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 기술의 최근 흐름은 HDTV와 3DTV에 이어 UHDTV 로 진화되고 있다. UHDTV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지상파는 4K-UHDTV의 실험 방송과 케이블, 위성에서는 본방송 서비스가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4K-UHD 콘텐츠 제작의 활성화를 위한 체계적인 워크플로우가 정립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의견을 통한 4K-UHD 제작 워크플로우의 중요 항목을 도출하고 계층적 분석 방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적용하여 4K-UHD 콘텐츠 제작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되는 항목을 상호 비교 하였다. 워크플로우의 상위 계층에는 콘텐츠 제작 기획 측면, 미디어 파일 관리 측면 및 제작 장비의 선택과 운영 측면으로 분류 하였으며 하위 계층에서는 UHD 제작 STAFF 간의 역할과 트레이닝, 미디어 관리, 저장 장치의 선택과 운영이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평가 되었다. 또한 실시간 4K-UHD 제작을 위한 워크플로우를 제시하였다.
방송 기술의 최근 흐름은 HDTV와 3DTV에 이어 UHDTV 로 진화되고 있다. UHDTV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지상파는 4K-UHDTV의 실험 방송과 케이블, 위성에서는 본방송 서비스가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4K-UHD 콘텐츠 제작의 활성화를 위한 체계적인 워크플로우가 정립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의견을 통한 4K-UHD 제작 워크플로우의 중요 항목을 도출하고 계층적 분석 방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적용하여 4K-UHD 콘텐츠 제작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되는 항목을 상호 비교 하였다. 워크플로우의 상위 계층에는 콘텐츠 제작 기획 측면, 미디어 파일 관리 측면 및 제작 장비의 선택과 운영 측면으로 분류 하였으며 하위 계층에서는 UHD 제작 STAFF 간의 역할과 트레이닝, 미디어 관리, 저장 장치의 선택과 운영이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평가 되었다. 또한 실시간 4K-UHD 제작을 위한 워크플로우를 제시하였다.
The recent flow of broadcasting technology, HDTV and 3DTV are being followed to develop UHDTV. UHDTV has established itself as the new paradigm. In Korea, the 4K-UHDTV experimental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cable and satellite TV services are being carried out in the present. 4K-UHD content creat...
The recent flow of broadcasting technology, HDTV and 3DTV are being followed to develop UHDTV. UHDTV has established itself as the new paradigm. In Korea, the 4K-UHDTV experimental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cable and satellite TV services are being carried out in the present. 4K-UHD content creation workflow to enable a systematic formulation is needed. In this study, Through expert opinion 4K-UHD production workflow to derive the important topics and Hierarchical analysis methods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is applied to 4K-UHD content creation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items were compared to each other. The upper layer has a content creation workflow planning side, the media file management side and operational aspects of the selection and production equipment were classified. In the lower layer, UHD STAFF roles between production and training, media management, selection and operation of the storage device was evaluated in a relatively important. In addition, real-time 4K-UHD suggested workflow for production.
The recent flow of broadcasting technology, HDTV and 3DTV are being followed to develop UHDTV. UHDTV has established itself as the new paradigm. In Korea, the 4K-UHDTV experimental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cable and satellite TV services are being carried out in the present. 4K-UHD content creation workflow to enable a systematic formulation is needed. In this study, Through expert opinion 4K-UHD production workflow to derive the important topics and Hierarchical analysis methods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is applied to 4K-UHD content creation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items were compared to each other. The upper layer has a content creation workflow planning side, the media file management side and operational aspects of the selection and production equipment were classified. In the lower layer, UHD STAFF roles between production and training, media management, selection and operation of the storage device was evaluated in a relatively important. In addition, real-time 4K-UHD suggested workflow for productio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에서는 UHDTV의 발전 방향에 대해서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제작 과정의 특징과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2장에서는 기존의 4K-UHDTV의 기술적 특징과 제작 특성의 변화 그리고 서비스 동향 등을 살펴보고 3장에서는 연구 문제 및 연구 방법을 통해 UHDTV 콘텐츠 제작 워크플로우의 중요 항목을 도출하고 도출된 항목들의 상관관계를 통해 4K-UHDTV 콘텐츠 제작 워크플로우의 중요도 문제를 제시한다.
