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장항제련소 주변 부지 매입구역 비소 오염토양에 대한 중성 인산염 토양세척법의 적용가능성 평가
Applicability of Soil Washing with Neutral Phosphate for Remediation of Arsenic-contaminated Soil at the Former Janghang Smelter Site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19 no.4, 2014년, pp.45 - 51  

임진우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김영진 (삼성물산주식회사 Civil엔지니어링본부 물) ,  양경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남경필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accordance with the view on remediated soil as a resource, this study assessed the applicability of soil washing with the neutral phosphate for remediation of arsenic (As)-contaminated soil. Three soil samples of different land uses (i.e., rice paddy, upland field and forest land) were collec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3a). 본 연구는 (구)장항제련소 주변부지 매입구역 토양을 대상으로 중성 인산염 토양세척법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현장에 적용 가능한 방안을 도출해보고자 수행되었다.
  • 다음으로 인산암모늄의 농도에 따른 토양에서의 비소 추출효율을 확인하였다. 이는 중성 인산염 토양세척법을 현장 토양에 적용하였을 때, 경제적으로 허용 가능한 농도 범위 안에서 법적기준을 만족시키는 효율달성이 가능한지 확인해 보기 위함이었다. 실험결과 대상 농도 범위 내에서는 인산암모늄 농도 증가에 따라 비소 추출효율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Fig.
  • 5 mg/kg으로 예측되며, 이는 각 지역의 우려기준을 초과하는 결과이다.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즉, 충분한 접촉 및 교반시간을 확보하고자) 설계적인 측면에서 비소 오염토양과 세척액을 혼합하여 하루 동안 수침 적치 후 세척하는 방법과 반복세척하는 방법을 테스트해보았다.
  • 중성 인산염 세척제 중 가장 높은 비소 추출효율을 나타내는 세척제를 찾기 위해 1가 양이온과 결합한 인산염 세척제를 대상으로 확인해 보았다. 그 결과 인산암모늄 (NH4H2PO4)이 가장 높은 효율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소는 무엇인가? 비소는 독성이 강한 물질로 국제 암 연구소(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에서 지정한 1급 발암물질이다. 비소의 토양오염은 일반적으로 폐광산, 지정폐기물 매립지, 제련소 부근에서 문제시 되어왔으며 비소는 토양을 통한 직접 노출뿐만 아니라 지하수로의 유출 혹은 농작물로의 전이를 통해 인체와 생태계에 위해를 끼칠 수 있다(Jeon et al.
비소 오염토양에 대한 정화 방법으로 한국에서 미국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비소 오염토양에 대한 정화는 미국의 경우 대부분이 고형화/안정화공법과 폐기물 처리를 함께 적용하고 있으며 일부 토양세척법, 동전기공법, 식물상정화공법 등이 사용되었다(USEPA, 2002). 한국의 경우 현행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에서 토양 내 중금속 분석 시 왕수 추출법을 사용하므로 고형화/안정화공법 사용이 불가하고, 폐기물 처리의 경우는 원위치 처리를 우선시 하는 토양환경보전법의 근본 취지와 토양을 자원으로 인식하는 관점에서 적절하지 못하다. 현재 국내에서 비소 오염토양 처리를 위해 토양세척법, 동전기공법, 열탈착공법, 식물상정화공법 등이 연구되고 있으나 실제 현장적용 사례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Jeong et al.
중성 인산염을 이용하여 토양세척을 하였을 경우 산 세척과 다른 점은 무엇인가? 중성 인산염을 이용하여 토양세척을 하였을 경우 기존 산 세척과 달리 정화효율 확보와 동시에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보존할 수 있어 정화토의 적극적인 재사용이 가능할 것이며 인산이 비료성분이기도 하여 토양의 보비력 향상도 기대해 볼 수 있다(Alam et al.,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lam, M.G.M., Tokunaga, S., and Maekawa, T., 2001, Extraction of arsenic in a synthetic arsenic-contaminated soil using phosphate, Chemosphere, 43(8), 1035-1041. 

  2. Alam, M.G.M., Tokunaga, S., and Stagnitti, F., 2007, Removal of arsenic from contaminated soils using different salt extractants, J. Environ. Sci. Health, Part A: Toxic/Hazard. Subst. Environ. Eng., 42(4), 447-451. 

  3. Baek, K., Kim, D.H., Seo, C.I., Yang, J.S., and Lee, J.Y., 2007, Remediation of Pb-contaminated soil by soil washing using hydrochloric acid, J. Soil Groundw. Environ., 12(3), 17-22. 

