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장항제련소 주변 송림산림욕장 지역 비소 오염토양의 철산화물을 이용한 비소 안정화 공법 적용 가능성 평가
Applicability of Stabilization with Iron Oxides for Arsenic-Contaminated Soil at the Forest Area near the Former Janghang Smelter Site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21 no.6, 2016년, pp.14 - 21  

양경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환경평가본부) ,  김병철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유기현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남경필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d the applicability of stabilization of arsenic (As)-contaminated soil with iron (Fe) oxides at the former Janghang smelter site. Three Fe oxides (magnetite, goethite, and hematite) were tested as stabilizing agents to one soil sample collected from the study site. Amendment of 5%...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비소로 오염된 (구)장항제련소 주변 매입구역 내 송림산림욕장 부지에 대해 철산화물을 이용한 비소 안정화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철산화물의 종류, 주입량, 반응기간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여 해당 지역의 여러 토양 시료에 대해 비소 안정화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가설 설정

  • 송림산림욕장은 향후 생태복합단지 등으로 이용될 예정이므로, 여가지역에서의 수용체와 노출경로를 가정하여 위해도를 산정하였다. 노출경로는 Fig. 1의 Conceptual SiteModel(CSM)과 같이 토양섭취, 토양접촉, 비산먼지흡입 등의 직접적인 노출경로만 가정하였다.
  • 송림산림욕장은 향후 생태복합단지 등으로 이용될 예정이므로, 여가지역에서의 수용체와 노출경로를 가정하여 위해도를 산정하였다. 노출경로는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소의 특징은? 비소는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USEPA,2015)와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2015)에 의해 확인된 인체 발암물질로 독성이 매우 높아, 비소 오염토양에 대한 관리가 중요하다. 비소 오염 부지에 대한 정화 기술로는 토양 세척, 동전기, 식물상 정화, 안정화 등의 공법이 적용될 수 있다.
철산화물을 이용한 비소 안정화 공법을 통해 (구)장항제련소 매입구역의 송림산림욕장 지역에서 비소의 인체 위해도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이유는? 비소로 오염된 (구)장항제련소 매입구역 중 송림산림욕장 지역에서 철산화물을 이용한 비소 안정화의 효율을 평가하고, 위해성평가를 수행하여 비소 안정화로 인한 위해도 저감 효과를 확인하였다. 5% magnetite를 토양에 주입하고 1주간 반응시켰을 때, 송림산림욕장 지역에서 SBRC 방법으로 추출되는 비소가 평균 72% 가량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연구 대상 부지에서 현재 비소로 인한 인체 발암위해도는 1.7×10−5이었는데, 5% magnetite를 이용한 안정화를 적용할 경우, 발암위해도는 8.1×10−6으로 저감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따라서 철산화물을 이용한 비소 안정화 공법을 통해 (구)장항제련소 매입구역의 송림산림욕장 지역에서 비소의 인체 위해도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에서 안정화 공법의 적용이 불가능한 실정인 이유는? 미국의 Superfund 부지들에서는 62개 부지 중 45개 부지에서 안정화 공법이 이용될 정도로, 안정화 공법이 비소 오염 토양 정화를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USEPA, 2002). 우리나라에서는 중금속에 대한 토양오염기준이 왕수를 이용한 전함량법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안정화 공법의 적용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하지만 환경부(Korea Ministry of Environment)의 토양환경보전법 제15조5(KMOE, 2015b)와 토양오염물질위해성평가 지침(KMOE, 2015a)에 따르면, 위해성평가 수행 결과를 토양정화의 시기, 범위 및 수준 등에 반영할 수 있으므로 안정화 공법이 위해도 저감 방안의 일환으로 적용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car, Y.B., Gale, R.J., Alshawabkeh, A.N., Marks, R.E., Puppala, S., Bricka, M., and Parker, R., 1995, Electrokinetic remediation: Basics and technology status, J. Hazard. Mater., 40(2), 117-37. 