4장에서는 4K-UHDTV 콘텐츠 제작에 관한 구체적인 워크플로우 항목을 제작 현장에 있는 전문가들의 인터뷰를 통해 도출하고 도출된 항목을 계층별 요인으로 나누어 AHP분석을 통해 중요도를 비교한다. 결론 부분에서는 4K-UHDTV 콘텐츠 제작을 위한 워크플로우의 주요 특징에 대한 상호 중요도 분석을 통해 실시간 제작 워크플로우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단순히 HDTV 해상도(1920☓1080)가 4K-UHDTV 해상도(3840☓2160)로 커지는 카메라 해상도의 증가를 의미하는 협의의 개념이 아니라 4K-UHDTV 콘텐츠 제작에 관한, 기획, 미디어 파일 관리, 카메라, 렌즈의 종류와 특징, 레코딩 장비와 압축 포맷 등의 변화에 따른 UHD 콘텐츠 제작에 관한 전반적 워크플로우의 방향성에 대해 알아본다. 4K-UHDTV 제작 전문가 집단의 Delphi를 통한 UHD콘텐츠 제작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정립하여 연구 문제의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4K-UHDTV 제작 전문가 집단의 Delphi를 통한 UHD콘텐츠 제작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정립하여 연구 문제의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분류된 항목을 상위 계층과 하위 계층으로 분류하여 상호 중요도를 평가하여 4K-UHDTV 콘텐츠 제작의 활성화를 위한 중요 항목 도출과 상호 중요도를 비교를 하고자 한다.
AHP단계의 마지막은 하위 계층에 있는 평가 요소들의 가중치를 구하기 위해서 각 계층에서 계산된 평가 기준들의 가중치를 종합하는 과정이다[15][16]. 본 연구에서는 4K-UHD 콘텐츠 제작에 관한 핵심적 워크플로우가 적립되지 않고 기존의 제작 방식을 답습하는 프로세스에서 초기 UHD콘텐츠 제작 워크프로의 핵심 요소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방법으로 4K-UHDTV 제작을 위한 중요 항목의 Delphi 분석을 참고하여 4K-UHDTV 콘텐츠 제작 워크플로우의 주요 요인을 설정하였다. 상위 요인으로는 콘텐츠 제작 기획, 미디어 파일 관리, 제작 장비의 선택과 운영으로 분류하였으며 다시 하위 계층 3개씩 9개로 분류하여 상호 중요성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4K-UHDTV 콘텐츠 제작에 관한 워크 플로우 항목을 도출하고 상호 중요도를 평가하기 위한 전문가 상대의 중요도 설문조사를 통하여 얻은 자료를 분석하였다. 평가 툴은 AHP를 이용하여 평가 관점과 항목들을 도출하여 항목들 간의 전략적 우선순위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4K-UHDTV 콘텐츠 제작에 있어 초기 시장 개척과 함께 산재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 중에서 4K-UHDTV 제작 활성화와 고려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지 살펴보고, UHD 제작 관련 전문가들이 생각하는 상대적 중요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한 시도를 했다는 점에서 제한적이지만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제안 방법
본 연구에서는 단순히 HDTV 해상도(1920☓1080)가 4K-UHDTV 해상도(3840☓2160)로 커지는 카메라 해상도의 증가를 의미하는 협의의 개념이 아니라 4K-UHDTV 콘텐츠 제작에 관한, 기획, 미디어 파일 관리, 카메라, 렌즈의 종류와 특징, 레코딩 장비와 압축 포맷 등의 변화에 따른 UHD 콘텐츠 제작에 관한 전반적 워크플로우의 방향성에 대해 알아본다. 4K-UHDTV 제작 전문가 집단의 Delphi를 통한 UHD콘텐츠 제작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정립하여 연구 문제의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분류된 항목을 상위 계층과 하위 계층으로 분류하여 상호 중요도를 평가하여 4K-UHDTV 콘텐츠 제작의 활성화를 위한 중요 항목 도출과 상호 중요도를 비교를 하고자 한다.
4K-UHDTV 콘텐츠 제작워크프로우의 중요 항목을 도출하고 AHP 분석을 통한 4K-UHDTV 콘텐츠 제작워크프로우의 상호 중요도를 비교한다.
