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열풍 건조와 태양 건조한 국내산 고추의 물리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품질 특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and microorganism characteristics between the air-dried and sun-dried red pepper in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1 no.4, 2014년, pp.451 - 459  

구경형 (한국식품연구원 유통시스템연구단) ,  이경아 (한국식품연구원 유통시스템연구단) ,  구민선 (한국식품연구원 안전시스템연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국내산 건고추의 품질 기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농가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열풍 건조한 고추와 소비자가 선호하는 태양 건조한 고추를 지역별로 수집하여 물리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품질비교를 하였다. 열풍건조한 고추와 태양 건조 고추의 건물량으로 환산한 캡사이신노이드 함량의 경우 열풍건조 시료는 10.85~126.39 mg%, 태양 건조 시료는 0.43~164.09 mg%로 넓은 범위의 분포도를 나타내었고, 총 유리당 함량은 각각 10.82~20.77%, 9.26~23.10%로 건조 방법에 따른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ASTA 값비타민 C 함량의 경우, 열풍건조 시료는 49.12~154.69, 0.0~1,010 mg%, 태양건조 시료는 70.08~182.13, 620~1,050 mg%로 태양건조 시료가 열풍건조 시료보다 높은 범위의 값을 보였다. 총균수와 효모의 경우, 열풍건조 시료군은 2.01~6.67 log CFU/g, 1.03~4.12 log CFU/g이었고, 태양 건조 시료군은 1.74~5.77 log CFU/g, 1.05~6.10 log CFU/g이었다. 또 병원성 미생물인 Clostridium perfringens와 Bacillus cereus도 건조 방법에 상관없이 검출되었다. 한편 이들 품질 특성들을 이용한 주성분 분석 결과 제1요인은 38.47%, 제2요인은 18.31%였고, 총 설명력은 56.78%였다. PC1은 비타민 C, ASTA값, 색도와 관련이 있었고, PC 2는 수분함량, 미생물 수, 건조 방법과 관련이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고춧가루의 건조방법에 따른 품질 차이와 미생물의 오염도가 확인되었고, 소비자가 원하는 고추 품질 지표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making guide of quality index of Korean red pepper. The result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alysis showed the moisture content of air-dried and sun-dried red pepper were 10.38~15.60% and 9.46~17.22%, which show that 50% of the 40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e aim of this study was provide useful information in making guide of quality index on the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quality of packaged red pepper in South Korea. We examined the moisture, free sugar, ascorbic acid, capsaicinoids content and microorganism distribution in the sun-dried and air-dried packaged red pepper marketable in South Korea.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국내산 건고추의 품질 기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농가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열풍 건조한 고추와 소비자가 선호하는 태양 건조한 고추를 지역별로 수집하여 물리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품질 비교를 하였다. 열풍건조한 고추와 태양 건조 고추의 건물량으로 환산한 캡사이신노이드 함량의 경우 열풍건조 시료는 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Kim S, Park JB, Hwang IK (2004) Composition of main carotenoids in Korean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and changes of pigment stability during the drying and storage process. J Food Sci, 69, 39-44 

  2. Kim S, Lee KW, Park JB, Hwang IK (2006) Effect of drying in antioxidant activity and changes of ascorbic acid and colour by different drying and storage in Korean red pepper (Capscicum annuum, L.). Inter J Food Sci Technol, 41, 90-95 

  3. Scoville WL (1912) Note on capsicums. J Amer Pharm Assn, 1, 453-454 

  4. Wyk BE, Wink M (2004) Medicinal Plants of the world. Timber Press. Portland, OR, USA, p 188 

  5. ASTA (1995) Official Analytical Method of the ASTA. 2nd. Analytical Method 20.1 Extractable Color in Capsicums and Their Oleoresins. American Spice Trade Association, Englewood Cliffs, NJ, USA. 