  2. Catalano, J.G., Park, C., Fenter, P., and Zhang, Z., 2008, Simultaneous inner-and outer-sphere arsenate adsorption on corundum and hematite, Geochim. Cosmochim. Acta, 72(8), 1986-2004. 

  3. CCME (Canadian Council of Ministers of the Environment), 2006, A Protocol for the Derivation of Environmental and Human Health Soil Quality Guidelines. 

  4. Cheng, H., Hu, Y., Luo, J., Xu, B., and Zhao, J., 2009, Geochemical processes controlling fate and transport of arsenic in acid mine drainage (AMD) and natural systems, J. Hazard. Mater., 165(1-3), 13-26. 

  5. Dermont, G., Bergeron, M., Mercier, G., and Richer-Lafleche, M., 2008, Metal-contaminated soils: Remediation practices and treatment technologies, Pract. Period. Hazard., Toxic, Radioact. Waste Manage., 12(3), 188-209. 

  6. Dixit, S. and Hering, J.G., 2003, Comparison of arsenic (v) and arsenic (iii) sorption onto iron oxide minerals:Implications for arsenic mobility, Environ. Sci. Technol., 37(18), 4182-9. 

  7. Evans, R.O., 2003, Water Table Management, In: Heldman, D.R. (Ed.), Encyclopedia of Agricultural, Food, and Biological Engineering, Marcel Dekker, New York. 

  8. Fendorf, S., Eick, M.J., Grossl, P., and Sparks, D.L., 1997, Arsenate and chromate retention mechanisms on goethite. 1. Surface structure, Environ. Sci. Technol., 31(2), 315-20. 

  9. Goldberg, S. and Johnston, C.T., 2001, Mechanisms of arsenic adsorption on amorphous oxides evaluated using macroscopic measurements, vibrational spectroscopy, and surface complexation modeling, J. Colloid Interface Sci., 234(1), 204-16. 

  10. Hartley, W. and Lepp, N.W., 2008a, Effect of in situ soil amendments on arsenic uptake in successive harvests of ryegrass (Lolium perenne cv Elka) grown in amended As-polluted soils, Environ. Pollut., 156(3), 1030-40. 

  11. Hartley, W. and Lepp, N.W., 2008b, Remediation of arsenic contaminated soils by iron-oxide application, evaluated in terms of plant productivity, arsenic and phytotoxic metal uptake, Sci. Total Environ., 390(1), 35-44. 

  12. Health Canada, 2004, Federal Contaminated Site Risk Assessment in Canada Part I: Guidance on Human Health Preliminary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PQRA). 

  13. KECO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2008, Detailed Soil Survey Report for Former Janahang Smelter Area. 

  14. KECO, 2013, Detailed Soil Survey Report for Purchased Area of Former Janahang Smelter Area. 

  15. Kelley, M.E., Brauning, S., Schoof, R., and Ruby, M., 2002, Assessing Oral Bioavailability of Metals in Soil, Battelle Press, Columbus, OH, 124 p. 

  16. Kim, K.-R., Lee, B.-T., and Kim, K.-W., 2012, Arsenic stabilization in mine tailings using nano-sized magnetite and zero valent iron with the enhancement of mobility by surface coating, J. Geochem. Explor., 113, 124-9. 

  17. KMOE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2007, Korean Exposure Factors Handbook. 

  18. KMOE, 2013, Official Test Methods of Soil Quality, 2013-113. 

  19. KMOE, 2014, Official Air Pollution Test Method, 2014-9. 

  20. KMOE, 2015a, Soil Contaminant Risk Assessment Guidance, 2015-64. 

  21. KMOE, 2015b,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13533. 

  22. Ko, M.-S., Kim, J.-Y., Lee, J.-S., Ko, J.-I., and Kim, K.-W., 2013, Arsenic immobilization in water and soil using acid mine drainage sludge, Appl. Geochem., 35, 1-6. 

