심리학적인 관점에서 규명하려고 한다. 학교수학 교육과정에서 수학 교육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에 대해 이해하여 그에 따른 효과적인 학습 방법을 도입하고 이를 교육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보다 높은 학업 성취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수학 학습 심리학적 측면의 이론들이 현장에 많이 적용되어 왔다. | |
수학을 교육하는 일에 대한 정의가 다양한 이유는? | 하지만 이 짧은 정의가 내포하고 있는 의미는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 왜냐면 이 짧은 정의 안에 ‘수학이란 무엇인가?’, ‘수학을 가르친다는 것은 무엇인가?’와 같은 매운 근본적인 질문들이 선행되기 때문이다. 수학을 모든 학문의 기초로 보고 수학의 정신도야성 측면을 강조하는 플라톤주의 입장에 서 있는 사람이라면, 수학적 구조의 강조와 형식적 증명 위주로 수학을 가르칠 것이다. | |
수학교육에 관한 연구영역들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 하지만 앞에서 언급한 수학교육 정의의 다양성과 민감성에도 불구하고, 최근 수학 교육계의 세계적 동향은 Piaget와 Romberg와 같이 수학을 인간에 의한 창조물로 보고 그에 따른 수학교육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수학교육에 관한 연구영역들은 수학교육학의 영역과 일치한다고 볼 수 있는데, 보통 수학과 관련된 내용적 이해 영역, 설명적 이해 영역, 교육적 이해 영역으로 구분한다(이돈희, 1994; 유윤재, 2010; 황혜정 외 5인, 2010)의 구분에 따르면, 내용적 이해 영역은 수학이라는 학문 그 자체에 대한 연구이며, 설명적 이해 영역은 수학과 관련된 역사, 인식론, 사회-문화적 발달 배경, 수학적 사고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 내용으로 수학기초론과 수학사가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교육적 이해 영역은 수학을 가르치는 행위에 관련된 영역으로 수학교육과정론, 수학교재론, 수학 교수-학습론, 수학교육평가, 수학문제해결, 수학교육공학 등을 들 수 있다. |
강문봉 (2004). Lakatos 방법론을 초등수학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 제 14권, 제 2호, 143-156.
고상숙, 강현희 (2007). 수학수업에서의 담론을 통한 수학적 개념 형성에 관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제 46권, 제 4호, 423-443.
김남희 외 5인 (2011). 수학교육과정과 교재연구. 경문사.
김미정, 김용구, 정인철 (2009). 발견을 통한 순열과 조합 지도방안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제 48권, 제 2호, 113-139.
김민경 (2005). 패턴블록을 활용한 구체적 조작활동에 관한 소고.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제 44권, 제 1호, 125-141.
김성경, 이동원 (2005). 근접발달영역을 고려한 중학교 수학의 학습지도방안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제 44권, 제 1호, 41-65.
김익표 (2010). 안내된 재발명을 포함한 탐구-중심 수업이 학생들의 수학적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제 49권, 제 2호, 223-246.
린 D. 잉글리쉬, 그레엄 S. 핼포드 (2003). 수학교육론: 인지과학에서 수 체계의 정신모델, 계산과정, 그리고 문제해결. 경문사.
박경미 (2009). Lakatos의 증명과 반박 방법에 따른 기하 교수.학습 상황 분석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 제 11권, 제 1호, 55-70.
박임숙, 김흥기 (2002). 고등학교에서의 극한개념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 제 12권, 제 4호, 557-582.
송영무, 박윤자 (2005). 초등학교 5.6학년 특별보충반 학생들의 나눗셈 연산능력 신장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제44권, 제 2호, 265-280.
심상길 (2005). 초등학교 기하에서 큐브를 활용한 조작 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제 44권, 제 1호, 143-152.
우정호 외 6인 (2007). 수학교육학 연구방법론. 경문사.
이대현 (2001). 수학과 수행평가의 이론적 기저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제 40권, 제 1호, 67-75.
이돈희(1994). 교육적 경험의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이종영 (2001). 컴퓨터 환경에서 초등학교 기하 지도에 관한 고찰. 대한수학교육학회지 , 제 11권, 제 1호, 89-102.
이종희, 김선희 (2005). Vygotsky 이론에 근거한 수학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측정 도구 개발. 대한수학교육학회지 , 제 7권, 제 3호, 253-268.
이종희, 최승현, 김선희 (2002). 수학적 의사소통을 강조한 수학 학습 지도의 효과.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제 41권, 제 2호, 157-172.
이환철, 허난, 강옥기 (2010). 동료를 지도하는 수학 학습 능력 우수 학생의 학습 과정 탐색. 대한수학교육학회지 , 제 12권, 제 2호, 177-191.
유윤재(2010). 중등수학교육학. 서울: 경문사
조완영 (2006). 고등학교 미적분에서의 수학화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 제 8권, 제 4호, 417-439.
최순옥, 정영옥 (2005). 비계설정을 통한 수학 교수-학습에 대한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 제 15권, 제 1호, 57-74.
한기완 (2001). 공간과제의 지도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 제 3권, 제 2호, 355-372.
한길준, 우호식 (2001). 고등 수학 개념의 올바른 이해를 위한 유의미한 교수법 탐색.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제 40권, 제 2호, 241-252.
홍성관, 박철호 (2007). 동적기하가 원뿔곡선 문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제 46권, 제 3호, 331-349.
홍성관 (2009). 동적조작 환경이 융합된 수학교과과정에서의 교수-학습 과제 사례 분석과 교사의 역할. 대한수학교육학회지 , 제 11권, 제 2호, 281-299.
황우형, 이지연 (2000). 기하판을 활용한 수업의 효과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제 39권, 제 1호, 21-36.
황혜정, 나귀수, 최승현, 박경미, 임재훈, 서동엽(2010).수학교육학신론.서울:문음사.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