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에 서식하는 딱다구리목 드러밍의 생물음향학적 특성 연구
Drumming bioacoustics of woodpeckers in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8 no.4, 2014년, pp.404 - 410  

기경석 (상지대학교 친환경식물학부 원예조경학전공) ,  홍석환 (부산대학교 조경학과) ,  김지연 (상지대학교 대학원 응용식물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딱다구리류의 드러밍 음향특성 분석을 위해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대표적 딱다구리를 크기별로 대형, 중형, 소형으로 구분, 까막딱다구리, 오색딱다구리, 쇠딱다구리 3종을 대상으로 드러밍 소리를 녹음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는 강원도 원주시 치악산국립공원 구룡사계곡과 상지대학교 캠퍼스와 접한 산림이었다. 드러밍 녹음은 조사경로를 따라 걸으며 딱다구리의 드러밍 소리가 나면 해당 지역으로 찾아가 쌍안경으로 종을 확인하고 녹음을 실시하였다. 회당 평균 드러밍 시간은 까막딱다구리 1.614초, 오색딱다구리 0.683초, 쇠딱다구리 0.200초이었다. 드러밍 동안 평균 두드림은 까막딱다구리는 31.2회, 오색딱다구리 14.9회, 쇠딱다구리 6.7회이었다. 두드림 속도는 까막딱다구리 19.3회/초, 오색딱다구리 21.8회/초, 쇠딱다구리 33.3회/초이었다. 드러밍 우점 주파수는 까막딱다구리 776.9Hz, 오색딱다구리 1,213.8Hz, 쇠딱다구리 826.0Hz이었다. 드러밍 음향특성에 대해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유의수준 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딱다구리의 생체량이 클수록 드러밍 시간이 길고, 두드림 회수 또한 많았다. 두드림 속도는 크기가 작을수록 빨라 종별 몸체의 크기에 따른 드러밍 특성이 명확히 구분되었다. 두드림 우점 주파수는 중간 크기의 오색딱다구리가 높고, 까막딱다구리와 쇠딱다구리가 비슷하게 나타나 크기별로 뚜렷한 경향은 없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drumming bioacoustics of three woodpeckers typical to South Korea. The targeted species were, from largest to smallest in size, the Black Woodpecker(Dryocopus martius), the Great Spotted Woodpecker(Dendrocopos major) and the Japanese Pygmy Woodpecker(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1).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서식이 확인된 딱다구리 11종(Kwon et al, 2012) 중 크기가 확연히 다른 까막딱다구리, 오색딱다구리, 쇠딱다구리 3종을 대상으로 이들의 드러밍 음향특성을 밝혀 딱다구리목의 생물음향학적 특성 이해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크기별로 대형, 중형, 소형으로 구분, 까막딱다구리, 오색딱다구리, 쇠딱다구리 3종을 대상으로 딱다구리류의 드러밍 음향특성 분석한 결과는? 드러밍 녹음은 조사경로를 따라 걸으며 딱다구리의 드러밍 소리가 나면 해당 지역으로 찾아가 쌍안경으로 종을 확인하고 녹음을 실시하였다. 회당 평균 드러밍 시간은 까막딱다구리 1.614초, 오색딱다구리 0.683초, 쇠딱다구리 0.200초이었다. 드러밍 동안 평균 두드림은 까막딱다구리는 31.2회, 오색딱다구리 14.9회, 쇠딱다구리 6.7회이었다. 두드림 속도는 까막딱다구리 19.3회/초, 오색딱다구리 21.8회/초, 쇠딱다구리 33.3회/초이었다. 드러밍 우점 주파수는 까막딱다구리 776.9Hz, 오색딱다구리 1,213.8Hz, 쇠딱다구리 826.0Hz이었다. 드러밍 음향특성에 대해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유의수준 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딱다구리의 생체량이 클수록 드러밍 시간이 길고, 두드림 회수 또한 많았다. 두드림 속도는 크기가 작을수록 빨라 종별 몸체의 크기에 따른 드러밍 특성이 명확히 구분되었다. 두드림 우점 주파수는 중간 크기의 오색딱다구리가 높고, 까막딱다구리와 쇠딱다구리가 비슷하게 나타나 크기별로 뚜렷한 경향은 없었다.
야생조류의 음향 신호는 어떤 역할을 하나? 음향 신호는 필요시 효율적으로 대량의 정보를 장거리로 전송할 수 있는 이상적인 방법이다. 야생조류의 음향 신호는 영역 알림, 구애, 위협 경고, 어미와 새끼의 상호 작용 등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Kumar, 2003), 많은 영역성 조류들의 장거리 음향신호는 영역방어와 배우자 유인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Catchpole and Slater, 2008).
드러밍이란? , 2001). 드러밍은 나무구멍을 만들거나 먹이를 찾는 것과 달리 빠르고 반복적으로 물체를 부리로 두드려 소리를 내는 일련의 행동인데(Bent, 1939; Pynnonen, 1939; Short, 1974), 신호를 생성하는데 부리 이외에 별도의 기판(나무 줄기 등)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특별하다(Skutch, 198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ent, A.C.(1939) Life histories of North American woodpeckers. U.S. Natl. Mus. Bull, 174pp 

  2. Brackenbury, J.(1982) The structural basis of voice production and its relationship to sound characteristics, 53-73. In D. Kroodsma and E. Miller [EDS.], Acoustic communication in birds. Vol. 1. Academic Press, New York. 

