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지구통계기법의 지하매질 예측능 및 적용성 비교연구
Comparative Analysis of Subsurface Estimation Ability and Applicability Based on Various Geostatistical Model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19 no.4, 2014년, pp.31 - 44  

안정우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  정진아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  박은규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sent study, a few of recently developed geostatistical models are comparatively studied. The models are two-point statistics based sequential indicator simulation (SISIM) and generalized coupled Markov chain (GCMC), multi-point statistics single normal equation simulation (SNESIM), and obj...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a). 도메인을 구성하는 두 가지매질은 범람원을 이루는 이질층(매질1)과 하도를 이루는 사질층(매질2)이며, 본 연구에서는 하도를 이루는 사질층의 구조를 주요 예측 목표로 설정하였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체의 흐름에 의한 하도의 변천과정을 고려하여 하도의 형태적 예측에 중점을 둔 FLUVSIM 모델을 통해 총 14개의 하도를 200 m × 200 m × 4 m의 3차원 공간에 구성하고 이를 상호 2 m 씩 중첩하여 총 30 m의 수직적 분지 분포를 구성하였다.
  • 그러므로 각각의 셀에 대한 매질 예측의 정확 혹은 부정확을 정량적으로 나타낼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 주요 예측 구조로 설정한 하도와 같이 연속성을 지니는 구조의 공간적 분포 및 연결성 정도를 판별하는 척도로는 부족한 부분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구통계기법들의 예측능을 평가하기 위한 또 다른 척도로 지하수 유동 모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가상 도메인과 예측 도메인의 수위분포를 비교하여 매질의 주요 투수성 구조인 하도의 연속성 및 연결성을 분석하였다. 앞서 설정한 가상 도메인에서 설정한 매질별 수리전도도 및 비저유계수 값에 근거하여 MODFLOW 입력자료 중 수평 및 수직 수리전도 도와 비저유계수 값을 구성하였으며 각 모델별 100개의 단일 재현에 모두 지하수 유동모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구통계기법의 예측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하성퇴적환경을 고려한 가상의 3차원 모델을 설정하여 보어홀 자료를 획득한 후, 다양한 지구통계기법을 적용하여 이들의 예측능 및 적용성을 상호 비교 하였다. 다양한 지구통계기법들의 예측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지구통계기법을 통해 획득한 예측도메인의 매질 부합성 분석과 지하수 유동 모사를 통한 유체 흐름의 부합성 분석을 각각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개발된 비정규(non-stationary) 지구 통계기법들의 예측능을 정량적으로 비교·평가하기 위하여 하성 퇴적환경을 고려한 가상의 3차원 분지모델을 개발하였다.
  • 그러나 제한된 야외 측정 자료에서 신뢰성 및 효율성이 있는 건전한 예측을 위해서는 가장 적합한 지하예측 모델의 선정은 필수적이며 다양한 지구 통계 예측기법 간의 종합적인 상호비교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하성 퇴적환경을 고려한 가상의 3차원 분지에 대하여 SISIM, GCMC, SNESIM 및 FLUVSIM 모델을 적용하고 각 모델들의 상대적 예측능 및 적용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각 추계론적 모델들의 상호 비교를 위하여 각 모델의 다중재현으로 얻은 앙상블 확률 분포도와 가상의 3차원 도메인과의 매질분포 유사성 및 각 모델을 통하여 얻어진 재현에 기초하여 지하 유체 흐름의 유사성을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각 매질별 분포비율은 85.35%(매질1), 9.17%(매질2), 5.48%(매질3)이고 각 매질별 수리전도도 값은 0.001 m/d(매질1), 0.1 m/d(매질2), 0.02 m/d(매질3)로 가정하였고, 또한 각 매질의 비저유계수는 1 × 10−6m−1(매질1), 1 × 10−4m−1(매질2), 2 × 10−5m−1(매질3)로 가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개발된 비정규(non-stationary) 지구 통계기법들의 예측능을 정량적으로 비교·평가하기 위하여 하성 퇴적환경을 고려한 가상의 3차원 분지모델을 개발하였다. 고려된 하성 퇴적환경은 사행하도(meandering channel)에 의해 형성된 분지로 하도는 만곡 형태의 불규칙한 기하를 지니고 있으며 유체의 흐름에 의해 파동의 진폭이 증가 혹은 감소하며 도랑 잘림(chute cut-off) 및 잘록목 잘림(neck cut-off) 등을 통해 하천이 유기되는 등하도의 기하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함을 가정하였다(Walker, 1976). 또한 지구조운동에 의해 퇴적분지에 침강이 있을 경우 하성퇴적이 수직적으로 누적되기도 하며 침강이 없을 경우 유체 흐름에 의한 하도의 수평적 이동이 발생하기도 한다.
