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대 낙엽수림에 서식하는 나비목 애벌레 다양성에 관한 연구
Study of Lepidopteran Caterpillar Diversity in a Temperate Deciduous Forest 원문보기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53 no.3, 2014년, pp.261 - 270  

최세웅 (목포대학교 환경교육과) ,  김낭희 (목포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나비목 종 다양성이 높은 지리산 온대 낙엽수림의 0.1 ha ($33m{\times}33m$) 방형구에서 나비목 애벌레와 기주식물의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방형구에 있는 식물의 종 및 개체수를 확인하고 이들 식물에서 먹이활동을 하는 애벌레를 채집하였다. 조사결과 14과 16종 141개체의 기주식물과, 11과 70종 159개체의 나비목 애벌레가 조사되었다. 나비목 애벌레는 졸참나무에서 가장 많이 채집되어 조사지역에서 선호 기주식물로 조사되었다. 채집된 애벌레의 종 다양성과 종 균등도는 자나방과와 밤나방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나비목 애벌레와 기주식물과의 관계를 알 수 있었으며, 나아가 온대림의 나비목 애벌레의 종 다양성을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diversity of lepidopteran larvae and their food plants in a 0.1 ha plot at Mt. Jirisan National Park, South Korea. The plant species in the plot were identified, and the lepidopteran larvae that fed on each plant in the plot were collected. Thus, we collected 141 plants of 16 s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식생대를 대표하는 온대림 지역에서 나비목 애벌레의 다양성과 그들의 먹이원이 되는 기주식물의 다양성을 파악하고자 하며, 이를 바탕으로 온대지역 나비목 애벌레의 다양성을 추정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Lloyd 지수를 이용한 계산값의 의미는? Lloyd 지수는 채집한 애벌레 종이 기주식물로 하는 식물 종들의 분포값의 분산을 수량화한 것으로 평균값에 분산을 표준화한 가장 좋은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계산된 값이 작을수록 균등한 분포를 나타내는데 이것은 다식성이라는 것을 의미하며 값이 클수록 애벌레 기주식물 선택폭이 줄어드는 단식성이다(Novotny and Basset, 2000).
초식곤충의 분류는? (2012)은 파나마 열대우림에 분포하는 절지동물을 조사한 결과 6,000 ha의 숲에 25,000종의 절지동물이 분포할 것으로 추정하였으며, 이는 열대림 절지동물 생물다양성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초식곤충은 주로 딱정벌레류(Coleoptera), 나비, 나방류(Lepidoptera), 노린재류(Hemiptera), 메뚜기류(Orthoptera), 대벌레류(Phasmatodea)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나비와 나방이 포함된나비목은 종 수가 가장 많은 그룹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나비목 곤충의 99% 이상이 식물을 먹는 초식곤충이다(Strong et al.
Novotny et al. (2006)에서 주장하는 열대지역 곤충 다양성이 온대보다 높은 이유는? Novotny et al. (2006)은 열대지역 곤충 다양성이 온대보다 높은 이유에 대하여 열대림 식생이 계통발생적으로 더 다양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하였다. 즉 열대림 식생의 계통발생적 다양성은 곤충 군집 다양성을 증가시켜 열대지역 곤충 다양성이 높다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ltieri, M.A., 1984. Patterns of insect diversity in monocultures and polycultures of Brussels sprouts. Prot. Ecol. 6, 227-232. 

  2. Altieri, M.A., Letourneau, D.K., 1982. Vegetation management and biological control in agroecosystems. Crop Prot. 1, 405-430. 

  3. Axmacher, J.C., Brehm, G., Hemp, A., Tunte, H., Lyaruu, H.V.M., Hohenstein, K.M., Fiedler, K., 2009. Determinants of diversity in afrotropical herbivorous insects (Lepidoptera: Geometridae): plant diversity, vegetation structure or abiotic factors? J. Biogeogr. 36, 337-349. 

  4. Basset, Y., Aberlenc, H.P., Curletti, H.B.G., Berenger, J.M., Vesco, J.P., Causse, P., Haug, A., Hennion, A.S., Lesobre, L., Marques, F., O'meara, R., 2001. Stratification and diel activity of arthropods in a lowland rainforest in Gabon. Biol. J. Linn. Soc. 72, 585-607. 

  5. Basset, Y., Cizek, L., Cuenoud, P., Didham, R.K., Guilhaumon, F., Missa, O., Novotny, V. Odegaard, F., Roslin, T., Schmidl, J., Tishechkin, A.K., Winchester, N.N., Roubik, D.W., Aberlenc, H.P., Bail, J., Barrios, H., Bridle, J.R., Meneses, G.C., Corbara, B., Curletti, G., Rocha, W.D., Bakker, D.D., Delabie, J.H.C., Dejean, A., Fagan, L.L., Floren. A., Kitching, R.L., Medianero, E., Miller, S.E., Oliveira, E.G., Orivel, J., Pollet, M., Rapp, M., Ribeiro, S.P., Roisin, Y., Schmidt, J.B., Sorensen, L., Leponce, M., 2012. Arthropod diversity in a tropical forest. Science 338, 1481-1484. 

  6. Beaver, R.A., 1979. Host specificity of temperate and tropical animals. Nature 281, 139-141. 

  7. Brandle, M., Brandl, R., 2001. Species richness of insects and mites on tress: expanding Southwood. J. Anim. Ecol. 70, 491-504. 

  8. Choi, S.W., Miller, J.C., 2013. Species richness and abundance among macromoths: A comparison of taxonomic, temporal and spatial patterns in Oregon and South Korea. Entomol. Res. 43, 312-321. 