  23. Kumpiene, J., Ore, S., Renella, G., Mench, M., Lagerkvist, A., and Maurice, C., 2006, Assessment of zerovalent iron for stabilization of chromium, copper, and arsenic in soil, Environ. Pollut., 144(1), 62-9. 

  24. Kumpiene, J., Ragnvaldsson, D., Lovgren, L., Tesfalidet, S., Gustavsson, B., Lattstrom, A., Leffler, P., and Maurice, C., 2009, Impact of water saturation level on arsenic and metal mobility in the Fe-amended soil, Chemosphere, 74(2), 206-15. 

  25. Manning, B.A., Hunt, M.L., Amrhein, C., and Yarmoff, J.A., 2002, Arsenic (III) and arsenic (v) reactions with zerovalent iron corrosion products, Environ. Sci. Technol., 36(24), 5455-61. 

  26. Mench, M., Vangronsveld, J., Clijsters, H., Lepp, N.W., and Edwards, R., 2000, In situ metal immobilisation and phytostabilisation of contam-inated soils, In: Terry, N., Banuelos, G. (Eds.), Phytoremediation of contaminated soil and water, Lewis Publishers, Boca Raton, FL. 

  27. Mench, M., Bussiere, S., Boisson, J., Castaing, E., Vangronsveld, J., Ruttens, A., De Koe, T., Bleeker, P., Assun ao, A., and Manceau, A., 2003, Progress in remediation and revegetation of the barren Jales gold mine spoil after in situ treatments, Plant Soil, 249(1), 187-202. 

  28. Nielsen, S.S., Petersen, L.R., Kjeldsen, P., and Jakobsen, R., 2011, Amendment of arsenic and chromium polluted soil from wood preservation by iron residues from water treatment, Chemosphere, 84(4), 383-9. 

  29. RIVM (Netherlands National Institute for Public Health and the Environment), 2007, CSOIL 2000: An Exposure Model for Human Risk Assessment of Soil Contamination, Laboratory for Ecological Risk Assessment, 711701054/2007. 

  30. Sherman, D.M. and Randall, S.R., 2003, Surface complexation of arsenic (V) to iron (III) (hydr) oxides: structural mechanism from ab initio molecular geometries and EXAFS spectroscopy, Geochim. Cosmochim. Acta, 67(22), 4223-30. 

  31. Shipley, H., Engates, K., and Guettner, A., 2011, Study of iron oxide nanoparticles in soil for remediation of arsenic, J. Nanopart. Res., 13(6), 2387-97. 

  32. USEPA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92, Guidelines for Exposure Assessment, Risk Assessment Forum, Washington, DC, USA, EPA/600/Z-92/001. 

  33. USEPA, 2002, Arsenic Treatment Technologies for Soil, Waste, and Water, Washington, DC, USA, EPA/542/R-02/004. 

  34. USEPA, 2004, Risk Assessment Guidance for Superfund (RAGS), Volume I: Human Health Evaluation Manual (Part E, Supplemental Guidance for Dermal Risk Assessment), Office of Superfund Remediation and Technology Innovation, Washington, DC, USA, EPA/540/R-99/005. 

  35. USEPA, 2011, Exposure Factors Handbook, Offi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Washington, DC, USA, EPA/600/R-09/052F. 

  36. USEPA, 2013, ProUCL 5.0 software, available at http://www.epa.gov/osp/hstl/tsc/software.htm. 

  37. USEPA, 2015, Integrated Risk Information System (IRIS), available at http://www.epa.gov/iris/. 

  38. US Navy, 2010, Description of NZVI, available at https://portal.navfac.navy.mil/portal/page/portal/navfac/navfac_ww_pp/navfac_nfesc_pp/environmental/erb/nzvi. 

  39. Voegelin, A. and Hug, S.J., 2003, Catalyzed oxidation of arsenic (iii) by hydrogen peroxide on the surface of ferrihydrite:An in situ ATR-FTIR Study, Environ. Sci. Technol., 37(5), 972-8. 

  40.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5, Agents classified by the IARC monographs, available at http://monographs.iarc.fr/ENG/Classific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