  4. Bohn, H.L., Mcneal, B.L., and O'connor, G.A., 2001, Soil Chemistry, John Wiley & Sons, INC., USA, 213 p. 

  5. Dermont, G., Bergeron, M., Mercier, G., and Richer-Lafleche, M., 2008, Soil washing for metal removal: a review of physical/chemical technologies and field applications, J. Hazard. Mater., 152(1), 1-31. 

  6. Hongshao, Z. and Stanforth, R., 2001, Competitive adsorption of phosphate and arsenate on goethite, Environ. Sci. Technol., 35(24), 4753-4757. 

  7. Jeon, B., Kim, S., Lee, S., and Jung, W., 2008, Technology trends of remediation of arsenic-contaminated soil and groundwater, Min. Hazards Prev. Reclam., 2(1), 3-13. 

  8. Jeong, S., An, J., Kim, Y.J., Kim, G., Choi, S.I., and Nam, K., 2011, Study on heavy metal contamination characteristics and plant bioavailability for soils in the Janghang smelter area, J. Soil Groundw. Environ., 16(1), 42-50. 

  9. Kim, J.Y., 2011a, Characteristics of thermal desorption (TD) and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SWE) for As-contaminated soil, Hanyang University, Seoul, 94-98. 

  10. Kim, J.Y., Kim, H.Y., and Kim, S.M., 2011b, Method for Remediating Soil Contaminated by Arsenic using Thermal Desorption and Chemical Washing, KR 10-2011-0049185. 

  11. Klute, E.A., 1986, Methods of Soil Analysis. Part 1. Physical and Mineralogical Methods American Society of Agronomy-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12. KMOE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2013a, Official Test Methods of Soil Quality, 2013-113/2000000025462. 

  13. KMOE, 2013b, Survey Results on Contamination of Soil in Monitoring Network, 11-1480000-000669-10. 

  14. Moon, S.Y., Oh, M.A., Jung, J.K., Choi, S.I., and Lee, J.Y., 2011, Assessment of soil washing efficiency for arsenic contaminated site adjacent to Jang hang refinery, J. Soil Groundw. Environ., 16(1), 71-81. 

  15. Park, G.Y., Kim, W.S., Kim, D.H., Yang, J.S., and Baek, K., 2013, Evaluation of electrolyte and electrode spacing for application of electrokinetic remediation, J. Soil Groundw. Environ., 18(1), 6-15. 

  16. Seo, S.K., Lee, S.H., Son, J.H., and Chang, Y.Y., 2008, Application of a full scale soil washing process for the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oil around an abandoned mine, J. Soil Groundw. Environ., 13(2), 70-75. 

  17. Sharpley, A., 2006, Agricultural Phosphorus Management: Protecting Production and Water Quality, MidWest Plan Service, USA, 10 p. 

  18. Sparks, D.L., 1996, Methods of Soil Analysis. Part 3. Chemical Methods American Society of Agronomy-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19. Tokunaga, S. and Hakuta, T., 2002, Acid washing and stabilization of an artificial arsenic-contaminated soil, Chemosphere, 46(1), 31-38. 

  20. USEPA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96, Microwave Assisted Acid Digestion of Siliceous and Organically Based Matrices, EPA/3052/SW-846. 

  21. USEPA, 2002, Arsenic Treatment Technologies for Soil Waste and Water, EPA/542/R/02/004. 

  22. Wenzel, W.W., Kirchbaumera, N., Prohaskab, T., Stingeder, G., Lombic, E., and Adrianod, D.C., 2001, Arsenic fractionation in soils using an improved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 Anal. Chim. Acta, 436, 309-323. 

  23. Yang, J.S., Hwang, J.M., Baek, K., and Kwon, M.J., 2013a, Soil washing and effluent treatment for contaminated soil with toxic metals, Korean Chem. Eng. Res., 51(6), 745-754. 

  24. Yang, K., Jeong, S., Im, J., and Nam, K., 2013b, Incorporation of arsenic form and bioaccessibility into risk assessment and remedial decision in the As-contaminated formersmelting activity impacted soil, Proceedings of 2013 International Symposium and Asian Network on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Korean Soc. Soil Groundw. Environ., Jeju, p. 16-17. 

  25. Yi, Y.M., Oh, C.T., Kim, G.J., Lee, C.H., and Sung, K.J., 2012,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according to soil remediation methods, J. Soil Groundw. Environ., 17(4), 36-43. 

  26. Yi, Y.M., Kim, G.J., and Sung, K.J., 2013, Effects of soil remediation methods on the biological properties of soils, J. Soil Groundw. Environ., 18(3), 73-8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