연구의 예측 조사의 방법으로 사용되는 델파이 기법은 다수의 전문가의 의견을 표준화와 비표준화 도구를 활용하여 수회에 걸쳐 피드백(feedback)시켜 그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합의된 내용을 얻는 소위 전문 집단적 사고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접근하는 일종의 예측에 의한 정책 분석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15]. 4K콘텐츠 제작에 있어 기존 제작 방식과 차별화 되고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대상으로 현재 4K 콘텐츠 제작 현장에 있는 기술, 카메라, 편집 등 전문가 집단 10명의 인터뷰를 통해 연구 문제인 4K-UHDTV 콘텐츠 제작워크프로우의 중요 항목을 도출 하고 계층적 비교를(AHP)위한 상위 요소와 하위 요소를 분류 하였다. 1차 심층 인터뷰 결과를 정리, 분류하여 2차 피드백을 통해 중요 항목을 확정 하였다.
4K콘텐츠 제작에 있어 기존 제작 방식과 차별화 되고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대상으로 현재 4K 콘텐츠 제작 현장에 있는 기술, 카메라, 편집 등 전문가 집단 10명의 인터뷰를 통해 연구 문제인 4K-UHDTV 콘텐츠 제작워크프로우의 중요 항목을 도출 하고 계층적 비교를(AHP)위한 상위 요소와 하위 요소를 분류 하였다. 1차 심층 인터뷰 결과를 정리, 분류하여 2차 피드백을 통해 중요 항목을 확정 하였다. 계층적 분석 방법(AHP)은 여러 대안들 중에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T.
이것은 주어진 의사 결정 문제를 상호 관련된 의사 결정 요소들로 계층화하여 문제를 분리하는 과정이다. 그런 다음, 각 요소들 간에 이원 비교하는 것으로서 요소들을 두개씩 뽑아 이원 비교를 통해 요소들 간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 한다. 세 번째는 가중치를 추정하는 과정에서 이원 비교를 행한 후에는 각 계층에 대하여 비교 대상 평가 요소들이 갖는 상대적인 가중치를 추정한다.
그런 다음, 각 요소들 간에 이원 비교하는 것으로서 요소들을 두개씩 뽑아 이원 비교를 통해 요소들 간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 한다. 세 번째는 가중치를 추정하는 과정에서 이원 비교를 행한 후에는 각 계층에 대하여 비교 대상 평가 요소들이 갖는 상대적인 가중치를 추정한다. 네 번째는 논리적인 일관성을 검증하는 단계로 이원 비교를 통한 요소들에 대한 평가 결과에 대하여 일관성 비율이 0.
본 연구에서는 4K-UHD 콘텐츠 제작에 관한 핵심적 워크플로우가 적립되지 않고 기존의 제작 방식을 답습하는 프로세스에서 초기 UHD콘텐츠 제작 워크프로의 핵심 요소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방법으로 4K-UHDTV 제작을 위한 중요 항목의 Delphi 분석을 참고하여 4K-UHDTV 콘텐츠 제작 워크플로우의 주요 요인을 설정하였다. 상위 요인으로는 콘텐츠 제작 기획, 미디어 파일 관리, 제작 장비의 선택과 운영으로 분류하였으며 다시 하위 계층 3개씩 9개로 분류하여 상호 중요성을 측정하였다.
4K-UHD 콘텐츠 제작을 하고 있는 기술, 카메라, 편집, 장비 관련, 종사 자등 현장 제작 전문가를 중심으로 4K-UHD콘텐츠 제작 활성화를 위한 워크플로우의 중요 항목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통해 상위 계층의 요소와 하위 계층의 요소를 다음 표와 같이 분류 하였다.
설문조사 방식은 종축과 횡축의 평가 항목을 이원 비교하여 종축의 평가 항목이 횡축의 평가 항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느 정도 중요한지 또는 어느 정도 비효율적인지를 평가 기준에 따라 1, 2, 3, 4, 5 또는 1/2, 1/3, 1/4, 1/5까지의 척도를 기입하도록 하였다.
1차 계층 요인은 콘텐츠 제작 기획 측면, 미디어 파일 관리 측면, 제작 장비의 선택과 운영 측면의 3가지 요인으로 분류하여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제작 장비의 선택과 운영 측면이(0.
평가 툴은 AHP를 이용하여 평가 관점과 항목들을 도출하여 항목들 간의 전략적 우선순위를 산출하였다. 콘텐츠의 기획 측면, 미디어 파일 관리 측면, 제작 장비의 선택과 운영 측면의 상위 3가지 1차 요인과 하위 9개의 2차 평가 요소들을 도출하여 이원 비교를 통한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1차 중요도 요인은 제작 장비의 선택과 운영 측면이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분석되었다.