  • 이러한 자료는 정밀한 현장조사, 유사한 환경의 현생 하도에 대한 항공사진 자료, 3차원 지구물리 탐사 등을 통해 획득할 수 있으나 이에는 많은 자원이 소모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단순화하여 위와 같은 자료가 기확보된 것으로 가정하였다. 따라서 3차원 트레이닝 이미지 제작을 위하여 가상의 3차원 분지 모델에서 추출한 64개의 보어홀 자료에 근거하여 객체기반 모델인 FLUVSIM 을 통해 200 m × 200 m × 4 m 도메인에 14개의 하도를 만들어 가상 분지모델 제작과 동일한 방법으로 트레이닝 이미지를 획득하여 SNESIM 모델 및 FLUVSIM 모델의 입력자료로 활용하였다.
  •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첫 번째 가상 모델은 수평 방향으로 200 m × 200 m, 수직 방향으로 30 m의 디멘젼을 가지는 3차원의 공간을 1m × 1 m × 1 m 크기의 셀로 균등 차분하여 200 × 200 × 30개의 셀로 이루어진 도메인을 설정하였으며 두 가지의 서로 다른 매질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다(Fig. 1a).
  • 지구통계 예측모델의 입력 자료로 사용하게 될 보어홀은 획득 정보의 치우침(biasedness)이 없도록 전체 도메인을 25 m × 25 m로 균등 차분하여 총 64개의 구역에서 임의 위치에서 추출하였으며 분지 전체 심도인 30 m의 보어홀을 가정하였다.
  • 첫 번째 가상도메인에서 설정한 두 가지 매질의 분포비율은 85.35% (매질1-이질 범람원) 및 14.65%(매질2-사질 하도)이며, 각매질의 수리전도도 값은 0.001 m/d(매질1), 0.1 m/d(매질2) 로 가정하였고, 비저유계수는 1 × 10−6m−1(매질1), 1 × 10−4 m−1(매질2)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하공간에 대한 정밀한 예측이 필요시 되는 이유는?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지하로부터 획득된 자료를 기초로 보다 정밀한 정량적 예측을 시행하고자 하는 노력이 보편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Jeong and Park, 2013). 그러나 최근 들어 석유나 천연가스와 같은 전통적 에너지원 개발뿐만 아니라 셰일가스, 셰일오일, 오일샌드등 다양한 비전통 에너지원의 개발, 국내외 광물자원의 탐사 및 개발, 범국가적 지하수 자원의 지속가능한 관리 등 지하공간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과업이 수행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지하공간에 대한 정밀한 예측의 필요성이 점차 고조되고 있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가까운 미래에 국내외에서 예상되는 수요로는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방사성 폐기물 처분부지 선정, 석유 및 가스 지하 비축기지 건설 등 지하 지질 내 저장소 건설 등이 있으며 이를 위한 다양한 연구 사업들이 진행 중에 있다.
전통적 지구통계 모사기법의 두가지 예는? 이 중 지역적 확률분포에 기반을 둔 추계론 기법(stochastic simulation)을 활용하여 예측결과에서 나타날 수 있는 불확실성을 다루고자 한 순차 모사기법(sequential simulation)은 지난 20년 동안 가장 대표적인 방법론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통적 지구통계 모사기법에는 모수(continuous variable)에 기반한 SGSIM(Sequential Gaussian Simulation)과 비모수(discrete variable)에 기반한 SISIM(Sequential Indicator Simulation)이 가장 대표적이다(Goovaerts, 1997; Deutsch and Journel, 1998). SGSIM 모델은 모수 세미배리오그램(semivariogram)과 확률함수(random function)를 활용하여 예측을 시행하나 공간변수의 연속적 분포를 가정하므로 단속적 지질현상을 표현하는데 적합하지 않다.
정규성 및 반대칭의 현상의 예측에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개발과 방법은? 기존의 전통적 기법인 두 지점간의 상관관계에 근거한 지구통계기법 중 세미배리오그램 및 크리깅 기반의 예측 모델에서는 지하공간의 매질 분포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지향적 비정규성 및 반대칭의 현상의 예측에 한계가 있음을 앞서 수차례 언급하였다. 이러한 세미배리오그램 기반 모델의 한계를 극복하기위해 전이확률기반의 모델, 다중 지점간의 상관관계를 고려한 모델 등 다양한 예측모델이 지속적으로 개발 및 발전되어 2차원 및 3차원의 다양한 상황에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지구통계기법들의 예측능 상호비교 및 분석 결과는 예측하고자 하는 지역의 상황에 적합한 예측모델을 선정하는데 있어 중요한 척도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rpat, G.B., 2005, Sequential simulation with patterns, Ph.D. thesis, Stanford University, USA, 166 p. 