  6. de Guevaea, RGL, Pardo-Gozalez, JE (1996) Evolution of color during the ripening of selected varieties of paprika pepper (Capsicum annuum L.). J Agric Food Chem, 44, 2049-2052 

  7. Shin, HJ, Shin DH, Kwak YS, Choo JJ, Kim SY (1999)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chujang by red ginseng addi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750-765 

  8. Choi, BO, Kim YJ (2011) A study on the method of improving the pepper and garlic transaction system.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M112, p 36-39 

  9. AOAC (199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ommunities, Arlington, VA, USA, Method 925.10. 

  10.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972 (1997) Chillies and capsicums, whole or ground (powdered)-Specification Second edition 

  11.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1977) International standard 3513-1977(E). Spices and Condiments-Chillies - Determination of Scoville Index 

  12.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8) Food Code, Special ed. KFDA. Seoul, Korea 

  13. Korean Standard Association (2004) Available from: http://www.ksa.or.kr. 

  14. Todd PH, Bensinger MG, Bifu T (1977) Determination of pungency due to capsicum by gas-liquid chromatography. J Food Sci, 42, 660-668 

  15. Suzuki T, Iwai K (1984). The Alkaloids: chemistry and pharmacology. Academic Press, Orlando, FL, USA. p 228 

  16. Ku KH, Lee KA, Park JB (2012)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tion for the heat level (hot taste) of Korean red pepper powder. Prev Nutr Food Sci, 17, 29-35 

  17. Kim JO, Lee LH (1994) Effect of temperature on color and color preference of industry produced Kochujang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Nutr, 23, 641-646 

  18. Sung M, Kang JJ, Kim Y (2012) Relationship between physicochemical and sensorial properties of red pepper powder under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423-1430 

  19. Kim S, Park JB, Hwang IK (2002) Quality attributes of various varieties of Korean red pepper powder (Capsicum annuum L.) and color stability sunlight exposure. J Food Sci, 67, 2957-2961 

  20. Shin HH, Lee SR (1991) Quality attributes of Korean red pepper according to cultivars and growing a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296-300 

  21. Son SM, Lee JM, Oh MS (1995) A comparative study of nutrients and taste components in Korean and imported red peppers. Korean J Nutr, 28, 53-60 

  22. Kim S, Kim KS, Park JB (2006) Changes of various chemical components by the difference of the degree of ripening and harvesting factor in two single-harvested peppers (Capscicum annuum L.).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615-620 

  23. Ku KH, Choi EJ, Park JB (2008) Chemical component analysis of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seeds with various cultiv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084-1989 

  24. Josefa M, Navarro JM, Pilar F, Consuelo G, Vincente C (2006) Changes in the contents of antioxidant compounds in pepper fruits at different ripening stages, as affected by salinity. Food Chem, 96, 66-73 

  25. Choi SH (2006) Ascorbic acid of Korean Pepper by cultivating season, region and cooking method.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6, 578-584 

  26. Howard LR, Wagner RT, Villalon AB, Burens EE (1994) Provitamin A and ascorbic acid content of fresh pepper cultivar (Capsicum annuum L.) and processed jalapenos. J Food Sci, 59, 362-365 

  27. Lee SH, Lee HJ, Byun MW (1997) Effects of ozone treatment and gamma irradiation on the microbial decontamin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ed pepper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462-467 

  28. Rico CW, Kim GR, Ahn JJ, Kim HK, Furuta M, Kwon JH (2010) Their comparative effect of steaming and irradiation on the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dried red pepper (Capsicum annum L.). Food Chem, 119, 1012-1016 

  29. Jeon AR, Jo MJ, Koo MS, Oh SW, Ku KH, Park JB, Kim HJ (2010)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f fresh-red pepper and packaged-red pepper powder in South Korea. J Food Sci Nutr, 15, 233-238 

  30. Granum AF, Lund BM (1997) Bacillus cereus and its food poisoning toxins. FEMS Microbiol Lett, 157, 223-228 

  31. Lin YT, Labbe R (2003) Enterotoxigenicity and genetic relatedness of Clostridium perfringens isolates from retail foods in the United States. Appl Environ Microbiol, 69, 1642-1646 

  32. Birch GG, Pepper T (1983) Protection of vitamine C by sugars and their hydrogenated derivatives. J Agric Food Chem, 31, 980-985 

  33. Lee SK, Kadder AA (2000) Preharvest and postharvest factors influencing vitamine C content of horticultural crops. Postharvest Biol Technol, 20, 207-2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