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액상 이소프렌 고무가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의 점착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quid Isoprene Rubber on the Adhesion Property of UV Curabl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원문보기

Elastomers and composites = 엘라스토머 및 콤포지트, v.49 no.3, 2014년, pp.210 - 219  

이지예 (수원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정경호 (수원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합성한 후 이소프렌 액상고무를 블렌드하여 광기능성 시트에 적용될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아크릴 점착제의 모노머로는 butyl acrylate, acrylic acid, 2-ethylhexyl acrylate, 2-hydroxyethyl methacrylate를 사용하였고 용매로는 톨루엔을 사용하였다. 고무계 모노머로는 isoprene 액상고무(LIR-50)를 사용하였고, 아크릴 점착제와의 배합량을 0 ~ 50 wt%로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LIR-50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아크릴계 점착제의 최대 단점이었던 전사현상이 감소하였다. 그 이유는 이소프렌 액상고무의 경우 아크릴 점착제와 달리 극성기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피착재와 이차결합이 발생하지 않아 경시변화에 따른 전사현상이 감소한 것으로 사료된다. 점착제의 자외선 경화 시 광개시제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UV에 노출되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점착제의 경화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점착력과 전사현상이 감소하였다. 반면 유지력의 경우는 경화도가 증가하여 분자구조가 망상구조를 이루며 점착제 내부응집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유지력은 증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for the optical functionality sheet was prepared by blending liquid isoprene rubber. The acrylic PSA was synthesized with butyl acrylate, acrylic acid, 2-ethylhexyl acrylate and 2-hydroxyethyl methacrylate. Toluene was used to a solvent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Figure 4. Peel strength of UV cured PSA with varying UV exposure time and irradiation distance; (a) optical power of 80 W, (b) optical power of 100 W.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호용 테이프의 목적은 무엇인가? 보호용 테이프의 목적은 제품의 성형, 이송, 보관 중 외력에 의한 충격 및 손상으로부터 표면을 보호하여 상품 가치를 높여주는 것으로 건축, 가전은 물론 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제품의 표면 보호를 위해 사용된다. 대표적인 것이 디스플레이 산업이다.
liquid crystal display에는 어떤 부품이 있는가? 대표적인 것이 디스플레이 산업이다. 광기능성 시트 중 liquid crystal display (LCD)1에는 프리즘 시트와 편광 필름과 후광장치(back light unit, BLU)2,3 등의 부품이 있다. 후광장치는 Figure 1과 같은 구조로 되어있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어떤 특징을 가지는가? 10 반면 아크릴계 점착제는 최근에서야 비로소 선진 각국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지고 있는데, 아크릴계 점착제는 고무계 점착제에 비해 내후성 및 내유성이 우수하다. 아크릴계 모노머가 다른 비닐 모노머와 공중합이 활발하게 진행되기 위해서는 피착물질의 극성을 고려해 주고, 임의의 폴리머 분자 중에 극성기를 유도하면 목적에 맞는 점착제를 비교적 용이하게 만들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용제형, 에멀젼형, 무용제형과같이 유형의 선택성이 있기 때문에 아크릴계 점착제가 현재 확고한 지위를 구축하게 된 주된 이유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I. Nam, K. Ha, K. Lee, L. J. Kim, M. Kim, I. Seong and T. Chang, "Novel versatile pressure-sensitive adhesives for polarizing film of TFT- LCDs: Viscoelastic characteristics and light leakage performance", Int. J. Adhes. Adhes., 31, 708 (2011). 

  2. C. H. Lim, Y. J. Jung and U. R. Cho, "A Study on Synthesis of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or Polarizer Film by Solution Polymerization", Elast. Compos., 44, 175 (2009). 

  3. H. Song, H. J. Kwon, Y. J. Park, D. H. Lim and H. J. Kim, "Technical Status and Market Trend of Protective Tapes and Adhesions for Optical Sheets or Plates for Display", Kor. Ind. Chem. News., 10, 40 (2007). 

  4. Y. J. Park, D. H. Lim, H. J. Kim, H. S. Song and H. J. Kwon, "Adhesion Performance of Natural Rubb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for Protecting of Opto-functionalized Sheet", J. Adhes. Int., 8, 15 (2007). 

  5. Z. Czech and R. Milker, "Development trends i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ystems", Mat. Sci. Poland., 23, 1015 (2005). 

  6. F. Sosson, A. Chateauminois and C. Creton, "Investigation of Shear Failure Mechanisms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s", J. Polym. Sci., 43, 3316 (2005). 

  7. E. S. Park, J. W. Park and H. J. Kim, "Adhesive a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Materials for Displays", Polym. Sci. Technol., 23, 47 (2012). 

  8. A. Zosel, "The effect of fibrilation on the tack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Int. J. Adhes. Adhes., 18, 265 (1998). 

  9. Jurgen K. L. Schneider, "Styrenic copolymers boost heat resistance in PSAs", Adhes. Seal. Ind., 34, 34 (2001). 

  10. M. Fujita, M. Kajiyama, A. Takemura, H. Ono, H. Mizumachi and S. Hyasima, "Effects of Miscibility on Peel Strength of Natural Rubber Bas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J. Appl. Polym. Sci., 70, 777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