  2. Carle, S.F., 1999, T-PROGS: transition probability geostatistical software, Version 2.1, User Manual. Davis, California: Hydrologic Sciences Graduate Group, University of California, USA, 248 p. 

  3. Carle, S.F. and Fogg, G.E., 1996, Transition probability-based indicator geostatistics, Math. Geol., 28(4), 453-477. 

  4. Deutsch, C.V. and Journel, A.G., 1998, GSLIB: Geostatistical Software Library and User's Guide, 2n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369 p. 

  5. Deutsch, C.V. and Tran, T.T., 2002, FLUVSIM: a program for object-based stochastic modeling of fluvial depositional systems, Comput. Geosci., 28, 525-535. 

  6. Deutsch, C.V. and Wang, L., 1996, Hierarchical object-based stochastic modeling of fluvial reservoirs, Math. Geol., 28, 857-880. 

  7. Goovaerts, P., 1997, Geostatistics for Natural Resources Evalu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512 p. 

  8. Hill, M.C., Harbaugh, A.W., Banta, E.R., and McDonald, M.G., 2000, MODFLOW-2000, The U.S. geological survey modular ground-water model-user guide to modularization concepts and the ground-water flow process, U. S. Geol. Survey, 113 p. 

  9. Holden, L., Hauge, R., Skare, O., and Skorstad., 1998, Modeling of fluvial reservoirs with object models, Math. Geol., 30(5), 473-496. 

  10. Hu, L.Y. and Chugunova, T., 2008, Multiple-point geostatistics for modeling subsurface heterogeneity: A comprehensive review, Water Resour. Res., 44(11), W11413. 

  11. Jeong, J. and Park, E., 2013, A Characterization of Oil Sand Reservoir and Selections of Optimal SAGD Locations Based on Stochastic Geostatistical Predictions, Econ. Environ. Geol., 46(4), 313-327. 

  12. Jeong, J., Paudyal, P., and Park, E., 2012, A Preliminary Study of Enhanced Predictability of Non-Parametric Geostatistical Simulation through History Matching Technique, J. Soil Groundw. Environ., 17(5), 56-67. 

  13. Koltermann, C.E. and Gorelick, S.M., 1996, Heterogeneity in sedimentary deposits: A review of structure-imitating, processimitating, and descriptive approaches, Water Resour. Res., 32, 2617-2658. 

  14. Liu, Y., 2006, Using the Snesim program for multiple-point statistical simulation, Comput. Geosci., 32, 1544-1563. 

  15. Park, E., 2010, A multidimensional generalized coupled Markov chain model for surface and subsurface characterization, Water Resour. Res., 46, W11509. 

  16. Park, E., Elfeki, A.M.M., Song, Y., and Kim, K., 2007, Generalized coupled Markov chain model for characterizing categorical variables in soil mapping, Soil Sci. Soc. Am. J., 71, 909-917. 

  17. Remy, N., Alexandre, B., and Jianbing, W., 2009, Applied Geostatistics with SG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264 p. 

  18. Strebelle, S., 2000, Sequential simulation drawing structures from training images, Ph.D. thesis, Stanford University, USA, 187 p. 

  19. Strebelle, S., 2002, Conditional simulation of complex geological structures using multiple-point statistics, Math. Geol., 34(1), 1-22. 

  20. Walker, R.G., 1976, Facies models, 3. sandy fluvial systems, Geosci. Can., 3, 101-1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