  3. Catchpole, C.K. and P.J.B. Slater(2008) Bird song: Biological themes and vari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35pp 

  4. Crockett, A.B.(1975) Ecology and behavior of the Williamson's Sapsucker in Colorado. Ph.D. diss., Univ. Colorado, Boulder, CO. 126pp 

  5. Dodenhoff, D.J., R.D. Stark, E.V. Johnson(2001) Do Woodpecker drums encode information for species recognition? The Condor 103:143-150. 

  6. Duncan, S.(1990) AUDITORY COMMUNICATION in BREEDING NORTHERN FLICKERS(Colaptes auratus). Ph.D. diss., Univ. Wisconsin, Milwaukee, WI. 

  7. Fujita, M., K. Kawakami, H. Higuchi(2007) Hopping and climbing gait of japanese Pygmy Woodpeckers(Picoides Kizuki). Comparative Biochemistry and Physiology, Part A 148: 802-810. 

  8. Hong, S.H., J.S. Kim, K.S. Ki, S.G. Park, K. Kurosawa(2013) Woodpeckers Appearance and Forest Vegetation Type in Urban Forests of Seoul Area, Korea. Journal of the Faculty of Agriculture, Kyushu University, 58(2): 253-258. 

  9. Kim, M., H.Y. Kim, T.W. Kang(2011) Bird Distribution and Human Disturbance on Woodpeckers in Dulegil of Bukhansan National Park.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2(2): 75-79. 

  10. Kim, S.H., J.H. Kim, W.H. Her, H.K. Oh(2012) The endangered bird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184pp (in Korean) 

  11. Kim, J.s.(2013)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sejinsa, 777pp (in Korean) 

  12. Kumar, A.(2003) Acoustic Communication in Birds. Resonance 8(6): 44-55. 

  13. Kwon, Y.S., S.K. Jeon, J.W. Seol, I.G. Kim(2012) Breening Status of the Black Woodpecker(Dryocopus martius) in Gayasan National Park. Journal of Forest Science, 28(4): 290-29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Lawrence, L. DE K.(1967) A comparative life-history study of four species of woodpeckers. Ornithol. Monogr. 5. 

  15. Lee, W.S., T.H. Koo, J.Y. Park(2000) A field guide to the birds of korea. LG Foundation, 320pp (in Korean) 

  16. Pynnonen, A.(1939) Beitrage zur Kenntnis der Biologie finnischer Spechte. Ann. Zool. Soc. Zool. Bot. Fenn. Vanamo 7: 1-166. 

  17. Short, L.(1974) Habits and interactions of North American Threetoed Woodpeckers (Picoides arcticus and Picoides tridactylus). Am. Mus. Novitates 2547: 1-42. 

  18. Skutch, A.F.(1985) Life of the woodpecker. Ibis Publ., Santa Monica, CA. 136pp 

  19. Swiston, K.A. and D.J. Mennill(2009) Comparison of manual and automated methods for idenfifying target sounds in audio recording of Pileated, Pale-billed, and putative Ivory-billed woodpeckers. J. Field Ornithol, 80(1): 42-50. 

  20. Tremain, S.B., K.A. Swistion, D.J. Mennill(2008) Seasonal variation in acoustic signals of pileated woodpeckers. The Wilson Journal of Ornithology 120(3): 499-504. 

  21. Yang, S.N., Y.H. Kim, H.S. Oh(2009) Food Resources of Jeju White-backed Woodpecker Dendrocopos leucotos quelpartensis in Breeding Season. Kor. J. Orni. Vol. 16(1): 29-35. 

  22. Wilkins, H.D. and G. Ritchison(1999) Drumming and tapping by Red-bellied Woodpeckers: description and possible causation. J. Field Ornithol. 70: 578-586. 

  23. Winkler, H., and L. Shork(1978) A comparative analysis of acoustical signals in pied woodpeckers(Aves, Picoides). Bull. Amer. Mus. Nat. Hist. 160: 1-109. 

  24. Won, B.O.(1981) Textbook of animals and plants in Korea. The 25th(Birds). Ministry of Education, Seoul, 1126pp (in Korean) 

  25. Won, B.O. and T.H. Koo(1986) The reproductive success of the Grey-headed green woodpecker, Picus canus griseoviridis( Clark). Bulletin of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1: 57-6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