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상북도 후포와 강원도 장호에서 정치망으로 채집된 어류 종조성 비교
Comparison of Fish Species Composition Collected by Set Net at Hupo in Gyeong-Sang-Buk-Do, and Jangho in Gang-Won-Do, Korea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7 no.4, 2014년, pp.424 - 430  

강정하 (국립수산과학원 생물공학과) ,  김이경 (국립수산과학원 생물공학과) ,  박중연 (국립수산과학원 생물공학과) ,  김진구 (부경대학교 자원생물학과) ,  유정화 (유정화해양연구소) ,  강충배 (국립해양생물자원관) ,  박정호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wo major temperature fronts, the Subpolar (Gosung, Gang-won-do; $38^{\circ}-41^{\circ}N$) and Thermal (Jukbyun, Gyeong-sang-buk-do; $36^{\circ}-37^{\circ}N$) fronts, are found in the East Sea along the east coast of Korea. These are located roughly where the Tsushima Warm Cur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6) 전선이 어종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에도 매우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해에 형성되는 2개의 전선 중 동해남부(경상북도)와 중부(강원도) 사이에 형성되는 불완전한 열전선을 중심으로 수온/염분의 계절 변동과 어류 종조성의 계절변동을 비교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동해 남부와 중부 사이에 형성되는 열전선이 회유성 어류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6년 11월부터 2007년 8월까지 경상북도 울진군 후포와 강원도 삼척시 장호의 2개 지역에서 정치망으로 어류 종조성의 계절변동을 조사하였다. 이 두 지역을 선정한 이유는 동해 남부와 중부가 경상북도 죽변을 경계로 구분되는데(Kim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해에 출현하는 어류는 몇 종인가? 우리나라 동해에 출현하는 어류는 439종(Kim and Nam, 2003)으로, 제주도 619종(Kim and Lee, 1994), 서해 304종(Lee, 2003), 남해 301종(Han, 2003)과 비교하면 두번째로 다양한 어종이 출현하는데, 이는 동해에 난류성 및 한류성 어종이공존하기 때문이다(Lee, 2011). 동해에서 수행된 어류상 조사로는 경남 울산에서 정치망으로 6회 89종(Han et al.
동해에 다양한 어종이 나타나는 이유는? 우리나라 동해에 출현하는 어류는 439종(Kim and Nam, 2003)으로, 제주도 619종(Kim and Lee, 1994), 서해 304종(Lee, 2003), 남해 301종(Han, 2003)과 비교하면 두번째로 다양한 어종이 출현하는데, 이는 동해에 난류성 및 한류성 어종이공존하기 때문이다(Lee, 2011). 동해에서 수행된 어류상 조사로는 경남 울산에서 정치망으로 6회 89종(Han et al.
동해의 전선역이 제공하는 것은? , 2010). 동해에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진 다양한 전선은 동중국해에서 산란된 고등어, 전갱이, 꽁치 등 회유성 어종의 유어가 동해로 수송되는 도중에 풍부한 먹이를 제공해 준다(Cho et al.,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rown MJ and Easias WE. 1977. Oceanic front in the coastal processes. Springer-Verlag, 114. 

  2. Cha BY, Kim BY and Jang DS. 2004. Seasonal variation of fish catch by a set net in Hamdeuk fishing ground off Jeju Island. J Kor Soc Fish Tech 37, 65-72. 

  3. Cha BY, Kim BY and Oh SW. 2001. Catch variation and fishing period of the set net fishery in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Korean J Ichthyol 13, 210-219. 

  4. Cho KD, Kim SW, Kang GH, Lee CI, Kim DS, Choi YS and Choi KH. 2004. Relationship between fishing condition of common squid and oceanic condition in the East Sea. J Korean Soc Mar Environ and Safety 10, 61-67. 

  5. Choi YK, Jeong HD and Kwon KY. 2010. Water distribution at the east coast of Korea in 2006. J Environ Sci 19, 399-406. 

  6. Froese R and Pauly. D. Editors. 2014. FishBase. World Wide Web electronic publication. www.fishbase.org,version (02/2014). 

  7. Go YB and Shin HS. 1988. Species occurrence and food chain of fisheries resources, nekton, on the coast Pukchon, Cheju Island. I. species composition and diversity. Bull Korean Soc 21, 131-138. 

  8. Gong Y and Son SJ. 1982. A study of oceanic thermal fronts in the southernwest Japan Sea. Bull Nat'l Fish Res Dev Agency 28, 25-54. 

  9. Han KH, Choi SH, Kim BK, Park JH and Jeong DS. 1997. Seasonal fluctuations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llected by set net fishery in Yeongil Bay. Bull Fish Res and Dev Agency 53, 14-54. 

  10. Han KH, Kim JH and Baek SR. 2002. Seasonal variation of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llected by set net in coastal waters of Ulsan, Korea. Korean J Ichthyol 14, 61-69. 