대상 데이터
케이블 TV는 2014 년 4월 10일 UHD 전용 채널인 유맥스(UMAX)를 통해 케이블 공통으로 1번(C&M 33번)으로 본 방송 개시하였으며 위성 KT Skylife는 2013 년 8 월에 위성에서 4K 방송 실험을 실시.
프랑스의 경우 2013년 1월부터 EUTELSAT(프랑스 통신위성 운영 업체)이 DVB-S2/8PSK 방식으로 4K UHD 위성방송 서비스를 실시 중이고, 미국의 볼티모어에서도 2013년 초 6개월간 DVB-T2 기반으로 25Mbps 전송 실험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12][13]. 국내의 실험 방송과 서비스 현황으로는 KBS를 중심으로 지상파3사가 2012년 10월 에서 12월에 지상파 4K 방송의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2013년 5월부터 10월 동안 제2차 실험을 실시하였다. KBS는 2014년 4월 5일 ‘2013∼2014 KB 국민카드 프로 농구’ 챔피언결정전 3차전을 지상파 방송을 이용해 4K 60프레임으로 UHDTV 66번 채널(782MHz∼788MHz)을 통해 실시간 중계 방송하였다.
또한 사용자 정의 메타데이터로는 Clip ID, 현지 촬영 장소, 카메라 ID (멀티 카메라 샷을 구분하기 위함), 탤런트 구분, 프로듀서나 촬영감독 구분 등이다.
조사 방법은 각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전자메일과 면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30명의 전문가가 설문에 참여하였고 이중에서 개인별 답변의 일관성 지수(CI)가 < 0.1인 최종30명의 답변을 채택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모형의 검증을 위해 국내 UHDTV 관련 제작 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지상파 방송사의 4K제작 실무 팀과 연구소, 관련 업계 전문가, 그리고 학계의 교수나 연구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조사 방법은 각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전자메일과 면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30명의 전문가가 설문에 참여하였고 이중에서 개인별 답변의 일관성 지수(CI)가 < 0.
데이터처리
1 이하일 경우 일관성 있는 설문으로 판단한다. 일관성은 CR(Consistency Ratio)를 이용하여 검증한다. 즉 CR = CI/RI 이다.
2차 계층 간의 9개 요인의 종합 분석 결과, 채택된 30명 전문가들의 일관성 지수(CI)는 0.1 이하로 분포되었으며 각 문항별 답변의 기하 평균값을 도출하고 9개 하부 요인에 대한 우선순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저장 장치의 선택과 운영 부문이 선택되었으며, 그 다음이 렌즈의 선택과 운영 그리고 VFX 의 기획과 CGI의 순으로 중요하게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4K-UHDTV 콘텐츠 제작에 관한 워크 플로우 항목을 도출하고 상호 중요도를 평가하기 위한 전문가 상대의 중요도 설문조사를 통하여 얻은 자료를 분석하였다. 평가 툴은 AHP를 이용하여 평가 관점과 항목들을 도출하여 항목들 간의 전략적 우선순위를 산출하였다. 콘텐츠의 기획 측면, 미디어 파일 관리 측면, 제작 장비의 선택과 운영 측면의 상위 3가지 1차 요인과 하위 9개의 2차 평가 요소들을 도출하여 이원 비교를 통한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이론/모형
AHP는 의사 결정 요소들의 속성과 그 측정 척도가 다양한 다 기준 의사 결정 문제에 효과적으로 적용되어 의사 결정자가 선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대안들을 체계적으로 순위 화 시키고 그 가중치를 비율 척도로 도출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4K-UHD 제작을 위한 워크플로우의 요인들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AHP계층화 분석 모형을 적용하였다. 계층적 분석 과정을 위한 일반적 절차는 의사 결정 목표 설정, 의사 결정 요인 도출, 전문가 선정, 데이터 수집, 분석으로 구분된다.
성능/효과
UHDTV영상의 색채계(colorimetry)는 더 넓은 색채계를 포함하기 때문에 HDTV 색역1)이 표현하지 못하는 색 까지도 표현한다. 결과적으로 실제에 더 가까운 색 재생 능력을 보여주고 있으며 HDTV와 UHDTV의 색채계와 색 표현 범위 대해 UHD의 색 표현 범위가 훨씬 넓은 것을 알 수 있다 사실감은 해상도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 각 해상도(angular resolution)가 높아질수록 사실감이 더 좋아지는데, 40-50cpd2)(cycle per degree) 정도까지는 화면의 해상도가 높아질수록 사실감도 함께 높아진다[8].
