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보보호 기술 및 국제표준화 동향(ITU-T SG17) 원문보기

情報保護學會誌 = KIISC review, v.24 no.4, 2014년, pp.7 - 14  

염흥열 (순천향대학교 정보보호학과) ,  오흥룡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표준화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UN 산하에 신설된 국제기구로써, 산하에 전기통신표준화부문(ITU-T), 전기통신개발부문(ITU-D), 그리고 전파통신 부문(ITU-R) 등의 3개의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ITU-T에서는 역할과 임무에 따라 10개의 연구반 (SG, study group)으로 나눈다. 이중 연구반 17(SG 17)은 ITU-T에서 정보보호 국제표준화를 주로 담당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제전기통신연합 내에서 정보보호 국제표준화를 추진하는 ITU-T SG17(정보보호) 활동의 근거를 제공하는 상위수준 회의 (ITU 전권회의, 세계정보통신표준총회)의 주요 결의를 살펴보고, ITU-T의 두 가지 권고채택과정을 분석하며, ITU-T SG17에서 대두되고 있는 주요 표준화 이슈에 대해 제시한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연구회기(2013~2016) 동안 SG17의 국제 표준 추진의 근거가 되는 ITU 상위수준 회의 관련 결의의 내용을 분석했다. 또한, 권고 채택을 위한 두 가지 채택과정을 분석했다.
  • 또한, 권고 채택을 위한 두 가지 채택과정을 분석했다. 현재 SG17 표준화 이슈중 한국주도로 추진되고 있거나 산업적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몇 가지 주제에 대한 이슈를 분석하고 향후 대응 방안을 살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ITU-T 권고 채택 과정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ITU-T 권고 채택 과정은 기존채택과정(TAP, traditional approval procedure)[6]과 대체채택과정(AAP, alternative approval procedure)[13] 등으로 구분되다. SG 회의에서는 개발 중인 권고가 충분하게 완성도가 있다고 판단되면, 권고채택을 위한 마지막 과정을 개시할 수 있다.
국제전기통신연합은 어떤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UN 산하에 신설된 국제기구로써, 산하에 전기통신표준화부문(ITU-T), 전기통신개발부문(ITU-D), 그리고 전파통신 부문(ITU-R) 등의 3개의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ITU-T에서는 역할과 임무에 따라 10개의 연구반 (SG, study group)으로 나눈다.
ITU-T에서 SG 17은 무엇을 개발하고 있는가? ITU-T에는 역할과 임무에 따라 10개의 연구반(SG, study group)이 존재한다[1],[2]. 이중 SG 17은 정보보호분야의 국제표준을 개발하고 있다[2]. 본 논문에서는 국제 표준을 권고(Recommendation) 또는 국제표준으로 혼용해 사용한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ITU-T 홈페이지, http://www.itu.int 

  2. 오흥룡, 김영화, 염흥열, "ITU-T SG17 국제표준화 동향 및 향후 전망" 정보보호학회지, v.23, no.3, 2013.06. 

  3. ITU Plenipotentiary Conference : PP-10, http://www.itu.int/plenipotentiary/2010/ 

  4. ITU PP-10, Final acts of the plenipotentiary conference (Guadalajara, 2010), http://www.itu. int/dms_pub/itu-s/oth/02/01/S020100003A4002P DFE.pdf 

  5. WTSA-12, http://www.itu.int/en/ITU-T/wtsa12/ ages/efault.aspx 

  6. WTSA-12, Resolution 1 -Rules of procedure of the ITU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7. WTSA-12, Resolution Resolution 2 -ITU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study group responsibility and mandates 

  8. WTSA-12, Resolution 40 -Regulatory aspects of the work of the ITU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9. WTSA-12, Resolution 50 -Cybersecurity 

  10. WTSA-12, Resolution 52 -Countering and combating spam 

  11. WTSA-12, Resolution 58 -Encouraging the creation of national computer incident response teams, particularly for developing countries 

  12. Recommendation ITU-T A.1(2012), Working methods for study groups of the ITU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13. Recommendation ITU-T A.8(2008), Alternative approval process for new and revised ITU-T Recommendations 

  14. ITU-T SG17 TD31/R1, "Report of Working Party 1/17, Fundamental security", 17-26 April 2013. 

  15. ITU-T SG17 TD32/R1, "Report of Working Party 2/17, Network and information security", 17-26 April 2013. 

  16. ITU-T SG17 TD33/R5, "Report of Working Party 3/17, Identity management and cloud computing security", 17-26 April 2013. 

  17. ITU-T SG17 TD68/R1, "Report of Working Party 4/17, Application Security", 17-26 April 2013. 

  18. ITU-T SG17 TD69/R5, "Report for WP 5/17 plenary", 17-26 April 2013. 

  19. ITU-T SG17 TD 1118, Report of Q3/17 interim Rapporteur group meeting (25 -26 June 2014, Seoul, Korea (Republic of)), 2014. 

  20. ITU-T SG17 TD 1120 Rev.1, Report of Q6/17 interim Rapporteur group meeting (24 -26 June 2014, Seoul, Korea (Republic of)), 2014. 

  21. ITU-T SG17 TD 1238, Report of joint Q2/17 and Q6/17 interim Rapporteur group meeting on SDN Security (25 June 2014, Seoul, Korea (Republic of)),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