  11. Han KH. 2003. Fish fauna in the South Sea. In: Son YM (ed), Current and Preservation of Korean fishes, The Korean Ichthyol Soc 37-75. 

  12. Hong SE, Kim JK, Yu JN, Kim KY, Lee CI, Hong KE, Park KY and Yoon MG. 2012. Genetic variation in the Asian shore crab Hemigrapsus sanguineus in Korean coastal waters as inferred from mitochondrial DNA sequences. Fish Aquat Sci 15, 49-56. http://dx.doi.org/10.5657/FAS.2012.0049. 

  13. Hwang SD, Kim JY, Kim JI, Kim ST, Seo YI, Kim JB, Kim YH and Heo SJ. 2006. Species composition using the daily catch data of a set net in coastal waters off Yeosu, Korea. Korean J Ichthyol 18, 223-233. 

  14. Isoda Y, Saitoh S and Mihara M. 1991. SST structure of the polar front in the Japan Sea, In: Oceanography of Asian Marginal Seas, Takano K, ed. Elsevier, Amsterdam, NL. 

  15. KHOA (The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2014. http://www.khoa.go.kr 

  16. Kim IS and Lee WO. 1994. Fish fauna from Cheju Island, Korea. Rec Korean Fish Fauna 1, 1-51. 

  17. Kim IS, Choi Y, Lee CR, Lee YJ, Kim BJ and Kim JH.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Gyohaksa, Seoul, Korea. 

  18. Kim JK, Park JY and Kim YS. 2006. Genetic diversity, relationships and demographic history of three geographic populations of Ammodytes personatus (Ammodytidae) from Korea Inferred from mitochondrial DNA control region and 16S rRNA sequence data. Gene & Genomics 28, 343-351. 

  19. Kim YH, Kim JB and Chang DS. 2003. Seasonal variation of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aught by a set net in the coastal waters off Yeosu, Korea. J Kor Soc Fish Tech 36, 120-128. 

  20. Kim YS and Nam MM. 2003. Fish fauna in the East Sea. In: Son Y.M. (ed.), Current and reservation of Korean fishes, The Korean Ichthyol Soc 5-36. 

  21. Kim YS, Lee YH and Choi HG. 2012. Water quality assessment at coastal area of the East Sea of Korea. J Korean Soc Mar Environ and Safety 18, 15-24. 

  22. Kim YU, Myung JK, Kim YS, Han KH, Kang CB, Kim JK and Ryu JH. 2005. Marine Fishes of Korea, 2nd ed. Hangul, Busan, Korea. 

  23. Lee CI and Kim HJ. 2007. Effect of temperature on anchovy catch and laver production in the eastern part of South Sea of Korea. J Environ Sci 16, 897-906. 

  24. Lee TW. 2011.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demersal fish in the coastal water off Uljin and Hupo in the East Sea of Korea in 2002. Korean J Ichthyol 23, 187-197. 

  25. Lee, CL. 2003. Fish fauna in the West Sea. In: Son YM (ed), Current and Preservation of Korean fishes, The Korean Ichthyol Soc 97-112. 

  26. Myoung SH and Kim JK. 2014.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the gizzard shad, Konosirus punctatus (Clupeidae, Pisces), in Korean waters based on mitochondrial DNA control region sequences. Genes & Genomics. http://dx.doi.org/10.1007/s13258-014-0197-6. 

  27. Nakabo, T. (ed). 2002. Fishes of Japan with pictorial keys to the species. Tokai University Press, Tokyo, Japan. 

  28. Park C, Lee CR and Kim JC. 1998. Zooplankton Community in the front zone of East Sea (the Sea of Japan), Korea: 2. Relationship between abundance distribution and seawater temperature. J Korean Fish Soc 31, 749-759. 

  29. Rebstock GA and Kang YS. 2003. A comparison of three marine ecosystem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Responses to climate change. Prog Oceanogra 59, 357-379. 

  30. Ryu JH, Kim PK, Kim JK and Kim HJ. 2005. Seasonal variation of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llected by gill net and set net in the Middle East Sea of Korea. Korean J Ichthyol 17, 279-286. 

  31. Shannon CE and Wiener W.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rbana, Illinois University Press, 125. 

  32. Tian Y, Kidokoro H, Watanabe T and Iguchi N. 2008. The late 1980s regime shift in the ecosystem of Tsushima warm current in the Japan/East Sea: Evidence from historical data and possible mechanisms. Prog Oceanogra 77, 127-145. 

  33. Yoon MG, Jung JY and Kim DS. 2013. Genetic diversity and gene flow patterns in Pollicipes mitella in Korea inferred from mitochondrial DNA sequence analysis. Fish Aquat Sci 16, 243-251. http://dx.doi.org/10.5657/FAS.2013.024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