  9. Choi, S.W., AN, J.S., Na, S.H., Lee, J., 2011. Temporal variation in different life stages of moth (Lepidoptera) from a southwestern temperate forest of Korea: A preliminary study. J. Asia-Pacific Entomol. 14, 293-298. 

  10. Coddington, J.A., Agnarsson, I., Miller, J.A., Kunter, M., Hormiga, G., 2009. Undersampling bias: the null hypothesis for singleton species in tropical arthropod surveys. J. Anim. Ecol. 78, 573-584. 

  11. Colwell, R.K., 2013. EstimateS: Statistical estimation of species richness and shared species from samples. Version 9. User's Guide and application published at: http://purl.oclc.org/estimates. 

  12. Csoka, G., Szaboky, C., 2005. Checklist of herbivorous insects of native and exotic oaks in Hungary I. Acta Silv. Ling. Hung. 1, 59-72. 

  13. Fiedler, K., 1995. Lycaenid butterflies and plants: Hostplant relationships, tropical versus temperate. Ecotropica 1, 51-58. 

  14. Grimaldi, D., Engel, M., 2005. Evolution of the insec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5. Huh, W.H., 2012. Guide book of moth larvae. Econature, Seoul. 

  16. Kennedy, C.E.J., Southwood, T.R.E., 1984. The number of species of insects associated with British trees: a re-analysis. J. Anim. Ecol. 53, 455-478. 

  17. Kim, H.J., Jung, M.H., Jung, J.B., Kim, M.P., Park, H.K., Jo, S.H., Park, P.S., 2012. Understory species diversity in three forest stands in the western part of Mt. Jiri. Jour. Korean For. Soc. Joint Conference of Forest Science 2012, pp. 781-783. 

  18. Kim, S.S., Beliaev, E.A., Oh, S.H., 2001. Illustrated catalogue of Geometridae in Korea (Lepidoptera: Geometridae, Ennominae).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 Biotechnology, Korea. 

  19. Komai, F., Yoshiyasu, Y., Nasu, Y., Saito, T., 2011. A guide to the Lepidoptera of Japan. Tokai University Press, Tokyo. 

  20. Kononenko, V.S., Ahn, S.B., Ronkay, L., 1998. Illustrated catalogue of Noctuidae in Korea (Lepidoptera).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 Biotechnology, Korea. 

  21. Lawton, J.H., 1983. Plant architecture and the diversity of phytophagous insects. Ann. Rev. Entomol. 28, 23-39. 

  22. Lewinsohn, T.M., Roslin, T., 2008. Four ways towards tropical herbivore megadiversity. Ecol. Lett. 11, 398-416. 

  23. Murakami, M., Yoshida, K., Hara, H., Toda, M.J., 2005. Spatiotemporal variation in Lepidopteran larval assemblages associated with oak, Quercus crispula: the importance of leaf quality. Ecol. Entomol. 30, 521-531. 

  24. Novotny, V., Basset, Y., 2000. Rare species in communities of tropical insect herbivores: pondering the mystery of singletons. Oikos 89, 564-572. 

  25. Novotny, V., Basset, Y., Miller, S.E., Kitching, R.L., Laidlaw, M., Drozd, P., Cizek, L., 2004. Local species richness of leaf-chewing insects feeding on woody plants from one hectare of a lowland rainforest. Conserv. Biol. 18, 227-237. 

  26. Novotny, V., Drozd, P., Miller, S.E., Kulfan, M., Janda, M., Basset, Y., Weiblen, G.D., 2006. Why are there so many species of herbivorous insects in tropical rainforests? Science 313, 1115-1118. 

  27. Pimentel, D., 1961. Species diversity and insect population outbreaks. Ann. Entomol. Soc. Am. 54, 76-86. 

  28. Root, R., 1973. Organization of a plant-arthropod association in simple and diverse habitats: the fauna of collards (Brassica oleracea). Ecol. Monogr. 43, 95-124. 

  29. Shin, Y.H., 2001. Coloured illustrations of the moths of Korea. Academybook publishing, Seoul. 

  30. Siemann, E., 1998. Experimental tests of effects of plant productivity and diversity on grassland arthropod diversity. Ecology 79, 2057-2070. 

  31. Siemann, E., Tilman, D., Harrstad, J., Ritchie, M., 1998. Experimental tests of the dependence of arthropod diversity on plant diversity. Am. Nat. 152, 738-750. 

  32. Sohn, J.C., 2006. Illustrated guide of larvae in the pocket. Hwangsoguleum, Seoul. 

  33. Southwood, T.R.E., 1961. The number of insect species associated with various trees. J. Anim. Ecol. 30, 1-8. 

  34. Southwood, T.R.E., Wint, G.R.W., Kennedy, C.E.J., Greenwood, S.R., 2004. Seasonality, abundance, species richness and specificity of the phytophagous guild of insects on oak (Quercus) canopoies. Eur. J. Entomol. 101, 43-50. 

  35. Strong, D.R., Lawton, J.H., Southwood, T.R.E., 1984. Insects on plant: Community patterns and mechanisms. Blackwell Scientific, Oxford. 

  36. Teramoto, N., 1996. Studies on Lepidopterous insect fauna on fagaceous plants, as the food plants of the wild silk moth Antheraea Yamamai. Spec. Bull. Shiga Agric. Exp. Stat. 19, 1-216. 

  37. Yamamoto, M., Nakatomi, K., Sato, R., Nakajima, H., Owada, M., 1987. Larvae of larger moths in Japan. Kodansha, Tokyo. 

  38. Yim, Y.J., Kim, J.U., 1992. The vegetation of Mt. Chiri National Park. A study of flora and vegetation. The Chung-Ang University Press,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