UHD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사전 기획과 시장 조사, 장비의 선택, 미디어의 저장에 관한 선택, 편집에 대한 이슈, 그리고 CG의 위치 및 종류에 대한 선택 등 매우 다양하고 민감한 사항이 수반 되어야 한다. 또한 제작 된 콘텐츠를 유통, 배급하는 전반적인 과정에서도 신중한 기획과 접근이 UHD 영상의 제작 기간에 걸리는 시간과 예산을 효율적으로 통제가 가능하다. 현실적으로 UHD 콘텐츠와 HD콘텐츠를 동시에 제작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이 둘의 서비스 포맷에 맞게 제작 과정과 기획도 병행해야 한다.
1차 계층 요인은 콘텐츠 제작 기획 측면, 미디어 파일 관리 측면, 제작 장비의 선택과 운영 측면의 3가지 요인으로 분류하여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제작 장비의 선택과 운영 측면이(0.522))으로 가장 중요하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미디어 파일 관리 측면이(0.344), 콘텐츠 제작 기획 측면이(0.134)로 나타났다.
첫째, 1차 계층 요인의 콘텐츠 제작 기획 분야의 2차 계층의 상대적 중요성 분석 결과 UHD 제작 STAFF 간의 역할과 트레이닝이 (0.545), 콘텐츠 장르별 선택과 집중이(0.310), 기획과 OSMU의 적용이(0.145)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1차 계층 요인의 미디어 파일 관리 분야의 2차 계층의 상대적 중요성 분석 결과 미디어 관리가(0.519), VFX의 기획과 CGI(0.322), 메타데이터 계획과 운영(0.159)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1차 계층 요인의 제작 장비의 선택과 운영 분야의 2차 계층의 상대적 중요성 분석 결과 저장 장치의 선택과 운영(0.449), 렌즈의 선택과 운영(0.373), 카메라의 선택(0.178)순으로 나타났다.
1 이하로 분포되었으며 각 문항별 답변의 기하 평균값을 도출하고 9개 하부 요인에 대한 우선순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저장 장치의 선택과 운영 부문이 선택되었으며, 그 다음이 렌즈의 선택과 운영 그리고 VFX 의 기획과 CGI의 순으로 중요하게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워크프로우 하위 계층 분석에서 저장 장치의 선택과 운영 측면이 응답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지적한 부분은 실시간 콘텐츠 제작에 있어 발생하는 영상 데이터의 처리 부분과 맥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기존 Raw File 제작 형태의 4K-UHD 콘텐츠 제작 방식이 후반 처리 과정에서 데이터 처리로 인한 시간적 문제를 실시간 영상처리 워크프로우의 적용으로 4K-UHDTV 콘텐츠 생산의 프로세스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2차 평가 요인으로는 UHD 제작 STAFF 간의 역할과 트레이닝, 미디어 관리, 저장 장치의 선택과 운영이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평가 되었다. 4K-UHDTV 콘텐츠 제작 워크플로의 문제점과 발전 방향에 대해서는 기존의 RAW File 형태의 제작 과정에서 실시간 콘텐츠 생성이 가능한 워크프로우의 제안도 확인 할 수 있었다.
후속연구
대용량 데이터의 수집, 저장, 편집, 전송 등에서 대용량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 및 관리하는 사전 기획 단계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등 촬영과 편집의 제작 프로세스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장르 및 소재의 변화 측면에서도 기존에 담아내기 힘들었던 마이크로 촬영, 색상의 다양함을 담아낼 수 있는 소재 등이 강점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고 움직임이 많고 현장감이 중요시되는 스포츠 제작 등 프로그램 제작의 차별성을 드러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반면 대형화면에서 많은 영상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초기에는 현재 트렌드(Trend)화된 셀레브리티(Celebrity)효과로 매우 선명한 영상이 출연자들의 화장이나 세트, 소품 등 미장센 요소에 다소 부담이 되거나, 젊은 층의 음악 프로그램 등 화면전환이 빠른 영상에서의 시청 불편 등의 이슈가 제기될 것으로 분석 되고 있다[14].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UHD방송은 무엇인가?
UHD방송은 HDTV(2K:1,920x1,080)가 제공하는 화질보다 4배에서 16배 선명한 초 고화질 화질 (4K:3,840x2,160 ∼ 8K:7,680x4,320)과 다채널(10.2 채널 이상) 오디오로 사실감과 현장감을 체험할 수 있는 실감 방송으로 정의하고 있다[6]. 단순히 기존 HD방송보다 높아진 해상도뿐 아니라 TV를 통해 보는 사물이 현실에서 보는 것과 동일한 느낌의 사실감(Sense of reality)과 현장감(sense of presence)의 증가를 의미한다.
