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In Oriental medicine, the concept of Preventive Treatment Disease(治未病, PTD) is intended to actively deal with changes in modern disease patterns due to increase in chronic diseases. In China, preventive health service program based on PTD Theory are being carried out aimed at improving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가적인 미병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는 중국의 치미병 사업이 보건의료체계에서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와 실제 센터의 사업 성과에 대한 부분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중국 치미병 사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국가의 정책, 치미병 사업의 실제, 치미병 사업의 성과, 국내 한의약건강증진사업과의 비교분석의 틀을 구상하였다.
  • 한의학에서의 치미병 사상은 만성질환 증가에 따른 현대 질병양상 변화에 적극 대처할 수 있는 개념으로서 중국에서는 국민건강제고와 예방보건을 위하여 치미병 예방보건서비스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에서 국민의 건강증진을 위한 치미병 예방서비스의 도입을 위하여 중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치미병센터 사업을 고찰함으로써 그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이에 한의학의 전통적인 예방사상인 치미병 사상의 예방보건서비스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중국에서의 치미병센터 사업을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未病이란? 한편 한의학에서는 질병예방을 최우선 원칙으로 하는 治未病 사상이 부각되고 있다. 未病이란 건강의 범위를 넘어서 질병으로 진행되려는 초기단계로 환자의 자각증상이 없거나 있다 하더라도 무시할만한 증상이 나타나는 단계로 정의할 수 있다3). 未病이라는 용어는 《黃帝內經素問⋅四氣調神大論》에서 처음 등장했지만 그 개념은 오래전부터 있어왔고 수많은 의가들의 탐구와 경험을 통해 학술적인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4).
만성질환의 특징은? 1970년대 이전에는 감염성 질환이 사망원인의 주종을 차지하던 것이 1970년대 이후 순환기계 질환, 암, 사고 등 만성질환이 주요 사망원인으로 등장하였으며, 그 이유로는 평균수명의 증가, 생활양식의 변화, 건강위해요인의 증가 및 진단기술의 발전 등을 들 수 있다1). 만성질환은 치료되기보다는 평생 조절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관리방법도 약물치료 외 식이조절 및 운동 등 건전한 생활습관 실천을 병행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 이들 질환은 치료 뿐 아니라 질환 자체의 발생을 막는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2).
중국에서는 治未病을 어떻게 관리하고 있는가? 중국에서는 국민건강제고와 예방보건을 위하여 치미병을 대표적인 예방의학 사상으로 발전시키기 위하여 치미병 예방보건서비스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치미병센터를 건립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재 편찬위원회. 예방한의학 및 공중보건학. 서울. 계축문화사. 2013; 235. 

  2. 장현숙, 유재성, 진영란, 최재봉, 홍은정, 김정은. 노화종합연구소 설치,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7. 

  3. 전국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편저. 양생학(한방예방의학) 제3판, 서울. 계축문화사. 2012; 10. 

  4. 민진하, 백유상, 장우창, 정창현. 치미병 사상 연구. 대한원전의사학회지. 2010; 23(1): 257-277. 

  5. Wang Qi. The foundation of the classification and diagnosis standards for the constitutions of TCM.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nstitutionnal Medicine. 2009 ; 65-96 

  6. 중의약관리국. 치미병 예방보건서비스 실행 방안. 2008. 

  7. 국가중의약관리국. 2011 중국중의약연감. 2012. 

  8. 강승현. 중국의 중의약 육성발전 계획과 시사점-중의약사업발전 제12차 5개년 규획을 중심으로. 한의정책. 2013; 1(1): 27-34. 

  9. 중의약 관리국. 의정사 2008-2012. 

  10. KY3H '치미병' 중심 홈페이지. 2008-5-23 : http://www.ky3h.com/site_utf8/?action_category_catid_1001_topcatid_1001_itemid_970.html 

  11. 광동성중의원 치미병센터 홈페이지 URL: http://www.gdhtcm.com/guide/guide4-4.aspx?deptid205 

  12. 중의약관리국. 2007. 

  13. 북경중의원 치미병 센터 URL: http://www.bjzhongyi.com/tese/Index.html 

  14. ?志仁. "治未病"?防保健服?效果???告. 2010. 1.16 : http://www.360doc.com/content/10/0119/09/612245_13968649.shtml 

  15. 중의약관리국. 2009.6.23 

  16. 중의약관리국. 중국중의약보. 2012. 11. 08 

  17. 중의약관리국. 중국중의약보. 2013. 04. 02 

  18. Sun, Mao-Feng, Sanfujiu-Preventive Medicine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in Taiwan. International Symposium on Current Research Trends in Preventive Treatment of Disease 2012 ; 58-93 

  19. 巴元明, ??亮, ?小泰. 保?膏三伏穴位敷?治?慢性?功能衰竭3O例?床?察. 中??志, 2005; 10: 747 

  20. 전국사회위생서비스센터의 중의예방보건서비스현황. 월간 중국건강. 2011; 5 

  21. http://br.nate.com/diagnose.php?r_urlhttp%3a//www.satcm.gov.cn/web2010/zhengwugongkai/xingyekuaixun/gedikuaibao/2011-05-20/13691.html&fromc 

  22. http://www.qingdao.gov.cn/n172/n24624151/n24627935/n24627949/n24627977/23149459.html 2012年02月06日 ?源 : ??市?生局 

  23. http://www.tjwsj.gov.cn/news/e0036daf-21fa-4b21-a61d-924be53ae243 

  24. 이재철, 진희정.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최근 5년간 중국내 미병 연구동향 고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2; 26(5): 615-620. 

  25. 진희정, 백영화, 이영섭, 이재철, 김명, 김상혁. 미병 연구의 네트워크 분석,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2; 26(4): 546-550. 

  26. 김종원, 전수형, 이인선, 김규곤, 이용태, 김경철, 엄현섭, 지규용. 질병예측자료로서 四科.四類形象의 의의와 미병진단적 가치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9; 23(2): 325-330. 

  27. 이재철, 김상혁, 이영섭, 장은수, 이시우. 한의학의 미병 개념 및 변증과의 연관성에 대한 고찰,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12; 16(2): 31-39. 

  28. 이상재, 이송실, 김도훈. '未病' 연구의 경향에 관한 고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10; 23(5): 23-34. 

  29. 김상혁, 주종천, 황동욱, 이시우. 중의체질의학과 치미병(治未病)센터에 대한 보고, 사상체질의학회지, 2010; 22(3): 59-66. 

  30. 이재철, 김동수, 장은수. 현지 기술 조사활동을 통한 중국의 미병 정책 및 의료서비스 최신 동향 보 고,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13; 17(1): 137-147. 

  31. 한국한의학연구원. 의료수요자 중심의 건강증진을 위한 미병(未病)관리시스템 개발, 교육과학기술부, 2012. 

  32.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ealth Plan 2010). 2011. 

  33. 한국한의약연감 발간위원회. 2011 한국한의약연감. 2014. 

  34. 보건복지부. 2014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안내.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