UHD 제작에 있어 파일 기반 시스템에서 미디어의 관리와 운영은 제작 현장과 후반 작업 전반적인 워크프로우 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UHD 제작에 있어 파일 기반 시스템에서 미디어의 관 리와 운영은 제작 현장과 후반 작업 전반적인 워크프로우 관리가 중요하다. 과거의 Tape 기반에서는 촬영 현장 에서 넘겨받은 Tape을 후반 처리나 편집 과정을 거쳤으나 파일 기반 시스템에서는 촬영 현장에서 부터의 미디어 관리가 최종 유통 단계까지 연계되어 이어지기 때문이다. 촬영 현장에서의 카메라 종류에 따른 여러 종류의 파일 포맷이 혼재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미디어 생태계의 발전 측면에서 UHDTV가 가지는 개념은?
몇 년 전만 해도 3DTV가 실 감형 방송의 주류를 이루었지만 이제는 초고화질 방송 (UHDTV) 쪽으로 옮겨 가고 있는 양상이다[1]. 미디어 생태계의 발전 측면에서 단순히 UHDTV는 기존의 HDTV의 4배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는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의 양적 팽창 개념에서 실감형 미디어의 한축으로 초 고화질 TV 와 카메라 기술, 디스플레이 기술, 압축 기술, 전송 기술, 편집 기술 등 미디어 생태계 전반에 걸친 양적, 질적 발전을 의미하는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2]. 산업 효과 측면에서도 UHDTV는 방송 기술과 콘텐츠 영역에 한정되지 않는다.
참고문헌 (21)
Suk-Hui Jo, Dong-San Jeon, Jin-Su Cho, UHDTV Construction Technology and Standardization. TTA Journal, Vol. 140, 2012.
Guk-jin Kim, Jeon-Gil Choi,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terrestrial UHDTV.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2013.
4K & 8K UHD technology and industry trends. KCA, PM Issue Report, 2013.
Jong-Hwan Sin, U(H)DTV(Ultra High Definition Television). Internet and security issues, pp.36-39, 2012.
Su-Gang Lee, A Study of the Influence on the Production of Digital Broadcasting Programs by the Introduction of UHDTV. Sejong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4.
ITU-R BT 2020, Parameter values for ultra-high 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for production and international programme exchange.
Gu-Man Pak, Youg-Ju Lee, Gwang-Jik Lee, Dong-San Jeon, Jin-Su Choi, and Jin-Wung Kim, UHDTV Video Technology-Consideration Factors in Development and Strategic Policy Evolution.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No. 12, 2011.
Sang-Yuong Kim, Ji-Gyun Kim, and Jin-Su Choi, UHDTV broadcasting technology trends and prospects. PM Issue Report, Vo. 1, Issue 6, 2013.
In-kyung Park, Kwang-sung Ha, Mun-churl Kim, Suk-hee Choi, and Jin-Soo Choi, Analysis on Subjective Image Quality Assessments for 4K-UHD Video Viewing Environments.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Vol.15, Issue 4, 2010.
Sug-Chul Mun, Min-Choel Pak, Sumio Yano, Super high-definition TV's Human Factor.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Vol. 17, No. 4, 2012.
Se-Yun Jeong, Suk-Hee Jo, Ung-Don Lee, Sung-Hun Kim, Jin-Su Choi, and Jin-Woo Hong, UHDTV Technology Status and Prospects. Magazine of the IEEK, Vol. 36, No. 4, pp. 427-435, 2009.
Korea National Institute propagation, UHD TV trends and future prospects related to the latest technology.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ssues and outlook, No. 17, 2013.
UHDTV market development patterns and Diffusion conditions. KCA Report, No. 61, pp.66-76, 2013.
Chang-Hee Oh, Hoe-Kyung Jung, A Study for Picture Quality of UHDTV and Production as Realistic Media. HCI Conference, 2014.
Seong-Howan Song, Seog-Hun Kwon, Jin-Bum Pak, and Sun-Gi Hong, Application of the Delphi Technique in Modifying AHP Method. Management Science, Vol. 26, No. 1, p.53-64, 2009.
Sang-Jung Park, Chan Koh, Analysis of Key Factors in Operational Control Transition Resolution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9, No. 6, pp.153-163, 2011.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